•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 feasibility of ICT technolog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ICT 기반 융합 서비스 모델의 기술, 프로세스, 전략적 적합 연구 (Research on Technology, Process, and Strategic Fit of ICT Based Service Model)

  • 한현수;박근영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225-245
    • /
    • 2014
  • ICT based convergence application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industrial issue these days. Despite of criticalness and potential economic opportunities of the ICT based convergence, theoretical research to analyze the feasibility and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application is rather limited. This paper is intended to fill this research gap. In this respect, we develop theoretical framework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differential benefits of convergent applications, which necessarily include underling ICT technology's contribution attributes extractions, and resulting value increments engendered from user's process effectiveness when ICT based service application is adopted. The research model to assess the differential value of the ICT based service application is developed, grounded on theoretical framework of TPC (Technology-to-performance chain) and contingency fit theories. Scenario based survey method is adopted, and SmartPLS 2.0. i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312 questionnaire. Valid statist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provide useful insight.

Feasibility Study of Forestry Project in Sarawak State, Malaysia

  • Woo, Heesung;Turner, Paul;Kang, Byongrho;Jang, Jaeyoung;Woo, Jongcho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352-358
    • /
    • 2018
  • This research paper investigates available options for implementing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project in Sarawak state, Malaysia. To investigate economic feasibility, data was collected using survey and field research methods. Also, economic analysis was estimated using net present value (NPV), internal rate of return (IRR) and payback period (PBP) during the 30 years CDM: afforestation and reforestation periods. The result of econom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ayback period was estimated at 9 years with 18 percent of internal rate of return (IRR). This study also highlighted that CDM biomass supply project have a lot of challenges due to the reduction and exclusion of bio-Solid Recovered Fuel (SRF), supply and demand scenario, and impact of restriction of illegal logging in Malaysia. This study results demonstrate the methodology and guideline for future CDM investment and projects.

국내 실정에 적합한 스마트팜 개발 전략 -6차산업의 발전을 위한 ICT 기술적 특성을 중심으로- (Smart farm development strategy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 -Focusing on ICT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6.0-)

  • 한상호;주형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47-157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사정에 적합한 스마트팜 기술 전략을 ICT 기술의 국내 사정에 적합한 차별화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했다. 해외 농산업 선진국의 경우 각 나라의 지형적 특성, 농산업 특성, 국민 수요 특성 등을 전반적으로 반영한 특정 단계 개발에 주력함을 확인했으나, 국내 스마트팜의 경우 해외 기술을 여과 없이 수용하여 국내사정에 적합한 기술의 선별적 개발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 인구 고령화, 농작물 가격 경쟁력 상실, 휴경지 증가, 경지 이용률 감소 등 문제에 따라, 차후 스마트팜 ICT 기술 개발 방향성을 품질 좋은 농산물을 창출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성능의 우수함, 노동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용의 용이성, 영세한 경영규모에 적합한 경제성 등에 주목하여 스마트팜을 추진해야 함을 제시했다. 첫째, 경제성 차원에서 영세농가(1차) 경영환경에 필요한 기능들만 선별하여 ICT 기술을 구성하고, 이들과 원활한 의사소통 체계를 ICT 기술에 적용하여 실제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점차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비용 감소에 일조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둘째, 성능차원에 있어서는 국내 고령화 인구에 적합한 빅데이터 난이도 조절, 이들에게 적합한 언어사용, 이들의 예측 성향을 반영한 알고리즘 설정 등 ICT의 의사소통 기능 개선에 주목한다면 작동 정확성을 증대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셋째, 사용용이성 차원이다. 6차산업(1차(농업,임업)+2차(농수산물가공)+3차(서비스,농어촌체험,유통)) 발전을 위한 ICT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팜은 특정 명령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바, 특정 명령에 빅데이터에 근거한 추론을 통한 추가적 기능들이 자동적으로 수반될 것과, 각 지역적 환경에 맞춤화된 빅데이터 구성에 기반한 장치를 미리 세팅, 표준화하여 사용용이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최종 제시했다.

공공 정보통신기술(ICT)사업의 투자 평가기준이 사업성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vestment Evaluation Criteria of Public ICT Projects on Business Success)

  • 김용걸;이상연;채명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7-169
    • /
    • 2021
  • 공공 정보통신기술(ICT)사업의 투자 평가 체계를 세우는 것은 궁극적으로 정부 재정이 투자되는 공공 ICT사업의 성공률을 높이고 사업의 활성화를 꾀함으로써 국가 경제 성장 기반 구축 및 글로벌 ICT산업 경쟁력을 제고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평가 체계에 따라 수립된 공공 ICT사업 투자 평가 요인이 실제 사업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향후 투자 평가 요인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공익성, 경제성, 기술성, 정책성 및 예산효율성 등 다섯 개의 평가 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실제 사업에 직접 참여했던 전문가들의 설문을 통해 이러한 평가 기준이 실제 사업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ICT사업의 투자 평가 요인과 사업성공 사이에서 정부의 지원제도에 대한 조절 작용 여부도 확인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구조 모형 분석, 경로 분석 등을 실증분석하고, 기존 ICT 투자 평가 요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소형 FRP 조선소 현황 진단과 정보 전략 계획 방법론 기반의 생산 공정 분석 (Production Process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with Present Condition Diagnosis of Small FRP Shipyards)

  • 김현우;황훈규;신일식;조제형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3권5호
    • /
    • pp.353-361
    • /
    • 2016
  • Recently, the small shipyard companies have difficulties that causes by depression of shipbuilding industry. The small shipyard companies need some strategies to overcome the slump in shipbuilding industry field.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survey for present condition diagnosis of small shipyard companies, and analyze the production process based on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ISP) method. When analyze based on ISP, we apply IDEF0 and LOVC technique to analyze the production process of small shipyard companies. Also we conduct the gap analysis between the analyzed present condition and the requirements of improvement.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the analysis is to establish a system for enterprise planning and management, which customized for small shipyard companies, with satisfying economic feasibility and usability.

기후기술 융·복합 사업모델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Technology Integrated Business Models in Climate Change Responses)

  • 오상진;성민규;김형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5-443
    • /
    • 2018
  • Climate technology applied to address climate change requires a comprehensive review such as environmental and social acceptability in addition to economic feasibility. Not only mitigation and adaptation technologies, but also integration of climate technologies into a business model with other relevant technologies including ICT, finance, and policy instruments could enhance technic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s. However, many climate projects (and business models) are currently not designed to consider adequately complex climate?related issue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ssessment systems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business feasibility of such mode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ystem consisting of nine major indicators in four fields to assess climate technology-based business models. Each indicator was weigh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for systematic assessment of business models. The process can be utilized as a tool to guide improvement of climate technology business models.

R&D기여율 차등적용에 관한 탐색연구: ICT R&D사업을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tial Application of the R&D Contribution Rate: Focusing o n the ICT R&D Project)

  • 박철민;한정민;구본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9-47
    • /
    • 2016
  • 정부는 각 부처와 기관들이 제출한 국가연구개발사업계획의 타당성을 사전에 검증하고 그 예산 반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에 따라 R&D투자에 대한 기여율이 상이함에도 편익추정에 있어서 전 산업의 평균 R&D기여율을 일괄적으로 원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결과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업종들 중 정보통신기술을 대표로 R&D투자가 정보통신기술산업의 성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성장회계방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R&D기여율과 비교해봄으로써 사업별 R&D기여율의 차등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정보통신기술의 R&D기여율은 48.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 기여율과 큰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건대, 사업별 특성을 감안한 차등적인 R&D기여율의 도입을 조심스럽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보안 알고리즘 응용 제안 (Proposed that Application of the Security Algorithm for Implement Smart m-Gov)

  • 임광철;정영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17
    • /
    • 2014
  • ICT 생태계의 동인으로 전자정부는 그 형태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에 따라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서 정부는 m-Gov 서비스를 활성화 하고, 이를 위해 기술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스마트 전자정부 구현 모형을 제시하고, 안전한 m-Gov의 인프라 구성을 위해 양자암호 시스템을 서버보안에 응용할 수 있는 정보보안 기술정책으로서 보안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것은 결국 보안성, 안전성, 경제성이 확보된 대국민 및 기업에 대한 스마트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정이념을 추구하는 것이다.

가스·수소 시설의 스마트 이상감지 및 진단 시스템 기술동향 (Technology Trends of Smart Abnormal Detection and Diagnosis System for Gas and Hydrogen Facilities)

  • 박명남;김병권;홍기훈;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57
    • /
    • 2022
  • 기후변화 대응에 따른 전세계적인 탄소중립 이행에 대한 요구는 수출주도형 경제구조와 온실가스 수출국가로 분류되어 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부 국가들에게 탄소 무역장벽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따라서, 탄소중립 이행 모델의 적용을 위해 예측 가능한 방법 중에 하나인 디지털 전환을 앞당겨 도입해야 한다. 주요산업 중 하나인, 첨단제조산업에서 쓰이는 산업용 가스 제조시설과 친환경 에너지로 부각되고 있는 수소 가스시설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이상감지 및 진단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의 조업지식이 포함된 예측진단 모니터링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단순히 실시간 설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아닌, 최적화와 증강현실 기술, 그리고 IoT 와 AI 지식 추론 등을 통해 이상진단 예측 모니터링의 구축 방향을 확인하고, 탄소중립 이행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중소·중견 기업의 경제성과 효율성이 부합되는, 엔지니어링 도메인의 합의된 지식과 예측진단 모니터링 등의 기술 보급 가능함을 살펴 볼 수 있다. 최고 수준의 ICT 기술을 바탕으로 탄소배출 무역장벽에 따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해당 기술의 도입을 통해, 탄소중립 이행에 따른 중소·중견기업의 마중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