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ploratory Study on the Differential Application of the R&D Contribution Rate: Focusing o n the ICT R&D Project

R&D기여율 차등적용에 관한 탐색연구: ICT R&D사업을 중심으로

  • 박철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 한정민 (기초과학연구원 이노베이션팀,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
  • 구본철 (기초과학연구원, UST 과학기술경영정책학과)
  • Received : 2016.01.29
  • Accepted : 2016.03.21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to examine previously a plan of the national R&D program submitted by each government ministry or institution and decide whether to reflect its budget. However, although R&D investments obviously have a different contribution depend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project, the current system applies the average R&D contribution rate to whole industry across the board in order to estimate benefits of the creating value from the R&D activity. This system in turn will cause a distorted result in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CT R&D contribution for the creating value added, on behalf of all industries, through the growth accounting method and explores an applicability of the differential R&D contribution rate as an alternative by comparing to the existing R&D contribution rate.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e ICT R&D contribution rate is 48.2%, and we can find o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existing R&D contribution rate. In light of this, it is necessary to adopt carefully the differentiated R&D contribution rate considering project characteristics.

정부는 각 부처와 기관들이 제출한 국가연구개발사업계획의 타당성을 사전에 검증하고 그 예산 반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에 따라 R&D투자에 대한 기여율이 상이함에도 편익추정에 있어서 전 산업의 평균 R&D기여율을 일괄적으로 원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결과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업종들 중 정보통신기술을 대표로 R&D투자가 정보통신기술산업의 성장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성장회계방법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R&D기여율과 비교해봄으로써 사업별 R&D기여율의 차등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정보통신기술의 R&D기여율은 48.2%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 기여율과 큰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보건대, 사업별 특성을 감안한 차등적인 R&D기여율의 도입을 조심스럽게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고시, 과천: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 기획재정부 (2014가), 2014-201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고시, 과천: 기획재정부.
  3. 기획재정부 (2014나), 201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운용지침 고시, 과천: 기획재정부.
  4. 김기환 (2005), "정보화사업 타당성분석제도의 개선방향 모색: 공공분야 타당성분석제도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2(1): 59-77.
  5. 김석현 (2006), 산업별 연구개발투자의 생산성 기여, 충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박철민.구본철 (2015가), "우리나라 R&D 디플레이터의 산출 및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 박철민.구본철.남상성 (2015나), "R&D 디플레이터 산출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지, 20(3): 121-137.
  8. 박철민.한정민.구본철 (2015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경제적 타당성 분석의 고도화에 관한 연구: ICT R&D 기여도 산정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9. 박혜진 (2014), "융합형 연구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경제성 분석",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송준기 (1994), "R&D자본과 생산성관계에 관한 실증적분석", 산업조직연구, 3: 37-56.
  11. 신태영 (2004),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충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안상진.김혜원.이윤빈 (2013),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 분석틀 표준화 연구: 연구개발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지, 16(1): 176-198.
  13. 안상진.박은지.이윤빈 (2014),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전주기 관리방안 탐색: 연구개발 부문 예비타당성조사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지, 17(1): 124-145.
  14. 양희승 (2010), "R&D 예비타당성조사에서의 편익 추정의 정형화 가능성에 관한 고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2): 77-101.
  15. 이경석.박명철.이덕희 (2006), "시차분석을 통한 정보통신산업 연구개발투자가 총요소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1(2B): 154-163.
  16. 이도형 (2005),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도입 방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윤빈.윤지웅 (2014), "대형 R&D사업 사전평가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지, 17(2): 289-308.
  18. 이헌준.백철우.이정동 (2014), "기업 R&D투자의 시차효과분석", 기술혁신연구, 22(1): 1-22.
  19. 장진규.정성철.김기국 (1994), 연구개발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 정성철.장진규 (1993), 기술개발투자의 경제효과분석 - 모형개발을 위한 사전조사 연구 -, 서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1. 하준경 (2005), 연구개발의 경제성장효과 분석, 서울: 한국금융연구원.
  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가), IT융.복합 산업 혁신을 위한 스마트센서 산업 육성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나), 범부처 GIGA KOREA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다), 신산업 창출을 위한 SW융합 기술 고도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가), 2013년 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일관성 제고를 위한 조사 체계 개선 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나),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다),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2판), 연구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가), 휴먼ICT 중소기업 창조생태계 기반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나), ICT융합 Industry4.0s(조선해양)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0. 한국은행 (2014), 한국의 국민대차대조표 해설, 서울: 한국은행.
  31.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2015), 2014 ICT실태조사, 서울: 정보통신진흥협회.
  32. 홍재표.최나린.김방룡 (2012), "IT산업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7(9): 837-848.
  33. 황석원.이우성.박종혜 (2010), 국가 R&D사업 경제적 타당성 평가 방법론 개선방안, 충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4. Basu, S. and Fernald, J. G. (2008), "Returns to Scale in U. S. Production: Estimate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5(2): 249-283. https://doi.org/10.1086/262073
  35. Bernstein, J. I. and Mamuneas, T. P. (2006), "R&D Depreciation, Stocks, User Costs and Productivity Growth for US R&D Knowledge Intensive Industries",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17(1): 70-98. https://doi.org/10.1016/j.strueco.2005.04.003
  36. Cardona M., T. Kretschmer, and T. Strobel (2013), "ICT and Productivity: Conclusions from the Empirical Literature",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25: 109-125. https://doi.org/10.1016/j.infoecopol.2012.12.002
  37. Coe, D. T. and Helpman, E. (1995), "International R&D Spillovers", European Economic Review, 39: 859-887. https://doi.org/10.1016/0014-2921(94)00100-E
  38. Cuneo, P. and Mairesse, J. (1984), "Productivity and R&D at the Firm Level in French Manufacturing", In Griliches, J. (ed.), R&D, patents and productivit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3-416.
  39. Edworthy, E. and Wallis, G. (2008), "Research and Development as a Value Creating Asset", Productivity Measurement and Analysis, 303.
  40. Englander, A. S., Evenson, R. and Hanazaki, M. (1988), "R&D Innovation and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Slowdown", OECD Economic Studies, 11: 7-42.
  41. Griliches, Z. (1979), "Issues in Assessing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ductivity Growth", Bell Journal of Economics, 10: 92-116. https://doi.org/10.2307/3003321
  42. Griliches, Z. (1980), "R&D and the Productivity Slowdown", American Economic Review, 70: 343-348.
  43. Griliches, Z. (1986), "Productivity, R&D, and Basic Research at the Firm Level in the 1970's", American Economic Review, 76(1): 141-154.
  44. Griliches, Z. (1994), "Productivity, R&D, and the Data Constraint", American Economic Review, 84(1): 1-23.
  45. Kim J. W. (2011), "The Economic Growth Effect of R&D Activity in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12(1): 25-44.
  46. Liik, M., Jaan, M., and Kadri, U. (2014), "The Contribution of R&D to Production Efficiency in OECD Countries: Econometric Analysis of Industry-level Panel Data", Baltic Journal of Economics, 14(1-2): 78-100. https://doi.org/10.1080/1406099X.2014.981105
  47. Mansfield, E. (1988), "Industrial R&D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Study", American Economic Review, 78(2): 223-228.
  48. Niininen, P. (2000), "Effect of Publicly and Privately Financed R&D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Finish Economic Papers, 13(1): 56-68.
  49. Sakurai, N., Ioannidis, E. and Papaconstantinou, G. (1996), The Impact of R&D and Technology Diffusion on Productivity Growth: Evidence for 10 OECD Countries in the 1970s and 1980s, OECD publishing.
  50. Solow, R. (1956), "Technological Change and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 Statistics, 70: 65-94.
  51. Terleckyj, N. E. (1974), "Effects of R&D on the Productivity Growth of Industries: An Exploratory Study", National Planning Association, Washington, D. C.
  52. Verspagen, B. (1995), "R&D and Productivity: A Broad Cross-section Cross-country Look",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6(2): 119-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