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educator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초

The Long-Term Effects of Famili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 Childhood: Predictors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during the Early Adolescent Period and Late Life Periods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6권1호
    • /
    • pp.103-115
    • /
    • 2005
  • This study utilized data (a sample of 18,553 people born in 1958 in England, Scotland, and Wales) from the National Child Development Study of 1968 and 1991 to explore the influence of familial difficulties on the internalizing behavioral patterns during the early adolescent period and late life outcomes periods. In this paper,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include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to adults', 'hostility to children', and 'withdrawal'. Late outcomes were analyzed in two different variables and one marital management domain: 'unemployment', 'seen doctors about emotional problems', 'divorce or separation; never lived as a couple; arguments end in violent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familial difficulties also have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giving them emotional and behavioral instabilit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familial difficulties during childhood positively contribute to late life outcomes such as unemployment, emotional problems, and marital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nee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arious familial difficulties, counselors and educators must guide parents.

내용기반 교수법을 근거로 예비 유아교사 교육을 실시한 교수자의 어려움 (Understanding Instructor's Challenges of Content Based Instruction :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안효진;김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81-20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영어로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교수자가 구성한 어려움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내러티브 탐색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관찰, 인터뷰, 학생들이 작성한 반성적 저널이 연구 자료로 수집되었다. 그 결과, 우선, 준비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원어민이 아니지만,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는 압박과 영어로 수학교육내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려하였다. 수업 하는 단계에서 교수자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동기 유발을 갖도록 하는 것과 교수자와 학생, 학생들 간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준비와 실행 단계에서 부족했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학과에서 영어로 전공 수업을 하는 상황에서 의미 있고,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찾아보는 것에 기여를 할 것이라 사려된다.

교사들의 스마트 교육 수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탐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Beliefs about the Acceptance of Smart Education and Preschoolers' Digital Literacy)

  • 이은정;이재신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64-83
    • /
    • 2016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과 유아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과 신념을 살펴봄으로써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사들이 스마트 교육 수용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하여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스마트 교육의 제한적인 활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교사들이 가진 기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스마트 교육의 수용을 저해하는 장애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인식 개선이 스마트 교육 활성화의 중요한 전제 조건임을 보여준다.

Technological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Focusing on Distance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 Shin, Hyej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207-222
    • /
    • 2020
  • As the COVID-19 continues spreading,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MOE) announced that all public school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ust begin on April 9, 2020, via online teaching for the first time in the nation's history. There were opposite views among educators regarding the unprecedented attempt to start school onlin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rategies and policies of distance learning in the public education sector using the experiences in Korea, which has been deal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past six months, and thus pres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may be of interest other countries in the post-COVID-19 era.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d the distance education policy in two domains: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technological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n examined what specific policies have supported distance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For the analysis of policies supporting distance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levant documents that include the annual plan and press release uploaded on the website of MOE from early March until early August. Accordingly, 13 documents that contain the distance education polic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and ensure fair resource allocations, technological inequality should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inequality. Finally, this study looks at how strategies and policies could be related to educational equality and equity.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A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성안나;김연하;이지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8
    • /
    • 2022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eacher support for children's play (age 3-5)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3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were all perform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PTPSS) was finalized with 25 item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our sub-factors: interaction, play materials, play space, and play safet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measures such as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Play,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lso desirable. Conclusion/Implications: The PTPSS was verified as a sound measure quantifying the play support behavior of teachers who respect the autonomy and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which is being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충청지역의 한국학생과 중국학생을 대상으로- (Comparative Study on Pre-childhood Educator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in Chungcheong Area-)

  • 이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70-480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한국과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내용은 t검정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과 중국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다문화 유아 및 가정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전반적으로 한국 예비유아 교사들이 다문화 유아 및 가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다문화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반적으로 한국 예비유아교사들이 더 긍정적이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 자신감'은 중국 예비유아교사들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과정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과정에서 이론중심 교육보다는 실습중심의 교육으로 다문화 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fluence of Psychosocial Factors on Energy Drink Consumption in Korean Nursing Students: Never-consumers versus Ever-consumers

  • Choi, Jihe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48-5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affeine-containing energy drink consumption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associated psychological factors. Methods: In total, 187 Korean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factors (self-esteem, academic stress,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associated with energy drink consumption.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x^2$ test, the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More than two-thirds (73.3%) of the participants had consumed energy drinks. Among the investigated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ppeared to most strongly influence energy drink consumption behaviors in this population. Conclusion: The consumption of caffeine-containing energy drinks was found to be common among nursing students preparing to become health care professionals; depressed nursing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consumed energy drinks than non-depressed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emphasize the early detection of unhealthy beverage consumption habits an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to enhance healthy behaviors in future health care professionals.

University Faculty's Perspectives on Implementing ChatGPT in their Teaching

  • Pyong Ho Kim;Ji Won Yoon;Hye Yoo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56-61
    • /
    • 2023
  • The present study explored a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university professors' perspectives on the implementation of ChatGPT - an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language model - in their teaching practices. A diverse group of 30 university professo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about the level of their interest in implementing the tool, willingness to apply it, and concerns they have regarding the intervention of ChatGPT in higher education set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are highly interested in employing the tool into their teaching practice, and find that the students are likely to benefit from using ChatGPT in classroom settings. On the other hand, they displayed concerns regarding high depandency on data, privacy-related issues, lack of supports required, and technical contraints. In today's fast-paced society, educators are urged to mindfully apply this inevitable generative AI means with thoughtfulness and ethical considerations to and for their learners. Relevant topics are discussed to successfully intervene AI tools in teaching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유아교육과 재학생의 교육실습 실태 분석 (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Field of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 송주승;정혜명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57
    • /
    • 2009
  • 본 연구는 경기도 K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의 실습기관을 대상으로 서울 강서구, 인천광역시, 부천, 일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72군데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의 실습현황과 교육환경을 알아보았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실습생들의 실습지도 현황과 교사들의 근무시간, 급여. 유아교사와 기관장의 여성 편중화 현상 등에 대해 4주간의 교육실습 경험을 가진 예비교사들의 객관적 견해와 현황파악을 하여 자료를 제공함으로 실습지도 현황 파악에 목적을 두었다. 실태 분석 결과에 의하면 4주간의 현장실습은 유아교사를 지망하고 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이 현장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어 졸업 후 취업을 위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실습생들은 유아교사로서 수업을 할 때 자신에게 가장 부담이 되고 부족함을 느꼈던 부분은 음악, 미술, 손유희 등의 실기부분이라고 답변했다. 또 남자교사의 필요성을 부분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실습기관의 실습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현황파악과 능력있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교육과 현장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갖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4th year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metropolitan universities-)

  • 박주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60-372
    • /
    • 2017
  •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와 언어능력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뿐만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었음이 검증되면서 최근에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은 유아기 예술경험의 중요성과 더불어 예술능력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은 폭넓은 문화예술의 소양과 감각을 지닌 교사와 문화예술전문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정규수업에서 통합적인 영역을 다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한 일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양성에 있어서 강화된 문화예술교육을 포함하는 것은 유아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으로 볼 때 매우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4년제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예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과 특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면, 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역량 향상을 위해 문화예술능력의 기준과 이수교과목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문화예술전문가에 의한 교육으로 문화예술교과의 확대와 통합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인재양성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은 유아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아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예술적 체험을 통한 전인적인 인격형성이 목적이기에 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제도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고 문화예술영역에 소양과 감각을 기를 수 있는 체험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 후 각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예술문화의 수용력과 해득력을 높일 수 있는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폭넓은 문화예술교과의 연계와, 융합 등에 대한 개선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