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eaching Practice Field of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유아교육과 재학생의 교육실습 실태 분석

  • Received : 2009.04.30
  • Accepted : 2009.06.2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ing practice of students attending a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in K City,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72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where they received field training and which were located in Gangseo-gu,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Bucheon, and Ilsan. After four weeks of teaching practice, those prospective teachers were surveyed for their objective opinions and current state regarding the practice guidance for students, teachers' working hours and wages, and female dominance in number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hea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ose data were collected to understand the oper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e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aid the four-week teaching practice was very helpful for them to understand the field and thus had positive receptions of it. Most of the prospective teachers felt the heaviest burden and experienced the biggest shortcomings in practical skills such as music, art, and hand play during class. They also felt a partial need for male counterparts. Those findings will help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 the field further before going out on the field and the teaching bodies have specific ideas about what kind of guidance is provided by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they will hopefully serve as basic data to form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field to produce more tal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는 경기도 K시에 소재하고 있는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의 실습기관을 대상으로 서울 강서구, 인천광역시, 부천, 일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72군데에서 이루어진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의 실습현황과 교육환경을 알아보았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실습생들의 실습지도 현황과 교사들의 근무시간, 급여. 유아교사와 기관장의 여성 편중화 현상 등에 대해 4주간의 교육실습 경험을 가진 예비교사들의 객관적 견해와 현황파악을 하여 자료를 제공함으로 실습지도 현황 파악에 목적을 두었다. 실태 분석 결과에 의하면 4주간의 현장실습은 유아교사를 지망하고 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들이 현장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어 졸업 후 취업을 위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실습생들은 유아교사로서 수업을 할 때 자신에게 가장 부담이 되고 부족함을 느꼈던 부분은 음악, 미술, 손유희 등의 실기부분이라고 답변했다. 또 남자교사의 필요성을 부분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실습기관의 실습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현황파악과 능력있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교육과 현장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갖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미 (2003). 유아교사들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34, 111-127.
  2. 김용숙 (1987). 교직의 여성화에 문제 있다. 대학교육, 27(5), 108-112.
  3. 동아일보. (1996. 5. 16). 사설: 남성교사 적어 고민.
  4. 백은주 (2007). 유치원교사의 교직생활유형에 따른 배경요인 및 사고양식의 차이.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280-281.
  5. 오영희, 이성희. (199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관찰 및 참여. 서울: 양서원.
  6. 이나미 (2006). 남자 유아교사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이분려. (1998). 유치원 조직풍토와 직무만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일우. (2003). 사립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 원인 및 이직계획시기와 직무태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7(4), 39-52.
  9. 정찬익. (1992). 가속되는 교직의 여성화 현상과 전망. 새교육, 92(4월호), 28.
  10. 조경자, 이현숙. (2004). 남자유아교사에 대한 유아교육과 여학생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4(6), 4-47.
  11. 안선희, 김지은. (2007). 영아 및 유아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 근무여건,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47-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