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4초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 이효빈;권연희;안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5-12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Based on Kane and Trochim's(2007) procedu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brainstorming an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20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s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eight clusters. The following eight clusters were established (1)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2) nature environment, (3) recognizing and cop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4) environmental preservation practices, (5)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6) purpos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7) necessity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8) Practice through connection with child's home and community. And then among the eight clusters, the most important was recognized as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and among the statements 'young children learn through the method of playing in nature and experience natur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support to develop teacher's training program.

유아환경교육프로그램이 환경오염에 대한 지식, 정서적 태도, 행동통제감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Emotion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toward Environmental Pollution)

  • 권기남;유안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99-114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on the basis of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knowledge, emoti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of environmental pollution on their knowledge, emotion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A total of 146 five-year-old preschoolers from eight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knowledge the preschoolers had, the more negative emotional attitude they displayed. Furthermore, the more negative emotional attitude they displayed,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y had.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varied with exposure situation to environmental pollution. Second, afte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eschoolers from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more knowledge, more negative emotional attitude, higher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more active behavioral intention towards environmental pollut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문학을 활용한 유아 환경교육에 관한 연구 (The Use of Children's Literature for Research o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 김정원
    • 아동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5-115
    • /
    • 2003
  • This research examined he effects on preschool children's recognition of and attitude towards earth's nature of an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children's literature. The subjects were 36 four-to six-year old children. The education program lasted for 8 weeks. Children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about earth's nature, and the meanings of children's writings about nature were analyzed.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recogni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nature of the earth. Participants became keen observers of the world around them, examined the concept of change in nature, acquired knowledge about the earth through firsthand experiences, and developed caring attitudes for the natural world of the earth.

  • PDF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Analysis of Metaphor for Teacher Happi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강유진;고희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05-2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w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teacher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4-year universities in the Gyeongnam area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07 out of the 2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First, bas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were deri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ypified teacher happiness into five type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happiness as positiv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nd purpose of life as positive, while environmental control and autonomy were perceived as negativ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study result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녹색소비 실천교육이 유아의 녹색소비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een Consumption Practi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 전예화;제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27-537
    • /
    • 2012
  • Green consumption refers to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use and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and disposing of products in an eco-friendly manner.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green consumption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offered to young children in a university-sponsored daycare. The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s toward the environment through green consump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presented to 22 5-year old children in 15-20 minutes sessions, once a week for 4 weeks.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Upon the completion of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noticeable changes in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 the environment. Mothers of participating children reported that children's environmental behaviors changed significantly, displaying a stronger green consumption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du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hildren'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and conservation practices.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f Verification of Effect on th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 유혜숙;강성현;김현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995-6003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교육 경험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들에게 적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경북에 소재한 M유치원 학부모 어머니 200명과 그 자녀들 200명으로 유아들에게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시한 후 환경적 생활태도 변화를 어머니들이 관찰하여 조사도구에 응답하였다. 환경교육프로그램활동을 실시한 후 결과는 첫째, 유아들의 환경생활태도를 향상시키며, 둘째, 인지능력의 발달에 따라 환경에 관한 지식, 가치정립수준의 변화를 보였다. 다만 그 효과가 단기간에 도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며 체험적 환경교육이 더욱 유익하였다. 하위영역별 효과를 보면 재활용, 절약, 환경오염방지 순으로 그 효과가 높았으며 성별에 따른 효과는 남아보다 여아가, 만4세아보다는 만6세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을 활동이 유아에게 환경 생활태도, 인지능력에 따른 환경관련 지식, 가치정립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 진재섭;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3-160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주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환경요인, 물질적 지지, 행동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83%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생태유아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 in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 손은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66-57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유아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2008년 3월부터 2015년 10월까지의 학위논문 총 97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생태유아교육 연구대상은 유아대상, 교사대상, 실내외 환경 대상, 부모대상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단일연령 중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만4세, 만3세, 만2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조사연구, 문헌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내용으로는 생태유아교육의 관련변인 모색,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학문적, 이론적 기초방향모색, 생태유아교육과정의 이해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보육과정의 연계, 생태교사교육 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내용으로는 숲 체험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텃밭 가꾸기, 산책활동, 생태미술, 영성활동, 동 식물 기르기, 환경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SW·AI 교육 실태조사를 기초로 한 유아 SW·AI 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SW·AI Education Based on Actual Condition Survey of Kindergarten SW·AI Education)

  • 변영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3-97
    • /
    • 2022
  • 4차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의 SW·AI 교육 실태조사를 통하여 이를 기초로 유아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진정한 의미의 유아 SW·AI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 추출(convenience sampling)을 통하여 총 194개의 유치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표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현재 전체 조사대상의 44%의 유치원에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66%가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유치원 중 22%가 정규교육과정 형태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70%가 방과 후 특별활동 형태로 SW·AI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SW·AI 교육은 해당 연령의 학급 교실(80%)에서 주로 외부 강사(97%)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의 SW·AI 교육내용으로는 네이버, 클로바 등의 관련 업체에서 개발된 블록 코딩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모두 관련 업체가 개발한 교구·재를 포함하여 프로그램과 교구재 사용을 패키지 형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조사 대상의 56%가 현재 SW·AI 교육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SW·AI 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인적·환경적 인프라 부족 등이 주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토대로 유치원 과정에서 유아교육의 본질과 특성을 지닌 SW·AI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첫째, 놀이 중심의 컴퓨팅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유아 발달을 고려한 SW·AI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SW·AI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SW·AI 역량을 제고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교육 전문가와 SW·AI 교육전문가로 구성된 유아 SW·AI 전담부서의 설립 및 국가 차원의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ture-Friendl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Practice Attitude of Children)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91-5097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충청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5세반 원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22명(남 12명, 여 10명)과 통제집단 21명(남 12명, 여 9명)으로 총 43명을 대상으로 실험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인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태도에 있어서는 통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집단의 경우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태도의 각 하위요인별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과 '심미적 체험', '정서적 안정'에 있어서 통제집단의 경우 감소하였으나 실험집단은 증가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환경오염 예방활동', '실천태도'에 있어서는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증가하여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유아들의 자연친화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태도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아기 때부터 자연의 소중함을 반복적인 생활태도 교육을 통해 유아의 환경오염 예방과 실천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입증시켜 준 결과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