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1

검색결과 5,368건 처리시간 0.035초

광주지방 유우의 비유곡선 (Studies on the Lactation Curve of Holstein Cows in Gwangju Area)

  • 나진수;문승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5
    • /
    • 1982
  • A study of 188 lactations of Holstein cows in Gwangju area was undertaken to establish the shape of lactation curve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in 1980 to January in 1982. The Gammafunction described by Wood(1967) was fitted to the lactations observed.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actation curve of the 188 lactations was expressed by the equation based on Wood's model (1967) as follows; Yn=24.5m0.0762e-0.0944n(R2=0.99) 2. The lactation curves by parity were represented by the equations as follows; Yn=18.81n0.1486e-0.0741n(R2=0.98)……………parity 1 Yn=26.51n0.1161e-0.1200n(R2=0.96)……………parity 2 Yn=26.95n0.2804e-0.1703n(R2=0.99)……………parity 3 Yn=27.92n0.1429e-0.1427n(R2=0.98)……………parity 4 Yn=22.61n0.1985e-0.1211n(R2=0.94)……………parity 5 3. The lactation curves by calving seasons were represented by the equationes as follows; Yn=27.05n0.0739e-0.1005n(R2=0.98)……………spring Yn=23.08n0.2040e-0.1202n(R2=0.98)……………summer Yn=26.81n0.0460e-0.1134n(R2=0.98)……………autumn Yn=23.40n0.1299e-0.1101n(R2=0.95)……………winter

  • PDF

RECURRENCE RELATIONS FOR QUOTIENT MOMENTS OF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BY RECORD VALUES

  • LEE, MIN-YOUNG;CHANG, SE-KYUNG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26권4호
    • /
    • pp.463-469
    • /
    • 2004
  • In this paper we establish some recurrence relations satisfied by quotient moments of upper record values from the exponential distribution. Let $\{X_n,\;n{\geq}1\}$ be a sequence of independent and identically distributed random variables with a common continuous distribution function F(x) and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df) f(x). Let $Y_n=max\{X_1,\;X_2,\;{\cdots},\;X_n\}$ for $n{\geq}1$. We say $X_j$ is an upper record value of $\{X_n,\;n{\geq}1\}$, if $Y_j>Y_{j-1}$, j > 1. The indices at which the upper record values occur are given by the record times {u(n)}, $n{\geq}1$, where u(n)=min\{j{\mid}j>u(n-1),\;X_j>X_{u(n-1)},\;n{\geq}2\} and u(1) = 1. Suppose $X{\in}Exp(1)$. Then $\Large{E\;\left.{\frac{X^r_{u(m)}}{X^{s+1}_{u(n)}}}\right)=\frac{1}{s}E\;\left.{\frac{X^r_{u(m)}}{X^s_{u(n-1)}}}\right)-\frac{1}{s}E\;\left.{\frac{X^r_{u(m)}}{X^s_{u(n)}}}\right)}$ and $\Large{E\;\left.{\frac{X^{r+1}_{u(m)}}{X^s_{u(n)}}}\right)=\frac{1}{(r+2)}E\;\left.{\frac{X^{r+2}_{u(m)}}{X^s_{u(n-1)}}}\right)-\frac{1}{(r+2)}E\;\left.{\frac{X^{r+2}_{u(m-1)}}{X^s_{u(n-1)}}}\right)}$.

  • PDF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

가변 시간 골드스미트 부동소수점 나눗셈기 (A Variable Latency Goldschmidt's Floating Point Number Divider)

  • 김성기;송홍복;조경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80-389
    • /
    • 2005
  • 부동소수점 나눗셈에서 많이 사용하는 골드스미트 나눗셈 알고리즘은 일정한 횟수의 곱셈을 반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차가 정해진 값보다 작아질 때까지 곱셈을 반복하여 나눗셈을 수행하는 가변 시간 골드스미트 부동소수점 나눗셈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부동소수점 나눗셈 ‘$\frac{N}{F}$'는 'T=$\frac{1}{F}+e_t$'를 분모와 분자에 곱하면 ’$\frac{TN}{TF}=\frac{N_0}{F_0}$'가 된다. ’$R_i=(2-e_r-F_i),\;N_{i+1}=N_i{\ast}R_i,\;F_{i+1}=F_i{\ast}R_i$, i$\in${0,1,...n-1}'를 반복한다. 중간 곱셈 결과는 소수점이하 p 비트 미만을 절삭하며, 절삭 오차는 ‘$e_r=2^{-p}$', 보다 작다. p는 단정도실수에서 29, 배정도실수에서 59이다. ’$F_i=1+e_i$'이라고 하면 ‘$F_{i+1}=1-e_{i+1},\;e_{i+1},\;e_{i+1}'이 된다. '$[F_i-1]<2^{\frac{-p+3}{2}}$'이면, ’$e_{i+1}<16e_r$'이 부동소수점으로 표현 가능한 최소값보다 작아지며, ‘$N_{i+1}\risingdotseq\frac{N}{F}$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입력 값에 따라서 곱셈 횟수가 다르므로, 평균 곱셈 횟수를 계산하는 방식을 도출하고, 여러 크기의 근사 역수 테이블($T=\frac{1}{F}+e_t$)에서 단정도실수 및 배정도실수의 나눗셈 계산에 필요한 평균 곱셈 횟수를 계산한다. 이들 평균 곱셈 횟수를 종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오차가 일정한 값보다 작아질 때까지만 반복 연산을 수행하므로 나눗셈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적의 근사 역수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 신호처리, 컴퓨터 그라픽스,, 멀티미디어, 과학 기술 연산 등 부동소수점 계산기가 사용되는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가변 시간 골드스미트 부동소수점 제곱근 계산기 (A Variable Latency Goldschmidt's Floating Point Number Square Root Computation)

  • 김성기;송홍복;조경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88-198
    • /
    • 2005
  • 부동소수점 제곱근 계산에 많이 사용하는 골드스미트 제곱근 알고리즘은 곱셈을 반복하여 제곱근을 계산한다. 본 논문에서는 골드스미트 제곱근 알고리즘의 반복 과정의 오차를 예측하여 오차가 정해진 값보다 작아지는 시점까지 반복 연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의 제곱근 계산은 초기값 $X_0=Y_0=T^2{\times}F,\;T=\frac{1}{\sqrt {F}}+e_t$에 대하여, $R_i=\frac{3-e_r-X_i}{2},\;X_{i+1}=X_i{\times}R^2_i,\;Y_{i+1}=Y_i{\times}R_i,\;i{\in}\{{0,1,2,{\ldots},n-1} }}'$을 반복한다 곱셈 결과는 소수점 이하 p 비트 미만을 절삭하며, 절삭 오차는 $e_r=2^{-p}$보다 작다. p는 단정도실수에서 28, 배정도실수에서 58이다. $X_i=1{\pm}e_i$ 이면 $X_{i+1}$ = $1-e_{i+1}$ $e_{i+1} {\frac{3e^2_i}{4}{\mp}\frac{e^3_i}} $ +4$e_{r}$이다. $|X_i-1|$ < $2^{\frac{-p+2}{2}}$이면, $e_{i+1}$ < $8e_{r}$ 이 부동소수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최소값보다 작게 되며, $\sqrt{F}$ {\fallingdotseq}\frac{Y_{i+1}}{T}}$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입력 값에 따라서 곱셈 횟수가 다르므로, 평균 곱셈 횟수를 계산하는 방식을 도출하고, 여러 크기의 근사 역수 제곱근 테이블 ($T=\frac{1}{\sqrt{F}}+e_i$)에서 단정도실수 및 배정도실수의 제곱근 계산에 필요한 평균 곱셈 횟수를 계산한다. 이들 평균 곱셈 횟수를 종래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증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오차가 일정한 값보다 작아질 때까지만 반복하므로 제곱근 계산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적의 근사 역수 제곱근 테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 신호처리, 컴퓨터 그래픽스, 멀티미디어, 과학 기술 연산 등 부동소수점 계산기가 사용되는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 (R&E) 운영실태 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안: R&E 운영담당자 면담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s in the Science High Schools and Gifted High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with the R&E Coordinators)

  • 정현철;류춘렬;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43-2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운영지원현황 및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R&E 운영단계를 준비-계획-실행-평가-종료 5단계로 구분하여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총 18개 과학고와 3개 영재학교 R&E 운영담당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0년 12월, 전수조사를 목적으로 각 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R&E 운영담당자 21명(100%)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준비단계에서 학생의 R&E 수행지침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운영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계획 단계에서 지도자를 대상으로 윤리적인 문제, 참고자료, 학생배경 특성 등에 관한 안내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 지도자의 의무와 역할, 연구정보 및 업적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R&E 실행단계에서는 80%의 학교가 수행 점검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세부적인 점검내용에 대한 기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네 번째, 평가단계에서 산출결과의 평가기준은 모든 학교가 갖추고 있었으나,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기준은 약 절반의 학교만 가지고 있었고, 평가비율에 발표내용과 결과보고서 비율이 높게 나타나 평가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료단계에 결과자료집은 100% 보관되고 있었으나 평가결과는 2/3 학교가, 그리고 지도교수 정보는 약 1/3의 학교만이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관찰 내용 및 면담자료도 비교적 잘 보관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R&E 프로그램운영을 위한 운영개선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선형 요소에 의해 생성된 부분그룹의 크기에 관한 연구 (On The Size of The Subgroup Generated by Linear Factors)

  • 취쳉;황선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6호
    • /
    • pp.27-33
    • /
    • 2008
  • 차수가 h인 다항식 ${\hbar}(x){\in}F_q[x]$에서, $x-s_1,\;x-s_2,\;{\cdots},\;x-s_n$에 의해 생성된 $\(F_q[x]/({\hbar(x))\)*$의 multiplicative subgroup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여기서 $\{s_1,\;s_2,\;{\cdots},\;s_n\}{\sebseteq}F_q$이고 모든 i 에 대해서, ${\hbar}(x){\neq}0$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asymptotic lower bound는 $(rh)^{O(1)}\(2er+O(\frac{1}{r})\)^h$이며, 여기서 $r=\frac{n}{h}$이고 e(=2.718...)는 natural logarithm의 기저이다. 본 논문에서는, coding theory 문제와 연계해서 더 낳은 lower bound인 $(rh)^{O(1)}\(2er+{\frac{e}{2}}{\log}r-{\frac{e}{2}}{\log}{\frac{e}{2}}+O{(\frac{{\log}^2r}{r})}\)^h$를 증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log는natural logarithm을 나타내며, 또한 이방식의 제약점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붉은서나물 지상부의 성분 (Constituents of Aerial Parts from Erechtites hieracifolia)

  • 이재훈;권학철;최상진;이원빈;방은정
    • 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9-346
    • /
    • 2001
  • A new oxygenated monoterpene (4) was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the aerial part of Erechtites hieracifolia together with six known components, a dimethylheptane (1), three ionone derivatives (2, 3 and 7) and two phenylpropanoids (5 and 6).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means of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to be (2E, 5E)-6-hydroxy-2,6-dimethylhepta-2,4-dienal (1), 3(R)-hydroxy-5,6-epoxy-$\beta$-ionone (2), 3(R)-hydroxy-5,6-epoxy-7-ionol (3), (3E, 6E)-3,7-dimethylocta-3,5-dien-1,2,7-triol(4), 2-hydroxy-4-(2-propenyl)phenyl-$\beta$-D-glucopyranoside (5), 2-methoxy-4-(2-propenyl)phenyl -$\beta$-D-glucopyra-noside (6) and (6R, 9R)-3-oxo-$\beta$-ionol-$\alpha$-D -glucopyranoside (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