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ench treatmen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Pseudomonas cepacia로부터 유래한 4-quinolinone 대사물질과 4-quinolinone-3-carboxylate 유도체의 고추(Capsicum annum)에서의 생장촉진 효과 (Plant growth promoting effect of 4-quinolinone metabolites from Pseudomonas cepacia and 4-quinolinone-3-carboxylate derivatives on red pepper plant (Capsicum annum))

  • 문석식;명을재;조순장;박재범;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4-71
    • /
    • 2002
  • Pseudomonas cepacia로부터 유래한 quinolinone 대사물질인 2-(2-hepteny)-3-methyl-4-quinolinone (1), 2-heptyl-3-methyl-4-quinolinone, 2-nonyl-3-methyl-4-quinolinone 및 합성물질 ethyl 2-methyl-3-alkyl-4-quinolinone carboxylate의 식물생장촉진 효과를 보기 위해 종자발아검정 및 경엽처리 후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종자침지 및 관주 처리후의 초고, 생체중, 과실수도 조사하였다. 화합물 1은 종자발아 효과와 경엽처리 후에 일관된 생장촉진 효과를 보였다. 종자침지와 관주처리 후에, 화합물 1과 합성물질 ethyl 2-methyl-4-quinolinone-3-carboxylate (5)를 처리한 식물에서의 생체중과 과실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화합물1과 5는 대조관보다 각각 44%와 84%의 과실수 증가를 나타냈다.

Uniconazole 토양관주 처리가 포인세티아의 생육(生育) 및 개화(開花)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Uniconazole Drench on the Growth and Flowering in Poinsettia(Euphorbia pulcherrima Willd.))

  • 이은경;최근원;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5호
    • /
    • pp.581-583
    • /
    • 1999
  • 생장억제제인 uniconazole의 토양관주 처리가 포인세티아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포인세티아 재배시 적절한 uniconazole의 적절한 처리량과 처리시기를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uniconazole의 토양관주시 초장, 분지장, 엽면적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억제효과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0.05-0.10mg/pot 처리범위에서 적절한 효과를 보였다. Unionazole의 토양관주 처리시기가 이를수록 초장, 분지장, 엽면적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uniconazole처리에 따른 특징적인 약해는 관측되지 않았다.

  • PDF

절화 백합의 생장과 발육에 미치는 생장억제제의 관주처리 효과 (Effect of Drench Application of Growth Retardants on Growth and Development in Cut Lilies)

  • 박인숙;박송경;;황윤정;강시용;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8권3호
    • /
    • pp.165-170
    • /
    • 2010
  • 키가 큰 절화용 백합인 'Rialto'와 'Elodie' 및 'Raizan'을 분화 및 화단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ancymidol과 uniconazole 및 paclobutrazol을 농도별로 관주처리 하였다. 오리엔탈 백합인 'Rialto'의 경우, paclobutrazol을 처리한 구에서는 초장뿐만 아니라 잎과 꽃에 있어서도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ancymidol 처리구에서 생장은 농도에 관계없이 30% 이상 억제되었다. 한편 엽수나 개화수 등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Uniconazole $1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은 무처리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5와 $10mg{\cdot}L^{-1}$ 처리구에서는 30%정도 단축되었다. 아시아틱 백합인 'Elodie'의 경우 'Rialto'와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의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모든 ancymidol 관주처리구에서는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50~60% 단축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30mg{\cdot}L^{-1}$의 ancymidol 처리구에서는 엽수가 감소하였으며 개화소요일수도 무처리구보다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무처리구와 유사하였지만 5와 $10mg{\cdot}L^{-1}$ 처리구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신나팔나리인 'Raizan' 또한 상기의 두 품종과 마찬가지로 paclobutrazol 처리구에서는 왜화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다. Ancymidol 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초장이 무처리구보다 60% 이상 단축되었으며 특히 $30mg{\cdot}L^{-1}$ 처리구에서는 개화소요일수가 다소 지연되었다. Uniconazole $10mg{\cdot}L^{-1}$ 처리구에서 초장은 약 26% 감소하였으나 다른 형질은 무처리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ancymidol과 uniconazole의 관주 처리는 양적 형질에 큰 변화 없이 초장을 줄여 분화용 백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Paromomycin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AG-P 1441 Induces Resistance against Two Major Pathogens of Chili Pepper

  • Balaraju, Kotnala;Kim, Chang-Jin;Park, Dong-Jin;Nam, Ki-Woong;Zhang, Kecheng;Sang, Mee Kyung;Park, Kyung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9호
    • /
    • pp.1542-1550
    • /
    • 2016
  •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paromomycin, an antibiotic derived from Streptomyces sp. AG-P 1441 (AG-P 1441), controlled Phytophthora blight and soft rot diseases caused by Phytophthora capsici and Pectobacterium carotovorum, respectively, in chili pepper (Capsicum annum L.). Chili pepper plants treated with paromomycin by foliar spray or soil drenching 7 days prior to inoculation with P. capsici zoospores showed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in disease severity (%)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plants. The disease severity of Phytophthora blight was recorded as 8% and 50% for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respectively, at 1.0 ppm of paromomyci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where disease severity was 83% and 100% by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respectively. A greater reduction of soft rot lesion areas per leaf disk was observed in treated plants using paromomycin (1.0 μg/ml) by infiltration or soil drench in comparison with untreated control plants. Paromomycin treatment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growth of chili pepper. Furthermore, the treatment slightly promoted growth; this growth was supported by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in paromomycin-treated chili pepper plants. Additionally, paromomycin likely induced resistance as confirmed by the express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genes: PR-1, β-1,3-glucanase, chitinase, PR-4, peroxidase, and PR-10, which enhanced plant defense against P. capsici in chili pepper.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G-P 1441 plays a role in pathogen resistance upon the activation of defense genes, by secretion of the plant resistance elicitor, paromomycin.

육묘기 '매향' 딸기의 생육, 런너 및 자묘 생산에 미치는 지베렐린 처리방법 및 농도의 영향 (Gibberellin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Affect to Growth, Runner, and Daughter Plant Production in 'Maehyang' Strawberry during Nursery Period)

  • 강재현;김현민;김혜민;정현우;이혜리;황희성;정병룡;강남준;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4
    • /
    • 2018
  • 본 연구는 육묘기 동안 딸기 '매향'(Fragaria ${\times}$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 및 런너 생산과 묘소질에 있어 지베렐린($GA_3$)의 처리방법과 농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모주는 2018년 3월 20일에 상업적 생육배지로 충진된 포트 ($64{\times}27{\times}18cm$)에 정식하였다. 정식 후 4주째에 $GA_3$의 농도를 0, 50, 100, $200mg{\cdot}L^{-1}$로 식물체당 45mL씩 각각 엽면살포와 배지관주로 처리하였다. 정식 후 배양액의 EC는 $1.5dS{\cdot}m^{-1}$로 공급하였고 뿌리 활착 후 1일 2회 포트 당 350mL(1회당 15분)를 공급했다. 처리 후 7주째에 딸기의 모주의 생육 특성을 측정하였고, 처리 후 10주째에 딸기 자묘의 생육특성을 측정하였다. 모주의 런너 길이와 직경은 $200mg{\cdot}L^{-1}$의 엽면살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각각 가장 길고 두꺼웠다. 모주의 SPAD값은 $200mg{\cdot}L^{-1}$의 엽면살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엽장, 엽폭, 크라운 직경은 $GA_3$의 처리방법과 농도에 대한 모든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A_3$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딸기의 크라운이 기형적으로 길어지는 생리장해가 나타났다. $200mg{\cdot}L^{-1}$의 엽면살포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많은 생리장해가 나타났으며 배지관주에서는 엽면살포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런너와 자묘의 수는 처리방법에 무관하게 $GA_3$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자묘의 생육 특성에서, 첫번째 자묘의 엽장과 엽폭, 두 번째 자묘의 초장, 크라운 직경, 엽면적과 SPAD 값, 세 번째 자묘의 초장이 $100mg{\cdot}L^{-1}$의 배지관주에서 유의성 있게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딸기 모주의 생육과 런너 생산 및 자묘의 생육은 $GA_3$ $100mg{\cdot}L^{-1}$의 배지관주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IBA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딸기 '매향'의 측아 발생 억제와 자묘 생육 (Lateral Bud Suppression and Runner Plants Growth of 'Maehyang' Strawberry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IBA)

  • 황희성;정현우;이혜리;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8
    • /
    • 2020
  •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 ×90n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 mg·L-1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 mg·L-1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 mg·L-1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 mg·L-1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 친환경 재배를 위한 Chitosan 처리 효과 (Effects of Chitosan o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for Eco-friendly Agriculture)

  • 문영훈;이진호;안병구;최인영;정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635-641
    • /
    • 2012
  • Chitosan이 친환경 고추재배를 위한 친환경자재로써 토양환경개선과 고추수량 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엽면시비, 토양관주, 두 가지를 혼합처리 하였다.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무처리에서 99.4%였고, chitosan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발아율은 높았지만 대조구보다는 낮았다. 수확기에 조사한 토양화학성분은 chitosan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정식전 보다 모두 감소하였다. Chitosan 처리횟수가 증가할수록 토양중 세균과 방선균 밀도는 증가하였고, chlorophyll 함량은 대조구보다 많았다. 고추 잎의 P 함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N는 14일 간격으로 엽면시비를 하거나 21일 간격으로 토양관주를 했을 때 무처리 수준과 같았고, Ca, Mg, K는 7일 간격으로 혼합처리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토양관주를 했을 때 생육상태는 가장 우수하였지만, 수량은 대조구에서 $383kg\;10a^{-1}$ 수준으로 가장 많았고, 토양관주 처리에서 대조구의 93.0~95.0% 수준을 보였다.

Root Colonization and ISR-mediated Anthracnose Disease Control in Cucumber by Strain Enterobacter asburiae B1

  • Bharathkumar, S.;Park, Jin-Woo;Han, Ji-Hee;Park, Kyung-S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33-343
    • /
    • 2009
  • Here, we show that an endophytic bacterial strain, Enterobacter asburiae B1 exhibits the ability to elicit ISR in cucumber, tobacco and Arabidopsis thaliana. This indicates that strain B1 has a widespread ability to elicit ISR on various host plants. In this study, E. asburiae strain B1 did not show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ested major fungal pathogens, Colletotrichum orbiculare, Botrytis cinerea, Phytophthora capsici, Rhizoctonia solani, and Fusarium oxysporum. Moreover, the siderophore production by E. asburiae strain B1 was observed under in vitro condition. In greenhouse experiments, the root treatment of strain B1 significantly reduced disease severity of cucumber anthracnose caused by fungal pathogen C. orbiculare compared to nontreated control plants. By root treatment of strain B1 more than 50% disease control against anthracnose on cucumber was observed in all greenhouse experiments. Simultaneously,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 the soil drench of strain B1 and a chemical inducer benzothiadiazole (BTH) to tobacco plants induced GUS activity which is linked with activation of PR promoter gene. Furthermore, in Arabidopsis thaliana plants the soil drench of strain B1 induced the defense gene expression of PR1 and PDF1.2 related to salicylic acid and jasmonic acid/ethylene signaling pathways, respectively. In this study, for the main focus on root colonization by strain B1 associated with defense responses, bacterial cells of strain B1 was tagged with the gfp gene encoding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in order to determine the colonization pattern of strain B1 in cucumber. The gfp-tagged B1 cells were found on root surface and internal colonization in root, stem, and leaf. In addition to thi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showed that E. asburiae strain B1 was able to colonized cucumber root surface.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in Watermelon to Gummy Stem Rot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 Lee, Yong-Hoon;Lee, Wang-Hyu;Shim, Hyeong-Kwon;Lee, Du-K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312-317
    • /
    • 2000
  • The selected five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strains, WR8-3 (Pseudomonas fluorescens), WR8-6 (P. putida), WR9-9 (P. fluorescens), WR9-11 (Pseudomonas sp.), and WR9-16 (P. putida) isolated in the rhizosphere of watermelon plants were tested on their growth promotion and control effect against gummy stem rot of watermelon. Strains, WR8-3 and WR9-16 significantly increased stem length of watermelon, and there was a little increase in leaf area, fresh weight and root length when strains, WR8-3, WR9-9 and WR9-16 were treated. Generally, seed treatment was better for plant growth promotion than the soil drenc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ed treatment and soil drench of each bacterial strain also significantly reduced the mean lesion area (MLA) by gummy stem ro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reatments. At initial inoculum densities of each strain ranging from 10$^6\;to\;10^{15}$ cfu/g seed, approximately the same level of disease resistance was induced. But resistance induction was not induced at the initial inoculum density of 10$^3$ cfu/g seed. Resistance was induced by treating the strains, WR9-9, WR9-11 and WR9-16, on all of four watermelon varieties tes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crease of gummy stem rot among varieties. Populations of the strains treated initially at log 9-10 cfu/g seed, followed with a rapid decrease from planting day to 1 week after planting, but the population density was maintained above log 5.0 cfu/g soil until 4 weeks after planting. Generally no or very weak in vitro antagonism was observed at the strains treated excepting WR9-11. Rifampicin-resistant bacteria which had been inoculated were not detected in the stems or leaves, which suggesting that the bacterium and the pathogens remained spatially separated during the experimen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sistance induction in watermelon to gummy stem rot by PGPR strains.

  • PDF

감귤선충 (Tylenchulus semipenetrans) 에 대한 DBCP 유제처리효과 (On the Effects of Emulsifiable DBCP for Control of the Citrus-root Nematode, Tylenchulus semipenetrans in Two Citrus Orchards)

  • 이영배;한상찬;박중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1-146
    • /
    • 1975
  • 감교선출(Tylenchulus semipenetrans)에 대한 DBCP(Dibromo chloropropane) $80\%$ 유제의 처리방법 및 약량과 회수를 규명코저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약량의 증가에 다라, 점주가 관주처리보다 좋은 효과를 보였다. 2. 온주귤원에서는 배수가 나빠서 2회처리로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3. 점토함량이 낮은 하귤원에는 3.3-4.4l/10a의 1회점주처리가, 점토함량이 높은 온주귤원에는 4.4l/10a씩 2회점주처리가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