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main-generality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기호 형태의 값-집합 분석을 이용한 ARM 위치 독립적 코드의 정교한 역어셈블리 기법 (A Disassembly Technique of ARM Position-Independent Code with Value-Set Analysis Having Symbol-Form Domain)

  • 하동수;오희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33-1246
    • /
    • 2018
  • 스마트 모바일의 보급에 따라, 컴퓨터 보안에서 ARM 아키텍처 명령어로 구성된 위치 독립적 코드의 역어셈블리 기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기법들은 x86 아키텍처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위치 종속적 코드의 문제 해결과 범용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ARM 아키텍처의 고정 길이 명령어와 위치 독립적 코드의 특징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바이너리 계측과 같이 바이너리 자체를 직접 수정하는 수준의 고도화된 응용 보안 기술에 적용하기에는 수집되는 주소 정보의 정확도가 낮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ARM 명령어로 구성된 위치 독립적인 코드의 특성을 반영한 역어셈블리 기법을 제안한다. 정확하고 추적 가능한 주소의 수집을 위해, 도메인이 기호화된 값-집합 분석을 설계하였다. 또한, 역어셈블의 주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생성하는 코드의 특징을 활용한 휴리스틱을 고안하였다. 우리 기법의 정확도와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8.1 빌드에 포함된 669개의 공유라이브러리 및 실행 파일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 완전한 역어셈블의 비율이 91.47%로 나왔다.

CPS 모형 기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이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ratch Programming Learning based on CPS on Verbal Creativity)

  • 김병수;김종훈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19
    • /
    • 2013
  • 최근 창의성의 영역 보편성 및 영역 특수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학습 활동 또한 창의성과 관련하여 다시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다. 기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학습의 창의성에 대한 측정을 TTCT 도형 검사를 사용한 것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활동이 언어적 사고 양식을 더욱 요구하는 창의적 활동이라는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컴퓨터 과학의 핵심 개념을 학습 내용으로 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CPS) 모형 기반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을 개발하였다. 이 학습 프로그램을 4, 5학년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5일간 4차시씩 총 20차시 적용하고, 정규성이 검증된 이 실험집단에 TTCT 언어 검사의 평균 표준점수(100)로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언어 창의성의 세가지 하위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 창의성 지수(세 요인의 평균 표준점수)가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 PDF

기계부품들의 조립 및 해체과정 설계를 위한 스크류이론의 응용 (An Application of Screw Motions for Mechanical Assemblies)

  • 김재정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60-67
    • /
    • 1997
  • CAD systems offer a variety of techniques for designing and rendering models of static 3D objects and even of mechanisms, but relatively few tools exist for interactively specifying arbitrary movements of rigid bodies through space. Such tools are essential, not only for artistic animation, but also, for planning and demonstrating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dure of manufactured products. A rigid body motion is a continuous mapping from the time domain to a set of positions. To relieve the designers from the burden of specifying this mapping in abstract mathematical terms, combinations of simple rigid motion primitives, such as linear translations or constant axis rotations, are often used. These simple motions are planar and thus ill-suited for approximating arbitrary motions in 3D-space. Instead, we propose the screw motion primitive, a special combination of linear translations and constant axis rotations, which has a simple geometric representation that can be automatically and unambiguously computed from the starting and ending positions of the moving body. Although, any two positions may be interpolated by an infinity of motions, we chose the screw motion for its relative generality and its computational advantages. The paper covers original algorithms for computing the screw motions from interpolated positions and envelopes of swept regions to predict collisions.

  • PDF

온톨로지 기반 상황인지 모델링 연구: u-Convention을 중심으로 (A Study of Ontology-based Context Modeling in the Area of u-Convention)

  • 김성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23-139
    • /
    • 2011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주요 기술인 상황인지는 환경을 구성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상황 정보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다양한 도메인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인지 모델을 필요로 한다. 시맨틱 웹 기술 기반의 온톨로지는 구조화된 공통의 포맷을 이용하고 의미적인 정보의 표현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이 상황 정보를 공유하고 이해, 추론함으로써 효과적인 상황인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상황인지 모델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연구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상황인지 모델의 범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온톨로지의 구조를 계층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인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u-Convention 도메인에 적용하였다. 또한 OWL-DL의 기술논리와 SWRL 규칙 추론을 결합함으로써 복합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컴포넌트 행위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 (The Customization Techniques of Component Behavior)

  • 김철진;정승재;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185-201
    • /
    • 2003
  •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주기 위한 비즈니스 컴포넌트(Business Component)는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컴포넌트 개발 시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개발되더라도 컴포넌트가 이용될 때 예상하지 못한 요구 사항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요구 사항들을 완전하게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의 개발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컴포넌트가 블랙 박스가 아닌 화이트 박스로 제공되므로 컴포넌트를 인터페이스에 의해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코드를 변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컴포넌트를 이용한 Time-To-Market을 이루기가 쉽지 않으며 컴포넌트의 재사용성도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의 변경 가능한 부분을 분석하여 다양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초기 가변성은 컴포넌트 개발(CD : Component Development) 과정에서 설계되며 가변성 적용을 위해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을 이용한다. 가변성이 적용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변성이 재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컴포넌트의 가변성은 진화하고 컴포넌트의 일반성은 향상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법은 컴포넌트가 재 설계될 때 기존 컴포넌트는 전혀 변경하지 않고 확장하여 컴포넌트를 변경 할 수 있다.

효율적인 노드분할법을 통한 임의 결선된 전송선로상의 고속 펄스 전송 해석 (Analysis of High-Speed Pulse Propagation on Arbitrarily Interconnected Transmission Lines by an Efficient Node Discretization Technique)

  • 전상재;박의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0권1호
    • /
    • pp.37-46
    • /
    • 2003
  • 임의로 결선된 디지털 전송선로의 과도응답을 효율적인 노드분할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제시한 노드분할 기법은 전송선로를 분할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연결선의 임의 위치에서의 과도파형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일반성을 보이기 위해 임의로 연결된 분산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다도체 전송선로들을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결합선로의 주파수의존성 등가 회로정수들은 스펙트럼 영역 기법(SDA)을 사용하여 도출하였다. 고속 마이크로스트립 결합선로 상에 인가되는 펄스의 펄스폭 변화가 누화에 미치는 영향도 동시에 검토하였다. 선로의 길이와 기판 유전율이 증가하면 누화 피크값이 단조롭게 증가한다는 기존의 결과와는 달리 펄스폭이 수 ps에 이르면 오히려 감소하는 특성을 볼 수 있었다. 제시한 노드분할 기법을 사용한 결과를 일반화된 S-행렬 기법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므로서 타당성을 보였다.

시간의 단위별 처리를 이용한 자동화된 한국어 시간 표현 인식 및 정규화 시스템 (Automatic Recognition and Normalization System of Korean Time Expression using the individual time units)

  • 선충녕;강상우;서정연
    • 인지과학
    • /
    • 제21권4호
    • /
    • pp.447-458
    • /
    • 2010
  • 시간 정보는 문서나 문장 등에서 매우 중요한 정보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에서 시간 정보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시간 정보는 일정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지만 실제 사용되는 시간 표현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며 정보의 일부가 빈번하게 생략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 표현의 추출뿐만 아니라 추출된 표현을 정규화된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는 범용 시간 표현 추출 및 변환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양한 시간 표현의 추출과 변환에 필요한 노력을 줄이고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확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본 시간 단위를 정의하였다. 추출단계에서는 기본 시간 단위의 조합으로 구성된 사전을 사용하여 가능한 시간 표현들을 추출한다. 정규화 변환 단계에서는 인접 추출 정보와 기준 시간 등을 사용하여 생략된 기본 시간 단위 정보를 복원하고 최종적으로 모든 기본 시간 정보들은 통합되어 정규화된 표준 형식으로 변환된다. 제안한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 등의 잡음 환경에서 강인한 성능을 보장하며 영역이나 언어에 대해 독립적이므로 많은 영역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실험에서 다량의 오류가 포함된 SMS 데이터에서 시간 표현 추출 정확도 93.8%, 시간 표현 변환 정확율 93.2%을 보임으로써 오류에 강인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함을 증명하였다.

  • PDF

범용성 향상을 위한 메시지 흐름 가변성 설계 및 특화 기법 (A Variability Design and Customization Technique of Message Flow for Improving Generality)

  • 조은숙;김철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5-127
    • /
    • 2008
  •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는 내부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컴포넌트 개발 시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설계하더라도 컴포넌트가 이용될 때 또 다른 다양한 요구 사항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 사항들을 완전하게 만족시켜 주기 위한 컴포넌트의 설계는 매우 어려우며 또한 도메인의 특정 화된 업무 로직을 완전하게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컴포넌트가 블랙박스가 아닌 화이트 박스로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에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도메인을 분석하여 컴포넌트를 설계하기 위한 기법보다는 다양한 도메인의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컴포넌트의 가변성 설계 기법과 이런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특화(커스터마이제이션)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컴포넌트의 가변성은 컴포넌트 개발(CD : Component Development)과정에서 초기 가변성이 설계되며 가변성 적용을 위해 특화기법을 이용한다. 가변성이 적용된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가변성이 재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컴포넌트의 가변성이 진화되고 컴포넌트의 일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포넌트의 가변성 범위는 컴포넌트 내부의 기능 변경과 컴포넌트 외부의 요구사항에 따라 컴포넌트 내부 구조가 변경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가변성 범위에 따라 컴포넌트 내의 메시지 호출 변경을 위한 메시지 흐름(Message Flow)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 PDF

국가 표준도를 이용한 토목 구조물 BIM 파라메트릭 라이브러리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Parametric BIM Libraries for Civil Structures using National 2D Standard Drawings)

  • 김청운;구본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28-138
    • /
    • 2014
  • 토목 분야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활성화를 위해 시급한 과제 중에 하나가 토목 구조물에 대한 라이브러리(Library)의 구축이다. 라이브러리의 구축을 통해 BIM 모델링의 시간을 단축할 수 뿐 아니라, 정확한 물량산출과 표준화된 모델의 공유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건축분야에 비해 국내 토목 구조물에 대한 표준화된 라이브러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2차원 표준도를 기반으로 옹벽 및 암거 구조물을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였다. 상용 BIM 소프웨어를 사용하여 각각 구조물에 형상과 철근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라이브러리를 재활용하고 범용적으로 쓸 수 있기 위한 치수 및 물량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데 주력하였다. 구축된 라이브러리를 실제 사업에 투입했을 경우, 정확하고 신속한 물량산출이 가능하고 형상정보가 1개의 라이브러리로 통합 관리되어 기존 2D 도면에 비해 관리가 용이하다는 것을 파악 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형상을 파라미터의 조정으로 쉽게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철근의 경우에는 형상 파라미터를 조정함에 따라 스트럽 및 겹이음 철근의 조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아직까지는 수동으로 물량을 조정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토목구조물은 비정형적이고 개별 사업에 따라 단품적으로 생산되기에 라이브러리의 구축이 어렵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내 토목 시설물 기준 및 시방서에 따른 꾸준한 라이브러리 추적을 통해 BIM 적용 확산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야외지질답사 및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학생들이 그린 그림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Purposes and Functions of Students' Drawing while on Geological Field Trips and during Modeling-Based Learning Cycle)

  • 최윤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8-10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그린 그림이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서울의 한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한탄강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야외지질답사와 3차시 모델링 3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각 차시별 학생들이 작성했던 모든 기록장(글, 그림), 연구자 필드노트, 학생들이 참여한 모든 영상 자료 및 음성 녹음, 전사한 인터뷰 자료 등을 연구진과 공유하였다. Hatisaru (2020) 그림 표상화를 야외지질학습의 맥락에 맞게 수정하여 그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학생들의 글(text, memo)을 포함한 그림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연연적 내용 분석(deductive 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림이 모델링 기반 순환 과정(자료 수집 관찰, 모델 생성, 모델 발달, 자연현상의 구체화)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그림 유형은 지질학적인 개념을 포함한 상징적 이미지, 지형학적으로 외형을 묘사한 외형적 이미지, 학생들의 심리적인 영역을 표현한 정의적 이미지가 있었다. 특징은 설명, 생산화, 정교화, 증거, 일치, 심상(心狀)으로 분류하였다. 그림의 유형과 특징은 모델링 기반 순환 학습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학생들의 모델 발달 과정 속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인 영역에 관한 특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반영하였다. 학생들이 그린 그림은 야외지질답사와 모델링 과정 모두에 있어서 학생들의 사고와 의사표현을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써 의미를 있음을 밝힘으로써 과학교육 관계자들에게 학생들의 그림 그리기 활동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