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lled water

검색결과 2,431건 처리시간 0.028초

마늘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 중 SO4-2의 흡(吸), 탈착(脫着)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O4-2 in the Garlic Field)

  • 장기철;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7-332
    • /
    • 1987
  • 경북도내(慶北道內)의 마늘 주재배단지(主栽培團地)에서 답토양(畓土壤)을 표토(表土)와 심토(心土)로 구분(區分)하여 $SO_4{^{-2}}$의 함량(含量)과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이 $SO_4{^{-2}}$의 흡탈착량(吸脫着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였다. 토양중(土壤中) $SO_4{^{-2}}$ 함량(含量)은 표토(表土)가 59.0~117.0ppm 이었고 심토(心土)는 34.5~102.0ppm의 범위(範圍)에 속(屬)하였다. 토양(土壤)에 대한 $SO_4{^{-2}}$의 흡착량(吸着量)은 토양(土壤)의 pH가 낮을수록 용액중(溶液中)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Freundlich 식(式)에 잘 적용(適用)되었다. 토양(土壤)에서의 $SO_4{^{-2}}$ 결합(結合)에너지는 평형용액(平衡溶液)의 pH가 낮아질수록 증가(增加)하였다. $SO_4{^{-2}}$가 첨가(添加)된 토양(土壤)에서 증류수(蒸溜水)에 의(依)한 흡착량(吸着量)은 pH가 낮고 흡착력(吸着力)이 큰 토양(土壤)일수록 감소(減少)하였다.

  • PDF

영양과 염도가 토고숲모기 (Aenes togoi)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ent and salinity in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Aedes togoi)

  • 이종수;홍한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9-18
    • /
    • 1995
  • 토고숲모기의 산란주기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모기를 흡혈시켜 1마리씩 용기에 사육하면서 매시간 관찰한 바 흡혈 후 한번에 산란을 끝낸 개체는 53.9% 2회에 걸쳐 산란을 끝낸 개체 는 26.9%. 3회에 걸쳐 산란을 끝낸 개체는 19.2%였다 흡혈 후 산란을 2회 이상에 걸쳐 끝낸 개체 중 50%가 산란 간격이 6시간 이내였다. 유충시기 영양상태에 따른 무흡혈 산란율을 관찰한 바 유충 개체 당 먹이량이 0.8 mg군, 1.6 mg군, 2.4 mg군에서 각각 6.9%, 22.5%, 44.4%의 산란율을 보여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염도 사이에서는 0%, 0.5%, 1.0%, 2.0%, 4.0% 군에서 각각 25.2%, 36.2%, 23.5%, 14.6%의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유충의 발육기간은 $25^{\circ}C$ 에서 숫모기가 10.73일로서 암모기의 11.85일 보다 단축되었다. 발육기간이 가장 빠른 염도는 1.0%로서 숫모기가 9.25일 암모기가 10.44일이었다. $20^{\circ}C$에서는 평균 9.3일 정도 길었다. 유충시기 영양상태에 따른 여포(follicle) 발육조사에서 여포수가 0.8 mg군은 180.7개, 1.6 mg군은 197.5개. 2.4 mg군은 202개였다. 10일째 관찰에서 0.8 mg, 1.6 mg, 2.4 mg의 3개 영양군은 각각 Christopher's stage IIa가 각각 71.0%, 61.9%, 39.9%로 대부분 Christopher's stage IIa였으며 무흡혈 산란개체도 관찰되었다.

  • PDF

주요(主要) 논 잡초(雜草)의 휴면(休眠) 및 발아(發芽)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Dormancy and Germination of paddy weeds)

  • 구연충;성기영;송득영;이상복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3
    • /
    • 1996
  • 주요(主要)논 잡초(雜草)의 채종후(採種後) 일수(日數)에 따른 휴면정도(休眠程度) 및 발아특성(發芽特性)을 구명(究明)하여 효과적(效果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시험(試驗)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종후(採種後) 일수별(日數別) 휴면타파정도(休眠打破程度)를 보면 피, 너도방동사니, 자귀풀, 여뀌바늘, 가막사리 등은 휴면정도(休眠程度)가 약해 저장조건(貯藏條件)에 상관없이 채종후(採種後) 30일에도 10~30%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올챙이고랭이, 가래, 사마귀풀, 물달개비 등은 120일간 저장(貯藏)에서도 전혀 발아(發芽) 하지 않았다. 2. 발아상(發芽床)의 광(光) 유무(有無)와 발아율(發芽率)을 보면 목본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인 피는 명조건(明條件), 암조건(暗條件)공히 발아율(發芽率)에 차이가 적었으나 너도방동사니, 여뀌 등은 명조건(明條件)에서만 발아(發芽)하였으며 올챙이고랭이, 여뀌바늘, 가막사리 등은 암조건(暗條件)에서 5% 미만의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3. 화학물질(化學物質) 및 증류수(蒸溜水)침적에 따른 초종별(草種別) 휴면타파(休眠打破) 정도(程度)를 보면 올챙이고랭이는 화학물질(化學物質) 침적효과(漫積效果)는 없었으나 증류수(蒸溜水) 침적효과(漫積效果)가 있었으며, 사마귀풀 및 가막사리는 Acetone, Chloroform 및 증류수(蒸溜水) 침지가, 그리고 여뀌바늘은 Chloroform의 침지(沈漬) 처리에서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가 컸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의 산화적 DNA 손상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 of Korean mistletoes on the oxidative DNA damage)

  • 이소진;이미경;최근표;김나영;노성규;허문영;김종대;이현용;이진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6
    • /
    • 2003
  • 기주목(상수리나무, 밤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별 겨우살이 ethanol추출물과 5가지 분획물 (hexane fr., chloroform fr., ethyl acetate fr., butanol fr., aqueous fr.)을 이용하여 in vitro에서 DPPH를 이용한 수소전자공여능, DNA에 대한 산화적 손상 및 손상억제 효과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4종의 한국산 겨우살이의 ethanol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fr.들이 높은 수소전자공여능을 보였다. Comet assay분석에서 head DNA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tail DNA의 생성을 억제하는 겨우살이 fr.들이 DNA에 대하여 항산화적 기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는 comet assay 유용한 parameter인 $tail\;length({\mu}m)$는 positiye control인 $H_2O_2\;(10^{-3}M)$로 40min동안 세포에 처리하여 산화적 손상을 준 결과, $149{\mu}m$의 tail length를 보였으며 , 상수리나무 겨우살이의 ethyl acetate fr.(0.1mg/ml)을 $H_2O_2\;(10^{-3}M)$와 동시 처리에는 $110{\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ethyl acetate fr.은 $104{\mu}m$, 상수리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23{\mu}m$, 자작나무 겨우살이 butanol fr.은 $118{\mu}m$로 tail length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겨우살이가 산화적 DNA손상을 방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국산 겨우살이는 산화적 stress를 일으키는 활성 산소 자유라디칼의 생성에 대해 보호활성을 나타내어 유용한 chemopreventive agent의 기능이 기대된다.

감자의 성분함량과 품종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ent of Potato Tuber Component and Potato Variety on the Bioethanol Production)

  • 장유리;임영훈;김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73-278
    • /
    • 2011
  • 감자로부터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함에 있어, 감자 품종, 성분 함량, 감자 수확시기가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단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서 감자의 전분과 수분 함량이 에탄올 생산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분 함량이 높을수록 그리고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다. 2. 감자 품종별 중량 및 단위면적당 에탄올 생산수율을 조사한 결과, 하령 감자가 $94.3{\pm}1.9$ L/ton과 $3111.9{\pm}62.7$ L/ha으로서 가장 높은 에탄올 생산수율을 나타내었고, 조원이 $79.9{\pm}0.9$ L/ton과 $2556.8{\pm}28.8$ L/ha로 가장 낮았다. 3. 가장 많은 에탄올 생산을 나타낸 수확 시기는 품종마다 다르게 나타났는데, 최적 수확시기가 6월 30일인 경우는 고운과 대서이었고, 7월 9일의 경우는 하령과 가원이었다. 조원의 경우는 6월 30일과 7월 9일의 에탄올 생산량이 비슷하였고, 7월 9일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한편 7월 20일이 수확 최적 시기인 품종은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에탄올 생산을 위한 감자는 그 품종과 수확시기의 선택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가장 많은 에탄올 생산량은 하령 감자를 7월 9일에 수확한 것에서 나타났다.

작물의 성분 함량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ent of Crop Component on the Bioethanol Production)

  • 이경은;이재연;김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39-346
    • /
    • 2008
  • 현미, 쌀보리, 옥수수, 고구마작물의 전분 함량과 일반성분 함량분석이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단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해서 각 원료에서 전분 함량이 에탄올 생산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분 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증가하였다. 2. 쌀보리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낮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이하게도 조섬유의 경우는 단백질 함량과 반대로 조섬유 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높았다. 3. 현미의 경우, 회분 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낮게 나타났다. 4. 고구마의 경우, 수분 함량이 다른 원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뚜렷이 높았으며,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에탄올 생산량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건조 전 작물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가장 높은 에탄올 생산수율은 현미에서 나타났고, 이중에서도 다산 현미가 439.3 liter/ton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옥수수 그리고 보리의 순이었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고구마의 경우 전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에탄올 생산량이 낮게 분석되었다. 6. 건조 후 작물 중량 기준 시에는 건미 고구마가 530.6 l/ton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다산 현미 등의 현미, 정미 및 바이오미의 고구마, 옥수수, 보리의 순이었다. 7. 단위면적당 에탄올 생산량 성적을 살펴보면 현미가 평균 2560.0 l/ha, 쌀보리가 평균 1523.6 l/ha, 옥수수가 평균 2992.3 l/ha, 고구마가 평균 4169.1 l/ha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건미 고구마가 5115.7 l/ha로 가장 높은 단위면적당 에탄올 생산량을 보였다.

광물성 한약으로 이용되는 양기석, 연옥,음기석의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 (Spectmscop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Yanggiseok, Yeonok and Eumgiseok used as Mineral Medicine)

  • 김선옥;박맹언;정율필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4호
    • /
    • pp.317-323
    • /
    • 2002
  • 양기와 음기를 보하는 약재로 알려진 양기석과 음기석 및 연옥에 대한 의료적 활용을 파악하고, 광물학적 특성, 분광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X선 형광분석, X-선 회절분석, 주사전자현미경, 적외선 분광분석, 핵자기 공명분석 및 감응자기력을 실시하였다. 광물성 한약으로 사용되는 양기석은 양기석으로 확인되었으뗘, 연옥은 투각섬석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음기석은 주로 질석으로 구성되며, 소량의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함유하였다. 사슬형 규산염 중 각섬석군에 속하는 이들 연옥과 양기석은 유사한 범위의 분광학적 특성을 가지며, 연옥은 4$0^{\circ}C$에서 방사에너지가 큰 반면, 양기석은 15$0^{\circ}C$에서 방사에너지가 크다 음기석은 각섬석군의 광물보다 4$0^{\circ}C$와 15$0^{\circ}C$에서 모두 낮은 방사에너지를 나타내었다. 광물성 한약을 증류수에 20일간 침적한 후에 측정한 NMR분석에서의 선폭은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되나, 80일이 경과한 후의 결과는 음기석, 연옥, 양기석 순으로 감소하였다. 양기석과 음기석은 가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응 자기력 값이 대체적으로 증가하고, 연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광물별로는 상온과 가열시 모두 음기석, 양기석, 연옥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사염화규소 누출사고지점 주변 식물에 대한 노출지표 평가 (Evaluation of Exposure Indicators for Plants by Silicon Tetrachloride Release)

  • 박재선;김지영;김명옥;박현우;정현미;최종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8-292
    • /
    • 2017
  • BACKGROUND: Silicon tetrachloride reacts with moisture in the atmosphere to generate hydrogen chloride, which affects the environment. Since silicon tetrachloride and its by-products are dispersed in the atmosphere in a short time after the silicon tetrachloride release into the atmospher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ssess the extent of environmental impact. In the present study, the exposure test of silicon tetrachloride or hydrogen chloride was examined in order to establish the criterion of the range affected by the silicon tetrachloride release, and the actual crops in the area exposed to silicon tetrachloride leakage were analyzed. METHODS AND RESULTS: For the experiment of exposure to silicon tetrachloride or hydrogen chloride, the leaves of red-pepper and corn were used in glass sealed containers. In the actual accident area, 59 samples from 10 different kinds of crops were collected. The pretreatment of the sample was performed by freezing and grinding, and then extracted using distilled water. The pH and concentration of chloride ($Cl^-$) ion of the extracted solution were measured using pH meter and ion chromatograph, respectively. CONCLUSION: Exposure to silicon tetrachloride caused visible damag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hloride ion, and decreasing the pH as well as hydrochloric acid. In the actual crops of the affected area, the tendency was the same as the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 and the range of influence could be estimated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Cl^-$ ion over 2,000 mg/kg, and the correlation evalu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l^-$ and pH. Therefore, the concentration of $Cl^-$ 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l^-$ and pH would be considered as the factors to estimate the influence range of silicon tetrachloride release.

뉴트럴레드가 고정화된 다공성 졸-겔 필름을 이용한 고감도 광섬유 pH 센서의 특성 (High-Sensitive Fiber-Optic pH Sensor Using Neutral Red Immobilized in Porous Sol-Gel Film)

  • 전다영;유욱재;신상훈;한기택;박장연;박병기;조승현;이봉수
    • 센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3-228
    • /
    • 2012
  • In this study, a fiber-optic pH sensor based on a pH sol-gel film is fabricated. The sol-gel film is made by co-polymerizing tetramethoxysilane, trimethoxymethylsilane, ethanol and distilled water. As a pH indicator, a neutral red is immobilized in a thin porous film formed by the sol-gel process. The pH change in a sensing probe gives rise to a change in the color of the pH sol-gel film, and the absorbance of reflected light through the pH sol-gel film is also changed. By using a spectrometer, therefore, the spectra of reflected lights in the sensing probe with different pH values are measured.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 values and the absorbance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color variations of the pH sol-gel films. In repeated experiments, the fiber-optic pH sensor shows that it has reversibility, a high reproducibility and a wide absorbance change in a pH range from pH 5 to 9. Also, we confirmed that the fabricated pH sol-gel film exhibits a fast response time, little or no pH indicator leaching and a dynamic range of 2.04 dB from pH 5 to 9.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fiber-optic pH sensor can be developed for the pH monitoring in the harsh environments.

재습윤제의 적용이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REWETTING AGENT ON DENTIN ADHESION)

  • 조영곤;박일윤;이영곤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1호
    • /
    • pp.11-22
    • /
    • 2003
  • This study compared the dentin adhesion to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air-dry, blot dry, application of rewetting agent on air-dry or blot dry dentin surface by microleakag test and SEM observation. For microleakage test, class V cavity preparations with dentinal margins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40 extracted human molars. For SEM observation, occlusal dentin of 20 extracted human molars were exposed. After etched the dentin, prepared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D group: air dry for 10-15 sec., B group: blot dry with moist cotton pellet, D-R group: air dry and rewet with Aqua-Prep F for 20 sec., B-R group: blot dry and rewet with Aqua-Prep F for 20 sec. Treated cavities and surfaces were filled or constructed using One-Step adhesives and Aelitefil composite resins.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For microleakage test, the specimens were thermocycled and soaked into 2% methylene blue.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longitudinally and evaluated for microleakage under steromicroscop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Kuskal-Wallis Test, Mann-Whitney and Wilcoxon signed ranked tests. For SEM observation, the specimens were bisectioned mesiodiatally. After decalcified and deproteinized, specimens were observ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icroleakges on dentinal margin were the highest in D group compared with B group, D-R group, and B-R group(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 group, D-R group and B-R group. 2. D group showed gap and a few resin tags between dentin and composite resin. 3 B group, D-R group, and B-R groups showed close adaptation between dentin and composite resin. It showed that resin rags in B group were numerous and long, in D-R group were few and short, in B-R group were numerous and short or long. 4. Adhesive layer showed in D-R group ($10{\;}\mu\textrm{m}$) and B-R group ($3{\;}\mu\textrm{m}$) In conclusion, use of rewetting agent to dry dentin was efficient to dentin adhesion, also it did not provide reverse effect on blot dry den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