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mantling work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5초

전통 물고기문양을 모티브로 한 창의적 디자인 개발 연구 - 문양의 배치 및 색채 배색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Creative Design Development Using a Traditional Pattern - Focusing on the Arrangement and Color-scheme of the Pattern -)

  • 목소리;조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10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nk traditional patterns to mordern clothing. Of all the traditional patterns, the fish pattern was chosen for use during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one-piece design for woman and shirts design for man. This study is based upon document searches, including research papers. Through these searches, it investigates the symbolic meaning, formation of the fish pattern and the creative design process.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study attempts to modernize the fish pattern and apply the fish patterns to the design of a one-piece dress and shirts. The design procedure includes three sub-processes: selection, arrangement and color-scheme. The selection process, the form of the pattern was edited using Adobe Photoshop. The arrangement of the pattern was made through the checklist conception method, containing the following functions: expand, reset, repeat, omission and dismantling. For the color-scheme of the pattern, Paul Klee(1879-1940)work was selected, and the colors in his work were adopted when dyeing the rest of the one-piece dress and shirts as well as fish features. In conclusion, six designs of the one-pieces dress and shirts were created by using one of Korea's traditional patterns-the fish pattern. This kind of study not only let the world know about the unique beauty of nations but also helps to inspire people who has a profession in design, by suggesting design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design competitiveness improvement factor from fusion of tradition and modern.

  • PDF

전문건설업 유형별 효율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of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Type)

  • 김예정;유동영;박선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4-73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건설업체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DEA모형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기업은 전문건설업 상장업체와 외감업체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연속자료가 존재하는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히, 전문건설업 유형별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의미 있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건설업체의 효율성은 전반적으로 종합건설업 등과 비교하면 효율성 값이 낮게 분석되었다. 둘째, 전문건설업 유형별 효율성은 시설물축조 및 해체 전문공사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업종인 철근 콘크리트공사업, 비계 구조물해체공사업 등이 전문건설업 내에서 상대적으로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셋째, 전문건설업 효율성은 건설경기에 영향을 받는다. 건설경기가 확장국면에 있을 때는 효율성 값이 높고, 수축국면에서는 낮은 효율성 값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규모수익성 분석에서 전문건설업은 DRS로 분석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는 규모 확대보다 규모 축소를 통해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갱폼 공사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Checklist Development for Preventing of Major Accidents of Formwork Using Gang-form)

  • 정경태;김시유;오정은;이동훈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9-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갱폼 건설현장의 안전사고에 대한 유해 위험방지와 안전대책을 위해 갱폼 공사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갱폼 공사 건설현장의 체크리스트 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했던 1명 이상의 사망사고가 발생한 중대재해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건설현장에서의 중대재해 사례 36건을 분석하여 총 20개의 위험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위험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기 위한 안전관리 항목 총 43가지 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안전관리 항목의 중요도와 체크리스트 형식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안전관리전문가 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으며, 갱폼 공정순서인 조립, 설치, 해체/인양, 기타를 기준으로 체크항목을 중요도 순서로 배치하여 작업자 스스로가 갱폼의 작업순서와 안전수칙을 준수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갱폼 건설현장에서의 사망자와 재해자가 줄어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충청남도 발굴유구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 연구 (A Study on Present State of Preservation of Excavated Remains in Chungcheongnam-do and Preservation Methods)

  • 위광철;오승준;정제원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41-552
    • /
    • 2017
  • 발굴된 모든 매장문화재는 보존조치의 필요성에 따라 문화재청장은 보존조치를 결정한다. 하지만 보존조치 결과에 따라 이전 복원된 유적의 관리에 대한 법적인 규정이 없는 상태로 인해 관리에 대하여 소홀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충청남도 지역을 대상으로 최근까지 보존조치되어 이전복원된 매장문화재의 보존현황 및 보존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충청남도에서 매장문화재 발굴 후 보존조치된 유적은 23개 유적 46개 유구가 확인되었다. 보존유형은 해체이전 27개 유구, 유구전사 14개 유구, 해체이전+유구전사 병행 2개 유구, 모형제작 3개 유구로 이루어졌다. 복원 설치된 유적의 지역별로는 부여군 9개 유적, 공주시 3개 유적으로 부여군과 공주시에 12개 유적 18개 유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시대별로는 백제시대 유적이 16개 유적으로 약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보호유형은 노천형이 33개 유구로 약 7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전복원된 유적 관리 상태조사 결과 관리 주체가 명확한 박물관 등 공공기관은 관리를 위한 자체인력을 보유하고 있어 보존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관리 주체가 모호한 경우에는 관리 소홀로 인한 유구 손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명확한 관리 주체의 명시, 주기적인 관리 및 점검, 이전 복원 방법에 대한 보존처리 방법 연구 등이 필요하다. 발굴된 매장문화재는 학술적 목적뿐만 아니라 홍보자료 및 전시자료로도 활용하고 있어 보다 철저한 관리를 통한 매장문화재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건설공사 공정별 건설폐기물 발생량 비교 및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정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by the Project and the Estimation of the Waste Generation Unit)

  • 송태협;성진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27-434
    • /
    • 2017
  • 건설폐기물의 발생은 해체단계와 신축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폐기물은 해체단계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신축 건설공사가 연간 150조 규모로 확대됨에 따라 신축공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폐기물 배출이 많은 건축공사의 규모가 100조를 초과함에 따라 신축현장에서의 건설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신축현장은 해체공사 현장과 달리 발생된 폐기물을 성상별로 분리하여 배출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이물질 함량이 적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신축현장의 건설폐기물 성상별 발생량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설폐기물 발생 원단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발생 원단위가 콘크리트와 혼합폐기물 중심으로 되어 있어 합성수지, 폐목재, 폐보드류를 추가적인 항목으로 설정하여 원단위 설정을 하였다. 원단위 조사는 총 공사 기간별 발생하는 성상별 폐기물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신축건설현장은 초반 30%까지와 70% 이후의 공정에서 대부분의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보사되었으며, 혼합건설폐기물의 비율이 45%로 높게 나타났다. 원단위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산출한 결과는 기존의 표준 품셈에 비하여 약 1.9배의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저감형 시스템 알루미늄 거푸집의 최적 개념디자인 선정 (Selection of an Optimal Conception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Noise-reduced System Aluminum Form)

  • 홍종현;염동준;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35-145
    • /
    • 2016
  • 최근 국내 공동주택 골조공사에 있어서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거푸집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거푸집은 복잡한 작업프로세스로 인해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고, 특히 설치 해체 작업 시 알루미늄의 물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여전히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거푸집의 최적 개념디자인을 제안하고, 최적 개념디자인을 토대로 제작된 워킹목업(Working Mock-up)의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알루미늄 거푸집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거푸집 개넘디자인 3개 안을 도출하였으며, 현장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AHP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Trade-off Analysis를 수행한 결과, 안전성(0.52)과 작업편의성(0.54) 부분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 값이 도출된 '드롭다운 동바리와 가변빔이 적용된 소음저감형 시스템 알루미늄 거푸집'이 최적 개념디자인으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시스템 거푸집의 최적 개념디자인은 기존 소음저감형 시스템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소음저감은 물론 작업 편의성 및 노무자의 안전성이 제고된 실제 소음저감형 알루미늄 거푸집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성형폭약에 의한 폭발절단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xplosive Jet-cutting Technology by Linear Shape Charges)

  • 이병일;박근순;공창식;김광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4호
    • /
    • pp.516-525
    • /
    • 2000
  • 최근, 도시 재개발과 산업설비 개·보수에 따른 노후화된 콘크리트 및 철근구조물에 대하여 환경 공해가 발생하지 않는 해체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근 구조물의 폭발절단 해체를 위한 성형폭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폭발절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대상 구조물의 재질 및 형상, 두께와 강도 특성, 성형폭약의 형상, 폭약의 종류, 장약량, liner의 종류, stand-off distance, 성형폭약의 폭 및 너비, 기폭방법에 따른 영향과 폭발 절단시 발생되는 폭풍압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영향 등을 검토함으로 폭발절단 최적조건을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폭발절단기술은 강교, 공장, 폐선박 등의 해체에도 적용될 것이다.

  • PDF

일본(日本)의 자동차 리싸이클링시스템과 해체업계(解體業界) 경영동향(經營動向_ (Automotive Recycling System and Recycling Business of Dismantler in Japan)

  • 오재현;김준수;문석민;민지원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14-27
    • /
    • 2011
  • 본 고는 일본(日本)의 자동차리싸이클링 시스템과 해체업계의 경영통향을 조사하여 일본(日本)의 자동차리싸이클링산업의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2005년도부터 시행된 자동차리싸이클링법의 내용과 시행상황을 검토하고, 일본(日本)의 자동차리싸이클링의 전체상을 파악 분석하였다. 2007년도 553만대가 말소등록 되었으며, 이중 161만대가 중고차로서 수출되고 392만대가 폐차(해체)되었다. ELV 리싸이클링율은 94.4%이다. 중고차수출은 매년 신장하고, 자동차리싸이클링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해체업계의 경영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서일본(西日本) 오토리싸이클링 주식회사(WARC)가 회수한 재사용 재활용 부품과 소재를 현장조사하고, 리싸이클링시장의 기복과 중고부품 판매망을 조사하였다. 끝으로 현재 진행 중인 자동차리싸이클링법의 재검토 및 수정 보완에서 강조되고 있는 재사용부품의 이용촉진과 자동차리싸이클링의 고도화(레어메탈의 회수 향상)에 관해서 언급하였다.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재생골재 혼입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mixing of Recycled Concrete Fine Aggregate in Self-Consolidating Concrete)

  • 송일현;류재석;김종필;박광필;김성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573-576
    • /
    • 2008
  • 최근 구조물의 보수 보강 및 해체시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는 건 국내 외적으로 잘 알려진 기정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 특히 건설폐기물 중에서도 폐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재생잔골재의 품질을 확보하여, 고부가가치재(천연골재 대체재) 및 구조용 재료로써 사용 가능한지를 검토 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철근을 과밀 배근하게 함으로써 거푸집내의 채움 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는데 즉, 별도의 다짐 없이 과밀 배근된 거푸집 구석까지 쉽게 채울 수 있는 자기충전 콘크리트(Self-Consolidating Concrete)의 특성을 활용하여 재생잔골재의 혼합범위에 따른 물리적 및역학적 거동 특성을 함께 검토하였으며, 실험 결과 적당한 범위 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고,이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 하기위한 내구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 PDF

현대 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표현과 복식의 조형성 (The Expression of the Human Body in Modern Arts and the Formative Nature of Costume)

  • 권기영;조현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9
    • /
    • 2002
  •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meaning, aesthetic formative nature of the human body which has been not only a main issue and discussion object but also socially, culturally connected with clothing by contemplating it in the respect of the trend of art. Additionally, a work of contemplation about human body introduced to fashion design was analyzed to renew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formative art inside the human body. The way and scop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concept and meaning of human body, based on the documentary records such as art history and clothing history in the West society as a main them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modem arts expressing the human body since 1990 which are cubism, futurism, metaphysical painting, dadaism, surrealism, pop art, happening, feminism, body art, and technology art are distortion, exaggeration and dismantling. Second, the aesthetic formative nature and meaning in the human body appear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ideal beauty of human body when we examine the expression of it from the aspect of art-history and the meaning of human body implied in it. Besides, human body is being used as a messenger which delivers the message of modem artist to other people. So the changed meaning of human body has affected the clothing and made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d form new styles of clothing that have never been before. In conclusion, the human body in the modem era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brand-new formative medium of communication in the human society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which applies the aesthetic formative nature of the human body to fashion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