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 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 Personalized Assessment(SPA) System for Using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 손준호;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 system using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in order to discuss its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otal management system, app for teachers, and app for students. This research was practiced to 76 students in 5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ed by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s for learning achievement long 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no effect. Second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s for self-directed long-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PA system might apply to the science classes as it is a syste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giving much needed feedback to students.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s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Using Equivalent Test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 손준호;김종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9-628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단 및 형성평가의 문항 및 학업성취도 문항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 및 투입하였는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를 실시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형성평가를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지못하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는 학습기회의 개방성 영역만 향상시켰다. 셋째, 진단 및 형성평가 실시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으며,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의 영역 중에서 문제 해결 기술을 제외한 학습기회의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 학습에 대한 애착 영역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형성평가를 진단평가와 함께 실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퍼지 추론기반 학습평가 시스템 (Lear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Fuzzy Inference)

  • 강전근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47-154
    • /
    • 2007
  • 각 급 학교에서는 학습이 끝난 후에 실시하는 총괄평가의 결과만으로 학습평가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평가 방식은 학습자의 학습능력의 형성과정을 고려하지 않는 결과위주의 학습평가로 볼 수 있다. 또 기존의 학습평가는 학습 수행능력을 판정하기 위한 진단평가와 학습능력의 향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형성평가를 각기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평가하기 때문에 학습 수행능력을 보다 명확하게 처리하기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능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퍼지 추론을 이용하여 진단평가와 형성평가를 통합 평가할 수 있는 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성과중심교육 측면에서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평가의 현실과 과제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of Student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from an Outcome-based Education Perspective)

  • 박장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15권3호
    • /
    • pp.112-119
    • /
    • 2013
  • Most medical colleges in Korea have been shifting from traditional education to outcome-based education, which is the general trend in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some suggestions in light of the reality and challenges of student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utcome- based education. First, those who are responsible for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diversified to include faculty, residents, students, and evaluation committee members. They need separate roles in educational evaluation, so evaluation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hem. Second, various methods for evaluation and score interpretation can be used for effective evaluation. We can adopt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functionally, and the norm-referenced, criterion-referenced, growth-referenced, and ability-referenced evaluation based on criteria for score interpretation. Finally, various evaluation domains and test forms can be administered together in the common lectures in the medical school. We can test not only knowledge but also skills and attitudes, with diverse test forms such as supply and performance types.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의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효과 (Practical Use of the Classroom Response System (CR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s in a High School Life Science Class)

  • 강정민;심규철;동효관;김운화;손정우;곽대오;오경환;김용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3-283
    • /
    • 2014
  • 본 연구는 문제풀이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학교 생명과학 수업에서 교육매체의 일종인 교실응답시스템(CRS)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 학습 전략으로 CRS 활용반(34명)은 학생들이 CRS단말기로 응답한 결과를 교사가 즉시 파악하고 개인별 응답 이유를 질문한 후 피드백을 하였다. 비교반(35명)에서는 CRS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학생들에게 일괄적인 피드백을 하였다. 연구 결과, CRS 활용이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에 흥미와 집중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서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성적 수준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을 때, 중위그룹에서는 CRS 활용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업 성취도의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단평가 및 형성평가에서 CRS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문제들을 사전에 개발하고, 학생들의 응답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여 더욱 많은 학생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피드백을 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학습 평가에 관한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n Science Teachers' Evaluation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s)

  • 김호진;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1-111
    • /
    • 2000
  • 6차 교육과정 개편 이전에 임용된 교사들의 경우 목표 달성을 진단하는 과학 평가에 관한 기본 지식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경향을 보여 주었다. 예를 들면, 관찰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지식이며, 관찰 활동을 실천하는 관찰 능력은 탐구 기능인 것인데 오개념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장 수업중에 제시한 학습 목표는 수업 후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하여야 하는데 목표에 부합되지 않은 문항으로 형성 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태도 영역 평가의 객관성 확보 방법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관한 개선이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6차 또는 7차 교육과정에서 지식, 기능, 태도 3영역의 균형있는 평가를 제시하고 있어 어느 정도 개선되었으나 현장에서는 수행 평가 도입으로 탐구 기능의 평가 비율을 높여 더욱 균형있는 3 영역의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 PDF

컴퓨터 대수와 베이지언 추론망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e-러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Adaptive e-Learning System for Engineering Mathematics using Computer Algebra and Bayesian Inference Network)

  • 박홍준;전영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76-28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웹 저작 환경과 베이지언 추론망을 적용한 학습자 진단 환경이 포함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 개발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면 교수자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수식처리 엔진으로 하며 웹을 인터페이스로 하는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대수, 미분방정식 및 이산수학의 영역에서 콘텐츠 개발의 예를 소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지식 영역별 수준을 조건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추론에 의해 진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피드백을 생성하는 적응적 이러닝 웹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한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하여 그 결과물을 대학 강의에 적용하였고,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콘텐츠 사용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