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23초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Teaching Competency)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2
    • /
    • 200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자료는 전국의 중ㆍ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지역과 학교 급별,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유층 표집 방법으로 1,104개교를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417개교로부터 접수된 설문조사 자료 616 부가 활용되었으며. 조사 도구는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각각 7단계,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가정과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기초로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교육 요구를 분석한 결과 7가지 영역 중 ‘지역 사회 및 다양한 인적 자원과의 연계 능력’, ‘학습 공간 및 학습 자료 구성 관리 능력’, ‘다양한 수업 전개 및 평가 능력’ 등 세 영역에서 교육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을 위한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가정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4.13)’보다 ‘현직 가정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화(4.50)’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가정과 교사들은 이들 두 가지 요구에 대하여 교직 경력과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PDF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for Engineering Education

  • 권성호;신동욱;강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18-128
    • /
    • 2009
  • 본 연구는 차세대 공학인재의 사고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차세대 공학인재가 필요로 하는 사고와 역량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을 검토하고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학 교육, 특히 핵심소재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개념적 교수학습 모델로 테크놀로지의 지원을 통한 과학적 탐구와 창조적 활동을 강조한 SICAT(Scientific Inquiry and Creative Activity with Technology) 모델을 개발하였다. SICAT 모델은 교수 학습 목표에 따라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ARDA, CoCD, ReSh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SICAT 교수 학습 모델에 대한 교수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개발, 제공하였다. 앞으로, 개발된 모델의 교실 현장 적용과 효과성 분석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공고히 하고 지속적으로 공학교육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Development of the Contents of AI Convergence Education Method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Teaching Efficacy Effectivenes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17-22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AI융합교육 전공 교과목 중 'AI융합교육방법' 수강자의 요구와 환경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목을 개발 및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수강하는 초중등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사전 지식 수준, 교육내용 요구를 조사·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AI융합교육방법' 교과목의 영역, 15주의 교수·학습 내용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I융합교육방법' 과목을 15주간 대상에게 적용하여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에 대한 효과성을 검사하고 분석한 결과,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은 적용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소 중 정보 수업 가치관, 정보 교수 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학교 현장과의 연계, 타 교과와의 융합 등 교사 전문성 확보를 위한 후속 연구 진행이 필요하며, 교수학습 자료, 인공지능 교육용 플랫폼 등 다양한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이 체계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동양 수학사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 양성호;이경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15-37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in school mathematics teaching. We set up three study problem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we analyze the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auxiliary books. Second, we survey the mathematics teacher's knowledge and degree of application on history of mathematics. Third, we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We performed three study-methods to settle above study problem. First, we analyzed 24 textbooks and auxiliary books for study problem 1. There were 6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6 auxiliary books and also 6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6 auxiliary books. We categorized the contents into "anecdote", "systematization", "application of problem", "expansibility of thought", and "comparative of the contents". Second, we surveyed the 78 mathematics teachers's knowledge and degree of application using questionnaire about knowledge and application on history of mathematics.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four types of question; the effect of material about history of mathematics,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history of mathematics, the understanding of oriental history of mathematic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Third, we exemplifi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bout three categories: "anecdote", "comparative of the contents".

NAS 서버를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플랫폼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 Model using NAS)

  • 김태정;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419-436
    • /
    • 2023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a teacher-adaptive platform model that enhances teachers' instructional activities and teaching capabilities, allowing them to conduct intended lessons effectively. The platform is designed to suppor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the instructional situation, and additionally provid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ssessment questions, and results.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 utilized Moodle, an open-source-based LMS solution that provides various tools for online learning. The platform was specifically designed for teaching conic sections in high school geometry, and it was constructed to enable teachers to deliver their intended lessons effectively.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극(process drama) 활용에 대한 고찰 -'세종한국어 회화 중급' 교재의 과제 단원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Process Drama to Improve Korean Speaking Ability: Focusing on a Unit Design of Sejong Intermediate Korean Conversation Coursebook)

  • 이정희;박혜옥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199-222
    • /
    • 2018
  •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process drama in teaching Korean speaking. For that goal,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ntroduces the main features of process drama exploring the possible use of teaching Korean speaking, and the second part presents a concrete example of developing a unit of the Sejong intermediate Korean conversation coursebook which was designed using a process drama method. Process drama is a process-oriented drama activity which progresses only with the teacher and stu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With its unique meaning-oriented interaction paradigm, it has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a foreign language. Since it emphasizes students' spontaneity, cooperation, and authentic communication, it commonly provides plenty of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nteract in a meaningful context. Despite its effectiveness in teaching speaking, it has rarely been used in KFL contexts. Considering the limited opportunities to practice speaking in KFL classrooms, using a communication-rich activity such as process drama would be an optimal solution.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possible application of process drama in teaching Korean speaking, and introduces sample speaking materials designed for KFL intermediate learners.

전인 교육을 위한 수학 학습 자료 개발.활용에 관한 연구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Mathematical Teaching Materials for the Whole Man Education -For the 3rd Graders in High School after the Scholastic Ability Test-)

  • 이종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2호
    • /
    • pp.249-265
    • /
    • 2001
  • In this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our education should combine the knowledge from the past and present in order to have students be ready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future”. But nowadays, our social situation makes much importance of the “cramming” education jus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rather than the “whole man” education for making creative citizens of the future society. So does mathematics education. In a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be toward these aims: recognizing the value of math, applying mathematical principles to actual lives, promoting students' thinking ability. Also, it should focus on teaching higher level of mathematical knowledge which includes more logical and abstract idea so that students can prepare for the global society of the future.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for mathematics class which usually deviates from the routine right after the Scholastic Ability Test finished. These materials are the result of a complete survey of the 3rd graders and their teachers and designed to use for 30 periods of class from after-the-test-finished to graduation. The materials consist of a history of mathematics, puzzles, magic number squares, and so on.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current textbooks which deal with sets, equations, functions, these materials proved to be useful for their variety and attraction. Consequently, the materials are considered to keep the 3rd graders from forgetting mathematics even after th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o help them recognize that mathematics is a kind of basic and cultural study and a tool of daily lives.

  • PDF

수학과 생명과학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미적분과 통계 기본의 확률의 뜻과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Mathematics and Biological Science - Focused on Probability in Calculus and Basic Statistics Curriculum -)

  • 신보미;주은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629-656
    • /
    • 2014
  • 이 연구는 수학과 과학, 특히 생명과학과의 연결성에 기초하여 미적분과 통계 기본 교과의 확률의 뜻과 활용 단원을 생명과학I의 유전 내용과 통합하여 지도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수업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이 드러내는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 교수학적 시사점을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세부 관점을 상세화하고 생명과학 교과서와 수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연계 가능한 내용을 추출한 다음 이를 실제 교수-학습 자료로 조직하였다. 이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특징을 4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함으로써 수학과 과학 통합교육의 설계와 실행에 있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특수교사의 읽기·쓰기 지도실태 및 요구도 분석 (An Analysis on Reading and Writing Teaching Practices and Need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김은정;박순길;류성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69-179
    • /
    • 2016
  • 이 연구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실태와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광주, 대구, 부산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7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화된 검사도구보다 직접 제작한 검사도구를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 지도 시 문제해결 방법과 신뢰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자신의 지도 경험과 동료 및 선배의 조언을 이용하였고 학교에서 배운 지식의 활용의 사용빈도는 낮았다. 학생의 읽기 및 쓰기 지도 시 주로 통문자를 통한 지도가 이루어졌으나 교사의 지도경험과 교재의 다양성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지도를 위한 교육 참여의 요구도에서는 쓰기의 교수방법, 장애특성에 따른 교재 및 교구, 읽기 및 쓰기발달, 읽기 및 쓰기장애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높았다. 학생 지도 시 어려움과 요구도에서는 다양한 교재, 교구의 개발, 충분한 교재 및 검사도구 구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지도 시 어려움으로는 읽기, 쓰기에 대한 지식의 부족, 선별/평가도구 부족, 장애 특성에 따른 평가와 지도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비전공자 컴퓨터교육과 학습보조 자료의 활용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Use of Learning Materials)

  • 나정은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6호
    • /
    • pp.21-27
    • /
    • 2019
  • In the last few years, interest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urriculum is being revised to introduce computer science. Although interest has focused on coding as the main subject, in fact the computer science includes much more than coding. It engages people in being creative with technology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urriculum to provide a foundation by teaching and learning computer science. The curriculum is required the development of courses to teach computer science for non-majors in general education. To think like a computer scientist on the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is computational thinking.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computational thinking,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