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Teaching Competency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 장명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e-Learning센터) ;
  • 윤인경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l needs and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for teaching competency of home economics teachers. based on their perception on teaching competency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1,104 schools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based on school district, ranking and size. The 616 items of survey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417 schools and the level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measured on Likert scale with 7- and 5- points, respectively. The analysis reveled that the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were high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out of seven areas. 1) interfacing ability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diverse human resources. 2) ability managing space and materials for learning 3) ability diversifying less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ability. In addition. diversifying and professionalizing present development program for home economics teachers made higher score than improving education program for home economics teachers. These two needs of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foundation types of their schools.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선행 연구에서 규명된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자료는 전국의 중ㆍ고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지역과 학교 급별, 학교 규모 등을 고려한 유층 표집 방법으로 1,104개교를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417개교로부터 접수된 설문조사 자료 616 부가 활용되었으며. 조사 도구는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각각 7단계,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가정과 교사들이 인식한 교수 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정도를 기초로 교수 능력 향상에 필요한 교육 요구를 분석한 결과 7가지 영역 중 ‘지역 사회 및 다양한 인적 자원과의 연계 능력’, ‘학습 공간 및 학습 자료 구성 관리 능력’, ‘다양한 수업 전개 및 평가 능력’ 등 세 영역에서 교육 요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들의 교수 능력 개선을 위한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가정과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4.13)’보다 ‘현직 가정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화(4.50)’에 대한 동의 정도가 높았다. 가정과 교사들은 이들 두 가지 요구에 대하여 교직 경력과 학교 설립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제6차 중학교 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2. 제7차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부
  3.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대비하는 교직발전종합방안(시안) 교육부
  4. 2000년도 교원 연수 운영 방향 교육부
  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공업고등학교 공업교사의 직무능력과 관계 변인 김용익
  6.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가정과 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김순주
  7.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 수행 및 전문성 수행에 관한 연구 기순임
  8. 한국직업사전 노동부 중앙고용정보 관리소
  9.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의 문제점 연구 문경순
  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하계학술 대회 발표집 신교육체제 수립에 따른 가정과 교사 양성제도와 개선방향 박명희
  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기술·가정 교원 양성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박명희
  12. 학교급별, 직급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수행 기준에 관한 연구 박영숙(외)
  13. 능력 중심의 교사 직무 기준 개발 박영숙(외)
  14.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가정과 교사 재교육에 관한 연구: 서울 시내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영실
  1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전문대학장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방기혁
  16. 대한가정학회 제49차 총회 및 추계학술대회집 새로운 가정학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기존 패러다임의 비판적 검토 유태명
  17. 한국직업교육훈련 100년사-가정 교과 교육편- 윤인경
  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가정 교과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윤인경
  19.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사의 교수 수행 평가 영역 및 요소의 분석 원효헌
  20.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교사의 직능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이난숙
  21. 직업교육학 원론 이무근
  22. 가정과 교수법-가정 교과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연숙
  23. 가족생활교육론 이연숙
  24. 가정과 교수법 이옥임;이인희
  2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변인 이종이
  26.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27.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의 교수 능력에 대한 인식 장명희
  28.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지역 초등학교 교사의 소비자교육에 관한 요구도와 관련 변수 장안나
  29. 교육학대사전 교원교육 : 개념 진동섭
  30. 한국가정과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 자료집 기술·가정 교과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한-OECD교원정책 국제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32.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v.35 no.1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in the 21st century Bower. Jan
  33. Planning Better Programs Boyle,P.G.
  34. Minnesot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for Vocational Education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Brown,M.M.
  35.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v.90 no.1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 proffessionals in the new America Clausell,M.
  36.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v.35 no.1 Challenges for the Future for Home Economics Engberg,L.E.
  37. ARAHE 9차 회의집 21세기를 위한 가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Nancy L. Granovsky
  38.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mpetency areas and teaching tasks of public high school teachers Payne-Brookhart,D.A.
  39.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62 no.1 What is competent beginning t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ynolds,A.
  40. Havard Educational Review v.57 no.1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Shulman,L.S.
  41. Doctoral dissertation, Colorado State University Critical teaching Competencies: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eachere Educator Yahnke,S.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