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8초

청소년을 위한 블렌디드러닝 기반 온라인 자기주도학습능력 종합진단검사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Blended-learning based Onlin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asurement Scale for Youth)

  • 김판수;최성우;강형구;전규태;전민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SMMIS 모형 기반의 온라인 종합진단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쳐 초 중학생용과 고등학생용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해석 규준 설정을 위해 총 1,626명의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블렌디드러닝 기반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종합진단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아울러 청소년 대상 블렌디드러닝 기반 온라인 종합진단검사 결과의 구체적 활용 방안과 향후 보완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정보기술단원 평가에서 분석적 루브릭의 적용이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alytic Rubrics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

  • 남승권;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alytic rubrics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were 4 classes of the 2nd grade in B middle school located in Daejeon. The pretest was performed to check the group homogeneity. For the experiment desig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s a type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experiment was composed of 5 session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p < .05 to verify the hypothesis, an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pplication of analytic rubrics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 affecte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a positive way in 4 factor's(openness, self-concept, intrinsic motivation, self-evaluation) but does not affected in 3 factor's(autonomy, creativity, problem solving). (2) The difference in sex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in the application of analytic rubrics in information technology unit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two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rubrics in technology education assessment. (1)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any types of rubrics for technology education are needed. (2) Systematic training of rubrics for technology teachers is needed.

병태생리학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Pathophysiology Course)

  • 이민희;박명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76-18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a pathophysiology course. Methods: The development of 3 CBL scenarios of pathophysiology were conducted by nursing faculties & clinical nurses before CBL began. Among the sophomore nursing students who were taking a pathophysiology course, the intervention group (n=43) was the nursing students who hope to participate in an extra-CBL program with usual pathophysiology lessons and the control group (n=36) was the nursing students who wanted to receive the usual pathophysiology lessons.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dditional CBL using 3 different scenarios for 1 hour per week during 4 weeks from May to June, 2016. Data were analyzed by a chi-square test, t-test and ANCOVA using SPSS WIN 18.0 Results: The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11.60, p=.001), communication ability (F=4.24, p=.043),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4.75, p=.03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ntervention group than those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problem solving ability (F=1.59, p=.211).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a CBL program during a pathophysiology cours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ophomore nursing students.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박은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1-1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3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취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율적 양육태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성취 지향적, 애정적, 자율적인 것으로 지각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교사가 통제행동을 하는 것 보다 자율성 지지 행동을 할 때,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전자책 콘텐츠 제작을 통한 학습활동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ontents Creation for E-book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박상욱;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5-44
    • /
    • 2014
  •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학교교육은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스마트 교육을 위한 기반 구축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이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PUB 포맷 기반 전자책 저작도구를 교과학습에 적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5학년 사회과 역사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 결과물을 전자책으로 제작하는 활동을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인 내재적 동기, 학습 기회의 개방성, 자율성 등 모든 영역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of adult colleg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강윤정;김문섭;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171-176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메타인지 전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는 셀프리더십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간호학생의 구조화된 객관적 임상수행펑가 (OSCE) 모듈 개발 활동이 투약간호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Method using the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on the Clinical Competence of Medication)

  • 김현숙;엄미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36-14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on nursing students in the areas of performance skill, knowledg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medication skill.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ost-test design. The subjects (N=47),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n=24) or control group (n=23).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ained with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for four days. The control group was trained with a traditional demonstration and practice class for the same amount of time as the experimental group. Medication performance skill and knowledge tests and surveys were done to measu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skill,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skin test and insulin medication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of traditional education.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in nursing education-learning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kills.

  • PDF

간호교육에서 팀 기반학습 적용이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rm Based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cience Education)

  • 전호선;주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269-279
    • /
    • 2017
  • 이 연구는 팀-기반 학습 적용 전과 후의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변화에 관여하는 주요하위 변수들과 팀구성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학습능력의 차이와 팀 만족도, 학습선호도를 분석하여 팀-기반 학습법을 간호학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G시 K대학교 간호학과 1학년 96명과 2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의 관찰 값을 SPSS, Medcal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팀-기반학습은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모두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엇고 학업성취도를 고려하여 구성한 팀에서 학습선호도가 높았다. 팀-기반 학습은 학생들이 수업 전 자율 학습과 팀 역동을 통하여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능력을 익히고, 전문성과 개인 개발을 향상시키는 학습방법임을 강조하여 교육과정에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팀-기반 학습에 관한 방법론적인 구성과 학생 개인의 특성과 학습방법의 선호도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습공동체 활동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y o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순덕;김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249-8261
    • /
    • 2015
  •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주에 소재한 N대학교에서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한 147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8주 동안 진행된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 여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은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모든 대상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해석 능력과, 학습욕구를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학습을 위한 자원들을 스스로 파악하는 학습계획 능력이 향상되었다. 학생주도형 맞춤식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핵심역량 향상을 제안하였다.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에 기초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의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The Interface Design and Development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s for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 and Usability)

  • 백수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149-160
    • /
    • 2005
  • 본 연구는 e-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교수학습전략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상호작용성과 상용편이성을 고려한 자기주도 학습운영시스템과 학습컨텐츠를 구현한 것이다. 상호작용유형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1) 학습자와 교수자 (2) 학습자와 학습자 (3) 학습자와 학습컨텐츠 (4) 학습자와 학습운영시스템으로 나눈다. 학습운영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촉진될 수 있도록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 설계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을 설정하여 구현한다. 학습컨텐츠는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을 기초로 단순한 네비게이션, 일관성,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연결성, 사용자 지원, 즉각적 피드백이라는 여섯 가지 인터페이스 전략을 기초로 학습자의 사용편이성을 최대한 고려하여 구현한다. 본 연구개발은 학습운영시스템의 자기 주도적 기능을 보완하고 그러한 기능들을 학습컨텐츠와 연결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성과 사용편이성을 개선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e-러닝 학습 환경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