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Attitude,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

  • 박은희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 Received : 2019.01.21
  • Accepted : 2019.04.23
  • Published : 201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teachers' autonomy support a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41 high school students from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parental attitudes,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were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s oriented more toward being attainable and relatively less self-dire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ough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parents' attitudes as more attainable-orient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ore goal-oriented, compassionate, and autonomous the parental attitudes are, the likelier are students to have develop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the 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than were the female students. This shows that the results have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v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ly, the perception of autonomy support by teachers affects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students. We can therefore conclude that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develop most effectively in students who are supported by their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3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취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율적 양육태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성취 지향적, 애정적, 자율적인 것으로 지각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교사가 통제행동을 하는 것 보다 자율성 지지 행동을 할 때,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수란(2006). 인문계 학생의 학업성취의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6(2), 1-29.
  2. 교육개혁위원회(1995).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 1995.05.31.제 2차 대통령 보고서.
  3. 교육인적자원부(1997). 제 7차 교육과정 총론.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1997-25호.
  4. 권선이(2011).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행동의 관계에서 성취목표 지향과 학업적 효능감의 중다매개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5. 김아영(2010). 학업동기이론, 연구와 적용. 서울: 학지사
  6. 김정환, 박용휘(2003).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척도의타탕화. 교육평가연구, 16(1)183-199.
  7. 김주영(2010). 교사의 조건부 관심 및 자율성 지지와 학생의 학업참여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 동기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8. 김주후, 김주아, 강선우(2006).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설명 및 유형화 분석. 교육방법연구, 18(2), 231-237.
  9. 김지자, 김인아, 안현미(2000).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12(1). 177-208.
  10. 민정숙(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11.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 자녀관계와 성취에 관한종단연구: 자아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37-59.
  12. 박영태, 이경님(2009). 부모변인과 아동의 유능감 및 내재적 통제소재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5-19.
  13. 박외자(2009).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의 학습관여태도가 진로포부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4. 박지현(2010).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자기 조절 능력 증진과 공격성 감소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5. 박정미(2010). 부모 양육태도, 자기 통제력, 자기주도학습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6. 배영주(1994). 성인교육방법으로서의 자기 주도 학습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 양애경, 조호제(2010). 자기 주도적 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한국교육논단, 8(3), 61-82.
  19. 이종승(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한국행동과학연구소 연구노트, 11(1). 통권112호.
  20. 유귀옥(1997).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인구학적 및 사회심리학적 변인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1. 유양숙(1995).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인지양식과 정서대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2. 윤석진(2008).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3. 이강자(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목표지향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4. 이수영(2012).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주도 학습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5. 이수정(2012). 아동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가천대학교.
  26. 이혜란(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7. 장미영(2006).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8. 정정애(2007).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29. 천승현(2012).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심리적 욕구 및 정서참여 간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2), 35-49. https://doi.org/10.21797/KSME.2012.14.2.004
  30. 최인선, 주은지(2013).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의 연구동향과 과제. 호서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31. 한재숙(2017) 중학생이 지각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체육교과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2. 허묘현(1999).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3. 허예빈(2012).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34. 홍영표(2002).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 주도 학습준비도와 관련변인.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5. 홍채진(2011). 메타인지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간의 관계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6. Assor, A., Kanat-Maymon, Y., & Roth, G. (2005). Directly controlling reacher behaviors as predictors of poor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girls and boys; The role of anger anxiety. Learning and Instruction, 15, 397-413.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5.07.008
  37. Baumrind, D. (1967). Child care practices anteceding three patterns of pre-school behavior.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75, 43-88. https://doi.org/10.1037/h0024919
  38. Becker, W. C. (1964). Consequences of different kind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 L. W. H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1, 169-208, NY: Russell Sage Foundation.
  39. Candy, Pilip C. (1991).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40. Finkelestein, S. J. (1979). Parental representation and depression in normal young adul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8(4), 388-397. https://doi.org/10.1037/0021-843X.88.4.388
  41. Knowles, M. S.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42. Long, H. B. & Walsh, S. M. (1993).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in the community junior college: Description,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7(2), 153-166. https://doi.org/10.1080/0361697930170205
  43. Schaefer, E. S. (1989). A circo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 226-235. https://doi.org/10.1037/h0041114
  44. Symonds, P. M. (1949). The dynam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N.Y.: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p.8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