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astated environmen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녹화분야(綠化分野)로부터 본 수림(樹林)의 조성(造成)과 보전(保全) - 일본(日本)에 있어서 환경림(環境林)의 역사(歷史)와 그 필요성(必要性) - (Creation and Maintenance of Woodland in the Revegetation Technology - History of Environmental Woodland and its Importance in Japan -)

  • 시바타 쇼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19-132
    • /
    • 1998
  • In recent Japan, the demand for woodland creation on revegetation sites is increasing. In the forests and woodlands, we can find many function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addition of biomaterial production, and all of these existences with such functions are defined as environmental woodlands. Many woodlands has been created from old times for the purpose of forest conservation and flood control, and most of these technology are handed down to present time. After Edo era (from the beginning of Meiji era, 1867), some valuable examples of woodlands were created, like Meiji shrine woodland in Tokyo. After the World War II, a lot of technology for woodland revegetation, such as ecological tree planting, have been developed. At present, many revegetation sites are aiming at woodland creation, like on man-made slope, etc.. In the great change of social structure, revegetation technology is also required to keep in close relationships to the restoration of devastated existing forests and woodlands, and to provide many technology for the restoration of secondary woodland, preservation of soil, mitigation, reclamation, etc.. Now in Japan,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 including all the member of biosphere is demanded on a large scale. Therefore, revegetation technology should also try to make an activity taking a broad view of the restoration of natural vegetation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and new woodland creation.

  • PDF

백두대간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the Baekdudaegan from the Manbokdae to the Bokseongijae, Korea)

  • 오구균;최송현;나경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4
    • /
    • 2003
  • 지리산국립공원 만복대에서 남원시 복성이재까지의 백두대간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2002년에 조사하였다. 조사구간의 현존식생은 총 17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등 2차림은 10개의 식물군락, 일본잎갈나무림, 잣나무림, 밤나무림 등 인공림은 6개의 산림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도로비탈면이나 훼손지에서 과거에 조림한 일본잎갈나무와 잣나무의 치수가 활착하고 있었다. 조사구간의 녹지자연도는 8등급이 약 64%(9,113ha)로 넓게 분포하였고, 9등급이 9.58%(1,349ha)로 나타났다. 백두대간상 녹지자연도 1, 2등급이 7.65%(1,078ha)로 덕치리와 매요리 등에서 나타났다.

훼손된 보전지역 관리를 위한 환경복원방안 연구 - 일본 오가사와라(小笠原) 제도의 이입생물의 피해 및 관리방안 - (An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Study for Management of Conservation Area Devastated - Damage and Management Plan of Imported Organism in Japan's Ogasawara Island -)

  • 신현탁;박석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3-132
    • /
    • 2008
  • The problems caused by new biological organisms in Ogasawara Island of Japan include : (1) loss of native species' habitats and extinction of native species due to the multiplication of invasive species; (2) reduction of native species and confusion in the food chain in result of invasive species' predation; (3) confusion in genes due to hybridization of new and native plants; and (4)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erosion of earth due to rapid increase of invasive species. The natural ecosystem of preserved areas in Korea is constantly confused and destroyed by new animals and plants, but Korea does not has any solutions because new animals and plants rarely affect human lives. Invasive species are manually introduced by humans and are considered disasters caused by humans. Korea is in desperate need of campaigns as the general public does not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destruction and confusion of natural ecosystem caused by new biological organisms and their indirect/direct influences on human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ecological influence, and harms of invasive species in preserved areas to establish a system to manage invasive species and plan the priority removal of species that are highly harmful and locally distributed. Manual removal and suppression of new biological organisms that cause problems is effective, but it takes cost, effort, and time. Therefore, we would need to research and develop the most efficient and effective techniques and measures to manage invasive species in our ecosystem.

산불피해지역 복구를 위한 정부지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A Ripple Effect of Regional Economy by Government Aid for Forest Fire Resto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Analysis)

  • 이재근;김준순;이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38-347
    • /
    • 2007
  •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 대형산불 발생지역인 강원도 내 삼척시, 고성군, 동해시를 대상으로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피해 복구를 위한 정부지원액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생산유발효과는 세 지역 모두 건설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직접 생산유발효과가 간접 생산유발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유발효과는 생산유발효과와 비슷하였고, 고용유발효과는 세 지역의 모든 산업에서 간접 고용유발효과가 직접 고용유발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동해시에서 전체적으로 삼척시, 고성군보다 생산유발효과 및 소득유발효과가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삼척시에서는 고성군, 동해시보다 고용유발효과가 더 효율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for Enhancing Low Flow Discharge and Reducing Turbid Material from Overcrowded Forest Plantations by Intensive Thinning in Japan

  • Otsuki, Kyoichi;Kasahara, Tamao;Onda, Yuichi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18
    • /
    • 2012
  • In Japan, about 67% of the land is covered by forests and about 41% of them consist of plantations. About 35% of the plantations consist of old-aged plantations of older than 50 yearsand the percentage is projected to 67% in ten years' time. Although the trees of these plantations are supposed to be cut for timber production, most of them remain unmanaged and thus overcrowded mainly due to declining domestic forest industry. Since the forests are mostly located in headwater watershed,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the degradation of water resources by these unmanaged plantations. To understand the ecohydrological processes in these plantations and examine the effect of intensive 50-60 % thinning to increase infiltration rate and reduce overland flow and soil erosion by recovering understory vegetation, the JST-CREST project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for Increasing in Watershed Runoff and Improving River Environment by the Management Practice of Devastated Forest Plantation (Representative: Yuichi Onda)" has been launched since 2009.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potential scenario to enhance low flow discharge in drought period and reduce turbid material in high flow period. We have been conductingintensive field observation campaign in five research sites across Japan. In Fukuoka site, integrated ecohydrological observations have been conductedin two contrastive watersheds since 2010. Intensive 50% thinning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April 2012 and comparative studies of ecohydrological processes before and after thinning have been started. The interim results from all the sites of this project will be presented in the 3rd International Congress for Forest and Water in a Changing Environment held in Fukuoka during 18-20 September, 2012 (http://www.forest.kyushu-u.ac.jp/~ecohydrol/3ForestWater/index.html).

  • PDF

한반도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식생유형 특징 및 복원전략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Strategies of Warm-Temperate Forests Vegetation Types in Island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 강현미;강지우;성찬용;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7-524
    • /
    • 2022
  • 우리나라 난온대 도서지역을 광범위하게 조사해 TWINSPAN분석을 통해 식생을 유형화한 후에 유형별 입지환경과 군집구조 특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식생유형별 복원전략을 도출하여 난온대림 복원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식생유형은 명료하게 8개로 나뉘었는데 군락 I~IV는 후박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이 우점한 양호한 상록활엽수림 이었다. 반면, 군락 V~VIII은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인공조림지로 난온대 지역의 퇴행천이 식생이었다. DCA분석 결과로 도출된 환경요인은 해발고(최한월 평균기온)와 해안선에서 거리(내염성)였다. 2가지 환경요인에 따라 후박나무림, 구실잣밤나무림, 가시나무류림 유형으로 난온대림 분포패턴이 명료해졌다. 3가지 식생유형을 복원대상지의 입지환경을 고려해 복원목표 식생으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군락 V~VIII에는 곰솔, 낙엽활엽수 등이 수관층을 형성했는데 종자 확장력이 강한 상록활엽수종이 하층에 빈번하게 출현해, 상록활엽수림으로 식생천이 가능성이 컸다. 도서지역에 산림이 사라진 황폐지는 협소하지만, 곰솔림과 낙엽활엽수림 등의 퇴행천이된 식생이 대면적을 이룬다. 이곳을 상록활엽수림으로 갱신하는 복원전략이 탄소중립 실현과 생물다양성 증진 측면에서 효과성이 더 클 수 있다.

IT 정보기기 융합 인공어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rtificial Fish-reef combined with IT Devices)

  • 김원영;이영석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41-147
    • /
    • 2013
  • 인공어초는 인공적으로 해저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산자원의 서식장, 산란장 및 치어 성육장을 제공하여 줌으로써 황폐화된 어장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자원을 증강시키는 사업으로서 국내외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인공어초를 시설하고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 인공어초 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하지만 막대한 예산 및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객관적이고 공정한 사후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IT 정보기기 융합 인공어초의 개발을 통하여 바다목장 내에 시설된 인공어초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해양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인공어초 효과를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정보기기가 융합된 인공어초를 설계 및 구현하고, 이에 연동되는 어초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바다목장에 대한 관리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사례를 보여준다.

복원 소재로서 지역 종자 적용을 위한 억새와 갈대의 유전적 변이분석 (Genetic Difference Analysis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Miscanthus sinensis and Phragmites australis to Apply Regional Seed for Restoration in Korea)

  • 홍선희;박상용;민경도;김재윤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463-470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염습지 해안 복원의 주요 식물인 갈대와 내건성 대표 식물인 억새의 지역별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복원종자 적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고자 하는 연구로서, SNP를 활용한 근연관계 분석 결과 억새는 홍성군 집단이 다른 지역과 상이한 유전적 변이를 보인 반면, 갈대는 모든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인 변이양상이 나타낸다. 이를 통하여 억새의 경우 우리나라 전역에 발생하는 건조지에서 억새시료를 사용할 때는 지역별로 수집한 종자를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나 부득이하게 다른 지역의 식물 자원을 사용한다고 해도 유전적인 교란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것으로 보인다. 갈대의 경우 전 지역에서 유전적 변이가 다양하며 억새에 비하여 유전적 변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염류 피해지의 복원에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인 갈대의 경우 종자를 지역별로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향후 복원 사업에 대비하여야 한다.

경쟁과 비경쟁 상황에서 공감의 신경학적 기제 (Neural Bases of Empathy in Competitive vs. non-Competitive situation)

  • 황수영;윤미선
    • 인지과학
    • /
    • 제27권3호
    • /
    • pp.441-4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이용하여 경쟁 상황 노출 여부에 따라 개인이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인지적 공감을 유발하는 신경학적 기제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공감은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심리적 반응이며, 인간의 생존에 있어서 적응적 요소로 알려져 있다. 연구의 목적은 Preston과 de Waal(2002)에 기초하여 거의 자동적인 반응인 공감이 타인을 이겨야 하고 본인의 수행에 따라 보상이 달라지는 경쟁 상황에서도 1) 타인이 처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지, 2) 인지한다면 인지적 공감이 유발되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다. 대학생 21명(남:여=9:12)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6가지 정서가 제시된 그림자극을 보고 '나'의 관점에서 유발되는 정서가 긍정정서인지 부정정서인지 평정하는 과제 수행동안 뇌 활성화를 촬영하였다. 경쟁 유무에 따라 공감과정에서 두뇌 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험보조자 1인이 경쟁자 역할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의 정확도와 반응 시간을 기준으로 피험자가 경쟁자(실험보조자)를 이길 경우 보상(돈)을 제공하는 조건으로 경쟁심을 유발하여 경쟁 조건을 조작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들의 판단 반응시간은 비경쟁 상황보다 경쟁에 노출되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빠름을 확인하였고, 경쟁 상황에서는 전대상회(ACC, BA 32), 내측전두엽(mPFC, BA 6), 측두두정연합부의 한 부분인 연상회(SMG, BA 40), 시상(thalamus), 중전두엽(middle frontal gyrus, BA 10) 등이 활성화 된 반면, 비경쟁 상황에서는 인접대상회(paracingulate, BA 32), 측두엽극(temporal pole, BA 38), 복내측전전두엽(vmPFC, BA 11), 상후두엽/쐐기소엽(superior occipital gyrus/cuneus, BA 19) 등의 영역에서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경쟁상황에서 개인의 공감 수준에 따라 두뇌 영역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공감에 대한 자기 보고식 반응 점수를 공변량으로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쟁 상황에서는 우측 연상회(rSMG, BA 40), 하전두엽(inferior frontal gyrus, BA 47/45), 내측전두엽(mPFC, BA 10/6), 시상(thalamus), 피각(putamen), 방추형회(fusiform gyrus, BA 20/21)영역과의 상관이 높은 반면, 비경쟁 상황에서는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측두두정연합부/상측두엽(temporoparietal junction/superior temporal gyrus) 영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경쟁 노출 여부에 따라서 타인에 대한 공감적 인지과정에 서로 다른 두뇌영역이 사용되며, 특히 개인의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경쟁 상황에서도 타인의 상황에 대해 이해하는 인지적 공감과 관련한 두뇌 영역이 높은 상관을 보여 개인차에 따라 경쟁 지각이 다르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차광정도가 곤달비의 토양변화, 생육상황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Soil Properti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igularia stenocephala)

  • 박병모;김창환;배종향;신중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2-356
    • /
    • 2011
  •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인구의 도시 집중화 현상 때문에 건물의 고층화 및 생활공간의 밀집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이러한 원인 때문에 보다 많은 녹지면적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건물의 고층화로 인한 광부족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대기의 조건 등이 식물생육에 아주 부적합하다. 특히 건물의 고층화 및 밀집화로 식물 생육에 지장을 주는 음지로 인하여 식물생육에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음지에 강한 새로운 조경용 지피식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쌈채식물로 알려져 있는 곤달비를 30%, 50%, 80%의 차광에 재배를 하여 차광에 따른 토양환경의 변화, 식물생장,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엽수는 50% 차광이 10.8개, 30% 차광이 8.4개로 무차광재배의 7.7개에 비하여 많았으며 엽폭도 50% 차광 재배에서 가장 우수 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 식재가능 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 90.43g에 비하여 모든 차광재배가 각각 31.63g, 43.39g, 19.40g로 증가 하였으며 특히 뿌리의 생육이 줄기의 생육에 비하여 30% 차광재배의 12.33g에 비하여 48.48g으로 많이 증가 하였다. 엽록소 합성은 50% 차광의 경우 46.2로 무차광재배의 41.9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기타 차광재배의 경우는 오히려 줄어드는 경향이었다. 곤달비의 차광재배의 결과 50% 차광처리가 지피식물로서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