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Ripple Effect of Regional Economy by Government Aid for Forest Fire Resto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Analysis  

Lee, Jae-Keu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im, Joon-Soon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Lee, Young-Geun (Forest Fires Divisio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v.96, no.3, 2007 , pp. 338-34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ipple effect of the regions, Samcheok city, Goseong county and Donghae city, in Gangwon province by government aid for forest fire restoration through the input-output analysis. These regions were devastated by forest fire in 2000. Direct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as higher than indirect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except for construction industry. Income inducement effect similarly showe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ndir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higher than direct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aid took a side view of three effect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income inducement effect in Donghae were more efficient than these in Samcheok and Goseong.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n Samcheok was more efficient than it in Goseong and Donghae.
Keywords
forest fire; regional economy; input-output analysis; ripple effe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동해시. 2000. 동해통계연보. 동해시
2 삼척시. 2000. 삼척통계연보. 삼척시
3 이강욱, 최승묵, 2003. 관광산업의 지역경제 기여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4 이재기. 2000.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전파통신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중소기업연구 22(2): 337-357
5 김경수. 2004. 강원지역의 지역내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7(5): 1727-1753
6 산림청. 2001. 동해안 산불백서. 산림청
7 이춘근, 여택동, 김영재. 2003. 대구지역 산업연관모형에 의한 산업구조분석. 경제학논집 21(4): 157-192
8 강원도. 2000. (시군별)지역내총생산. 강원도
9 강원도. 2000. 광업제조업통계조사보고서. 강원도
10 통계청. 2005. 사업체 기초통계조사. 통계청
11 정삼철, 김종구. 2004. 충북관광산업의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도 분석. 충북개발연구원
12 정영호, 이견직. 2001. 의약품산업의 산업연관분석, 산업조직연구 9(1): 99-123
13 고성군. 2000. 고성통계연보,. 고성군
14 산림청. 2000. 임산물 생산통계. 산림청
15 삼림청. 2006.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16 한국은행. 2005. 우리나라 실측 지역산업연관표 작성방안 연구, Quarterly National Accounts 2nd 2005. 한국은행
17 한국은행. 2004. 산업연관분석해설. 한국은행
18 강원도. 2005. 2000년 동해안 산불피해지 산림복구. 강원도
19 박상우, 이종열, 변세일, 김갑성, 김종귀, 손경환. 2003. 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III). 국토연구원. 국토연, 2003-13
20 박형래. 1993. 영동지역 산업연관분석의 방법에 관한 연구. 강릉대학교 부설 사회과학연구소
21 김석중. 1999. 강원지역 산업연관분석 연구. 강원개발연구원
22 강원도. 2000. 강원통계연보. 강원도
23 강원도.2001. 2000 동해안 산불백서. 강원도
24 강원발전연구원. 2005. 율유년 4월 동해안 대형산불의 교훈: 진단과 예방 및 복구. 강원발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