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build system

검색결과 928건 처리시간 0.026초

건축 프로젝트의 설계시공일괄 수행방식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개발 및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안 (A Process Model for Project Management of Design-Build System and Method for Constitution of Database)

  • 김의석;김창교;이경국;박상준;손보식;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2-245
    • /
    • 2004
  • 공공 건설사업 발주 정책의 변화 및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는 건축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향후 건설시장은 디자인 빌드 방식의 건설사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디자인 빌드의 증가와 더불어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 빌드 방식은 일괄사업자가 설계와 시공에 대한 책임을 전담하게 되므로 많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며, 기본설계에서 실시설계를 거쳐 시공단계에 이르는 업무 프로세스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아 사업의 진행에 따른 사업 수행자의 일관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지식의 체계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설계시공일괄 방식의 건축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 모델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The Process Model for Project Management of Design-Build System and Constitution of Database)

  • 전재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09-116
    • /
    • 2005
  • 공공 건설사업 발주 정책의 변화 및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는 건축 프로젝트의 특성에 따라 향후 건설시장은 디자인 빌드 방식의 건설사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디자인 빌드의 증가와 더불어 운영관리 측면에서의 적지 않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디자인 빌드 방식은 일괄사업자가 설계와 시공에 대한 책임을 전담하게 되므로 많은 리스크 요인이 존재하며, 기본설계에서 실시설계를 거쳐 시공단계에 이르는 업무 프로세스가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아 사업의 진행에 따른 사업수행자의 일관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수행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지식의 체계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해 디자인 빌드 프로젝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Design-Build Bidding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 김수현;전민정;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410-413
    • /
    • 2003
  • 건설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제정책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계업체와 시공업체의 협력을 장려하는 설계시공 일관입찰방식이 대두되었다.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은 공기단축, 사업비 절약, 품질 향상을 위한 전도 유망한 입찰방식이지만 국내 건설산업에서는 제도의 미비, 관계자들의 경험 및 인식부족 등으로 이러한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공사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에서의 문제점을 사업비, 품질, 사업기간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글로벌 건설공사의 턴키설계심의제도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esign review system in design-build project)

  • 박환표;진경호;이교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5-9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design review system in design-build project. As a result of surveys, th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design review system was abruptly increased. But local government has not fairness and transparency. Therefore this research has proposed the integration management and joint application of design review organization in design-build project. So, we expect that the transparency is raised in management of design review committee.

  • PDF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세스 성공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Model for Design-Build Delivery Method Process)

  • 김정훈;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19-127
    • /
    • 2003
  • 오늘날 프로젝트 수행방식 중 설계시공일괄방식은 전통적 수행방식의 대안으로 점차 선호되고 있다. 1995년 처음 도입된 설계시공일괄방식은 아직까지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켜오고 있다 초기 선행연구보고서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젝트 수행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해 왔으나, 아직까지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시공일괄방식 프로젝트 수행을 향상하기 위해 4단계에 걸쳐 설계시공일괄방식 성공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연구를 위한 적절한 모델링 방법을 찾고, 둘째로 설계시공일괄방식의 현황을 분석하여 현황모델을 만든다. 셋째로 현황모델과 기존연구들을 분석하여 문제점 모델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해외 설계시공일괄방식을 분석하여 성공요소와 환경을 찾아 성공적인 설계시공일괄방식의 모델을 구현한다.

사례연구 분석을 통한 발주방식별 성과비교 (Project Performance Comparison Based on Different Types of Project Delivery System)

  • 이수경;정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1부
    • /
    • pp.207-209
    • /
    • 2011
  • Numerous reports show that alternative project delivery systems (PDSs) such as design-build (DB), construction management at risk (CMR), and design-build-maintain (DBM) are increasingly used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compared characteristics of each PDS (design-bid-build (DBB), DB, CMR, or DBM) by analyzing quantitative data from 9 research articles. In order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DBB and alternative PDSs, the study is based on principal 3 factors - Time, Cost, and Quality. DB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the time part and also the cost performance depending on facility type and project size. The performance of quality has minor difference among different PDSs. These results support the fact that using an appropriate PDS by the characteristic of a project makes high value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 PDF

A PROPOSAL OF CONSTRUCTABILITY REVIEW IN THE BASIC DESIGN STEP FOR DESIGN-BUILD PROJECTS

  • Sung-Wook Choi;Young-Woong Song;Yoon-Ki Choi;Dong-Woo Shin;Jae-Youl Chu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50-1153
    • /
    • 2005
  • The orders of Design-Build Delivery System (DBDS) in a large and public construction project have been increasing. Single Source Responsibility (SSR) for design and construction, which contributes to quality improv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has been performed. The DBDS performs SSR for design and construction, but, it has not maximized effect because of the dissatisfied alternative analysis procedures which are based on constructability evaluation and the information system in the design step. In this research, Constructability Evaluation Factors (CEFs) that must be evaluated, investigated, and reflected in the basic design step for design-build projects. The CEF proposed and the business process of each conductor has been systematized. To propose constructability evaluation factors, first classify drawing information by the constructability evaluation sphere. CEFs must be proposed to evaluate factors according to interference among work items. Second, applicable CEFs must be classified by preference ranking and weight. Third, the values of constructability factors in accordance with building elements and work items, need to be calculated. Finally, the CEFs proposal will support rational decision making, design cost re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values for constructability of building elements and work items.

  • PDF

설계시공일괄입찰공사의 설계변경 클레임요인 분석에 관한 기초 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Factors Analysis of Change Order-Claim in Design-Build Project)

  • 류혁준;박병주;유승규;김주형;김재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9-130
    • /
    • 2012
  • Although the order of Design-Build is being expanded by increasing construction scale and demanding hybrid function, the suitable regulation of the contracts is not settled. Design-Build is way by government because there are big construction of much government leading in contract relation high position occupy. So, case that prebendary's claim institution develops by litigation is very rare. But, recently Design-Build is magnified. So, these dispute factors is becoming visualization gradually. The contract system is needed to be consistent by international standard to deal with the problem. This study suggests the useful solutions in detail concerned with the main factor of change order claim by each Design-Build phases through practical sorting and analysis of the causes of Change Order-Claim.

  • PDF

IMPACTS OF DESIGN-BUILD DELIVERY SYSTEM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AIWAN

  • Min-Ren Yan;Wei Lo;Chien-Liang L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007-1012
    • /
    • 2005
  • Although the design-build (DB) delivery system has been taking great strides in the world and relevant researches have also been quite abundant, few studies have dealt with its potential impacts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a whole. This research first identified the potential entry barrier factors, which may hinder the market access, based on the theory of industrial economics and characteristics of DB project. Then through a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103 construction contractors and engineering consultants, the influences of each factor on company's competitiveness and corporate strategies were scrutinized, and consequently, the evolu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examined. It is found that as opposed to the traditional design-bid-build delivery system, the DB delivery system elevates competitive advantages of large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financial capability, working experience, human resource, and administrative strength, and among them, the financial strength was conclud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orce in differentiating corporate strategies and widening the gap of competitiveness between companies. It is inferred if the government extensively adopts DB delivery system, large organizations that already possess the competitive advantage tend to obtain both design and construction abilities, and dominate the DB market.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ill find little room to maneuver and be forced to become specialty sub-contractors.

  • PDF

일괄입찰방식의 적격심사분이별 배점 결정모델 개발 (A Model for Deciding Evaluation Weights in Design-Build Delivery Method)

  • 김만철;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91-100
    • /
    • 2005
  • 건설 전체 프로세스를 하나의 주체가 단일 책임하에 수행하는 일괄입찰방식은 설계와 시공의 연계로 인한 기술력확보, 공기단축, 사업비절감, 품질확보 등의 예상효과로 인해 적용이 확대되리라 예상되는 발주방식의 하나이다. 한편, 국내 일괄입찰방식의 낙찰자 결정방법은 일괄입찰방식으로 수행되는 모든 프로젝트에 동일한 배점기준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일괄사업자 선정시 발주자의 목적과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괄사업자 선정에 있어서 발주자의 목적과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일괄입찰방식의 적격심사 분야별 배점 결정모델을 제안함으로써, 발주자가 당해 프로젝트에 최적인 일괄사업자를 합리적으로 선정하는 것을 돕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