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rmal exposur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대기 중 엑스포좀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tmospheric Exposome on the Skin)

  • 송미;백지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5-191
    • /
    • 2021
  • 환경오염은 인간의 건강, 삶의 질 또는 생태계의 자연적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로 지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으로 정의된다. 환경 스트레스 요인에 장기간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피부의 정상적인 방어 잠재력을 초과할 때마다 피부 장벽 기능에 장애가 생겨 다양한 피부 질환이 발병하게 된다.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은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휘발성 유기화합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 담배 연기, 중금속, 비소 등이다. 이들 물질의 피부 흡수는 피부 표면의 대기오염물질의 침적, 표피 지질 구성, 표피를 통한 혈관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Determining the reuse of metal mine wastes based on leaching test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 Ju, Won Jung;Hwang, Sun Kyung;Jho, Eun Hea;Nam, Kyoungphil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82-90
    • /
    • 2019
  • Meeting the regulations based on the short-term leaching tests may not necessarily assure the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safety of reusing mine wastes. This study investigated heavy metal leachability of four metal mine waste samples (e.g., Z, Y, H, and M) and human health risk of reusing them as construction materials. The heavy metal leachability did not depend on the total heavy metal contents. For example, the Z sample contained greater amounts of As and Fe than Zn, but the leachates contained only Zn at a detectable level.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heavy metal fractions of the mine wastes. The leaching test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ur mine waste samples are potentially reusable. But the Z and M samples reused in industrial areas imposed carcinogenic risks. This was largely attributed to As that is exposed via dermal contact. The Y and H samples reused in residential areas imposed carcinogenic risk. The major exposure route was the ingestion of crops grown on the mine wastes and Cr was the major concern. The two-stage assessment involving leaching tests and risk assessment can be used to promote safe reuse of mine wastes.

가습기 살균제 성분(PHMG, PGH, CMIT/MIT)의 사람 피부세포 독성 및 제브라피쉬 뇌신경 독성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dermal cell toxicity and zebrafish brain toxicity by humidifier sterilizer chemicals (PHMG, PGH, CMIT/MIT))

  • 조경현;김재룡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71-277
    • /
    • 2020
  • 가습기 살균제 성분(PHMG, PGH, CMIT/MIT)의 노출에 의한 다양한 장기에 대한 독성들에 대해서 피해사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세포모델과 동물모델에서의 연구와 보고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심혈관 독성, 간 독성, 배아 독성에 대해서는 최근 알려져 있으나 뇌신경 독성과 피부 독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 가지 성분들의 피부 독성과 뇌신경 독성을 사람 피부섬유세포와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각각 평가하였다. 사람피부섬유세포에 세 가지의 성분들을 0, 2, 4, 6, 8, 16 mg L-1 (최종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은 PHMG가 33%로 가장 낮았고, PGH가 49%, CMIT/MIT가 40%의 생존율을 보였다. 세포배양액 내의 산화물을 정량해본 결과, PHMG 처리된 세포가 28 nmol MDA로 가장 높았고, PGH가 13 nmol MDA, CMIT가 21 nmol MDA를 보였다. 제브라피쉬 사육수조에 PHMG, PGH, CMIT를 40 mg L-1의 최종농도가 되도록 희석한 후, 제브라피쉬를 30분간 노출시킨 후 중뇌의 광시개영역(optic tectum)을 횡면 미세절단하여 산화물의 생성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CMIT/MIT를 처리한 그룹에서 대조군 대비 17배 많은 산화물의 생성이 있었고, PGH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15배, PHMG를 처리한 그룹에서는 11배 많은 산화물이 관찰되어 심각한 뇌신경계 독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종류의 가습기 살균제 성분들에서 모두 심각한 피부세포 독성과 뇌신경계 독성이 나타났는데, 피부 독성은 특히 PHMG가, 뇌신경계 독성은 특히 CMIT/MIT가 가장 심각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된 어린이들이 뇌신경계 독성을 통하여 언어장애, 운동장애, 발달장애 등을 겪게 될 수도 있음을 실험적으로 제시한다.

아세트아닐리드의 초기 인체위해성 평가 (Initial Risk Assessment of Acetanilide with Respect to Human Health)

  • Lee, Su-Rae;Park, Seon-Ju;Lee, Mi-Kyung;Nam, U-Kyung;Chung, Sun-Hwa;Seog, Geum-Su;Park, Kwang-Sik;Kim, Kyun;Kim, Yong-Hwa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1_2호
    • /
    • pp.31-37
    • /
    • 2000
  • 아세트아닐리드는 그의 생산 및 이용 공장에서 환경으로 방출된 다음 인체에 노출될 수 있다. 아세트아닐리드는 진통효과클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과도 노출시에는 건강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EUSES시스템에 의하면 아세트아닐리드는 지역노출의 경우 6$\times$$10^4$을 초과하는 높은 MOS 값(안전성 마진)을 보여주어 공중보건상 충분히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지수준(작업장)에서 경피노출에 의한 MOS최저 값은 3$\times$$10^{-4}$으로 추정되었지만 작업장에서 개인장비나 환기와 같은 예방조치에 의하여 그 위험을 부분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아세트아닐리드는 분진 흡입하는 작업자에게 위험 가능성이 나타날 수 있다. 작업장에서 건강보호를 위해서는 산업보건 측면에서의 안전함이 증명될 수 있도록 반복투여독성, 생식독성 및 발육독성에 관한 자료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염분 농도에 따른 어린 돌기해삼, Apostichopus japonicus의 생존 및 피부계의 조직학적 변화 (Survival and Histological Change of Integumentary System of the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Exposed to Various Salinity Concentrations)

  • 김태익;박민우;조재권;손맹현;진영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60-1365
    • /
    • 2013
  • 다양한 염분 농도에 따른 어린 돌기해삼의 생존과 피부계의 구조적 이상을 관찰하였다. 돌기해삼의 크기 및 수는 습중량 $1.0{\pm}0.2g$, 250 개체였다. 실험농도는 0, 5, 10, 15, 20, 25, 30, 35 및 40 psu 였으며, 96시간 노출 후 7일간 일반해수에서 회복과정을 통해 생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25-35 psu에 노출된 개체들은 모두 100%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LC50은 21.05 psu로 나타났다. 돌기해삼의 피부계는 20 psu 이하의 염분 농도에 노출된 개체들의 경우 상피층 두께 감소, 상피세포 핵 응축, 점액세포 감소 및 진피층 결합조직의 성긴 배열 등이 주로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40 psu의 염분 농도에 노출된 개체들은 상피세포 핵의 비대, 점액세포 증가 및 진피층 결합조직의 치밀배열 등이 나타났다. 진피층에서 관찰된 alcian blue(pH 2.5) 양성 분비세포들은 20 psu 이하에서는 노출 24시간 내에 대조구에 비해 급격한 증가 및 감소폭을 보였다. 40 psu 에서는 노출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한 후 회복일수에 따른 감소경향을 보였다.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노출과 관련한 인체면역기능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치 개발에 관한 연구 (Immune-alteration Demonstrated at the Korean Vietnam War Veterans Exposed to Agent Orange)

  • 허용;김은미;유지연;홍승권;전성훈;김형아;조대현;한순영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24
    • /
    • 2002
  •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has been reported to exert detrimental toxicities on various organ systems including reproductive, cardiovascular, nervous, or dermal system. Immunomodulatory effects of TCDD is thymic atrophy, downregulation of cytotoxic T or B lymphocyte differentiation and activation, which were demonstrated using experimental animals, whereas immunotoxicity in human has not been investigated well. This study was proceeded to evaluate general immunologic spectrum of the Korean Vietnam War veterans exposed to TCDD during their operation, and compare with that of the non-exposed control subjects with similar age. Regarding composition and quantity, immune cells in peripheral blood collected from the TCDD-exposed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rol except decreased red blood cell,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 Furthermore, plasma IgG2, G3, and G4 isotype distribution was similar between two groups, but IgG1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TCDD-exposed, indicating a TCDD-mediated functional alteration of B cells. Significantly enhanced level of IgE in plasma, a hallmark of dermal or respiratory allergic response, was also observed in the TCDD-expo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Elevated generation of IL-4 and IL-10 was resulted from in vitro stimulation of T cells with PMA plus ionomycin or PHA, respectively, from the TCDD-exposed in comparison to those of the control, suggesting a skewed type-2 response. In addition, the level of IFN${\gamma}$, a multifunctional cytokine for T cell-mediated immunity, was lowered in the TCDD-exposed with upregulation of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CDD exposure disturbs immunohomeostasis in humans observed as an aberrant plasma IgE and IgG1 levels and dysregulation of T cell activities.

  • PDF

국내 도로 노면 퇴적입자 내 PAHs의 인체 위해성 평가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from Road Dust Sediments in Korea)

  • 이가인;김홍경;지승민;장용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4호
    • /
    • pp.286-29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4개 도시(6개 지점)로부터 도로 노면 퇴적입자 내 PAHs의 농도 및 분포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오염 수준에 대한 초과 발암 위해도를 산정하여 인체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지역별 오염농도를 바탕으로 흡입, 섭취, 피부 노출에 대한 노출경로를 설정하여 결정론적 위해성평가를 수행한 결과, 울산 지역의 경우 위해도 발암 기준 1×10-6을 상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발암위해도가 있다고 판단되는 해당 지역에 대한 확률론적 위해성평가 결과, 확률적 평균값이 단일값을 활용한 결정론적 위해도 산정에서 도출되었던 발암위해도와 중앙값에 근접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민감도 분석 결과, 노출시간에 따른 기여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향후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 위해도를 나타내는 지역에 대한 위해도 관리는 물론 상세한 모니터링을 통한 추가 위해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노출계수의 산정을 통해 인체 위해도 평가 결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음용 지하수 오염물질 기준설정체계 구축 연구: (1) 특정유해물질 (Establishment of Non-Drink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1) Specific Harmful Substances)

  • 안윤주;남선화;이우미;윤성지;윤진열;정승우;김혜진;김현구;김태승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630-635
    • /
    • 2013
  • 비음용 목적의 지하수에 대한 국내 수질기준은 기준항목 및 기준치설정에 근거가 명시되지 않아 체계적인 기준설정체계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음용 목적의 특정유해물질에 대한 위해성기반 한국 지하수 수질기준 설정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흡입 및 피부접촉 노출경로를 고려한 위해성을 반영하고 있는 선진국의 지하수기준 설정근거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타 수질 관련 매체의 기준 설정 체계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 지하수기준의 설정체계를 제안하였다 모니터링 우선항목 선정, 모니터링 수행, 위해성평가, 지하수 수질기준 후보물질 선정, 특정유해물질 지하수 수질기준 신규항목 선정 및 항목별 기준치 설정 단계로 제안하였다.

인공 진피(알로덤®)을 이용한 하지의 골이 노출된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s in Lower Extremities using Artificial dermis(AlloDerm®))

  • 전만경;장영철;고장휴;서동국;이종욱;최재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78-582
    • /
    • 2009
  • Purpose: In extensive deep burn of the lower limb, due to less amount of soft tissue, bone is easily exposed. When it happens, natural healing or reconstruction with skin graft only is not easy. Local flap is difficult to success, because adjacent skins are burnt or skin grafted tissues. Muscle flap or free flap are also limited and has high failure rate due to deep tissue damage. The authors acquired good outcome by performing one - stage operation on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with AlloDerm$^{(R)}$(LifeCell, USA), an acellular dermal matrix producted from cadaveric skin. Methods: We studied 14 bone exposed soft tissue defect patients from March 2002 to March 2009. Average age, sex, cause of burn, location of wound,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studied. We removed bony cortex with burring, until conforming pinpoint bone bleeding. Then rehydrated AlloDerm$^{(R)}$(25 / 1000 inches, meshed type) was applicated on wound, and thin split thickness(6 ~ 8 / 1000 inches) skin graft was done at the immediately same operative time. Results: Average age of patients was 53.6 years(25 years ~ 80 years, SD = 16.8), and 13 patients were male(male : female = 13 : 1). Flame burn was the largest number. (Flame burn 6, electric burn 3, contact burn 4, and scalding burn 1). Tibia(8) was the most affected site. (tibia 8, toe 4, malleolus 1, and metatarsal bone 1). Thin STSC with AlloDerm$^{(R)}$ took without additional surgery in 12 of 14 patients. Partial graft loss was shown on four cases. Two cases were small in size under $1{\times}1cm$, easily healed with simple dressing, and other two cases needed additional surgery. But in case of additional surgery, granulation tissue has easily formed, and simple patch graft on AlloDerm$^{(R)}$ was enough.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period of patients without additional surgery was 15 days(13 ~ 19 days). Conclusion: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give us an advantage in short surgery time and less limitations in donor site than flap surgery. Postoperative scar is less than in conventional skin graft because of more firm restoration of dermal structure with AlloDerm$^{(R)}$. We propose that AlloDerm$^{(R)}$ and thin split thickness skin graft could be a solution to bone exposured soft tissue defects in extensive deep burned patients on lower extremities, especially when adjacent tissue cannot be used for flap due to extensive burn.

모링가:두충 2:1 (g:g) 복합 조성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항염 효능 연구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inga Folium and Eucommiae Cortex 2:1 (g/g) Mixed Formula)

  • 허석모;양진원;김종래;박미령;김태기;구세광;박수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5-129
    • /
    • 2022
  • The purpose of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oringa Folium and Eucommiae Cortex 2:1 (g/g) mixtures (MEMix). HaCaT and human normal dermal fibroblast were treated with 0.01-1 mg/mL of MEMix to monitor cytotoxicit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Mix were examined by DPPH assay. To explore anti-inflammatory effect, Raw 264.7 cells were pretreated with MEMix for 1h and subsequently exposed to LPS for 18h. NO release and cytotoxicity of Raw 264.7 cells were measured by adding Griess and MTT reagents, respectively. TNF-α, IL-1β, IL-6, and PGE2 productions were examined by ELISA. Immunoblot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COX-2 expression in MEMix pretreated Raw 264.7 cells. Up to 1 mg/mL concentration, treatment of MEMix for 24 h did not affect normal dermal fibroblast viability and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of HaCaT cells with no concentration dependency. MEMix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concentration dependency.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by 1 mg/mL of MEMix was comparable with 30 µM of trolox. Pretreatment of MEMix did not change the reduction of Raw 264.7 cell viability. Exposure of LPS in Raw 264.7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NO, TNF-α, IL-1β, IL-6, and PGE2 productions, and MEMix pretreatment attenuated these productions by LPS concentration dependently. However, pretreatment with MEMix did not change COX-2 expression by LPS in Raw 264.7 cells. MEMix showed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MEMix would be useful candidate agent against inflam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