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entia policy awarenes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9초

보건계열 대학생의 치매 정책 인식과 치매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mentia Policy Awareness and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s of Health College Students)

  • 장철;이대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1-182
    • /
    • 202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dementia policy and their attitudes toward dementia. Methods : In this study, 29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01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of K College in Busan from November 7 to 29, 202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9 items, including 9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10 on awareness of the dementia policy, 15 o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25 on knowledge about dementi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SPSS version 25. A post-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cheffe test. Dementia policy awareness, knowledge of dementia,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were analyzed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factor. Results : The health students' dementia policy awareness and knowledge of dementia were high, and their attitudes toward dementia were positive. High knowledge of dementia was influenced by sex, interest in dementia, presence of dementia information, and related volunteer work experience. Positive attitudes toward dementia were related to sex, department, and mode of receiving dementia information. High dementia policy perceptions were associated with interest in dementia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formation on dementia.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and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Conclusion : According to our study, interest in dementia is increasing owing to the recent dementia safety system. As a result, the dementia policy awareness and knowledge of dementia among college students pursuing health studies were high, and their attitude toward dementia was positive. From these results, we can infer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on dementia should be conducted in universities.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Japa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Welfare, Dementia Perception, and Dementia Attitude on Dementia Policy Perception)

  • 류애란;이국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49-355
    • /
    • 2023
  •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일 대학생의 치매정책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일 대학생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은 저출산 고령사회 속에서 노인을 위한 사회보험제도를 발전시켜 왔으며, 양국의 문화에 맞는 부양방식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일 대학생들의 치매정책 인식에 있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일본의 개호보험의 영향으로 대학생들에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치매인식이 치매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나 대학생들의 치매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치매인식은 여러 가지 치매관련 서비스 또는 치매정책 개발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치매인식이 낮으면, 치매에 대해 오해하거나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치매정책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매와 관련된 사회적 지원, 예방, 치료 등의 서비스와 정책이 충분히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대학생에 대한 치매인식 개선과 이해를 돕기위한 정부와 사회 등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의식향상을 통한 인식개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기도 물리치료사의 치매 국가책임제 인식도 조사연구 (Survey on the Gyeonggi-do Physical Therapists' in Awareness of National Responsibility for Dementia)

  • 염준우;김구식;이태한;박동민;나호성;김찬문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7-198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ssociation's policy management and to improve the activity areas by investigating Gyeonggi-do physical therapists' recognition of the national responsibility for dementia. Methods : A total of 1,839 physic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the data from a total of 2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windows. Results : Among the physical therapists in Gyeonggi-do, 61.1 % had low awareness of the national responsibility for dementia, and the recognition of the center for dementia was also low.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remarkably high opinion that the physical therapist was a necessary workforce, and positive responses to dementia-related work and education participation were also high, 51.9 % and 68.5 %, respectively. Those with a high educational background, annual salary, clinical experience, or dementia-related institutions, such as nursing homes and physical therapy, had a high awareness of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awareness of "center for dementia" and "participation in dementia-related work an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work participation" and "education participation" were found to be inversely related to age and clinical experience. Conclusion : Physical therapists based in Gyeonggi-do showed an awareness of dementia policy. This result will help the association's policy management and protect the physical therapist's rights and interests.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mentia Perception and Attitude on Aging Anxiet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77-2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화불안을 줄이고 효과적인 치매예방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시민 5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매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 인식이 낮을수록 노화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치매 태도는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치매 인식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치매 인식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 of Dementia, and Awareness of care giving for Elderly among of Nursing student)

  • 윤미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19-426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정도를 알아보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재학생 288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7일 부터 5월 14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에 대한 지식은 학년, 종교, 치매교육유무에서,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 치매봉사경험과 치매교육경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매에 대한 지식과 노인부양의식은(r=.105, p=0.38),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r=.55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상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가 노인부양의식을 31.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대학생들의 개별적, 집단적 특성을 고려한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맞춤형 치매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적용되어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치매교육에 따른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인식에 미치는 영향 - 치매지식 매개효과 중심으로 - (Effect of Dementia Attitudes according to Dementia Education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 Recognition of Dementia Policy - Mediating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

  • 최희정;김지숙;김정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25-33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치매교육에 따른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치매지식 매개효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대상자는 2개의 G 시에 소재한 U와 K 대학교 1~2학년 대학생, 30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 4일부터 9월 29일까지였고, SPSS /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Pearson 상관계수 및 다중단계 회귀분석을 하였다. 대상자의 치매교육 여부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에서 모두 교육집단이 비교육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 정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과 치매태도 모두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지식은 치매정책인식의 예측요인(t=2.35, p=019)이면서 유의미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설명력은 17.8 %였다. 따라서 올바른 치매지식과 긍정적인 치매태도 및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 국민 대상 치매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Dementia Policy Perception,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Preven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 최희정;김지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25-133
    • /
    • 2020
  • 본 연구는 중년층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 치매지식, 치매태도 및 치매예방행위 차이분석을 위한 것이다. D시와 G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4세까지 중년층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가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치매정책인식 정도는 75.42±8.52, 치매지식은 8.71±1.90, 치매태도는 28.55±5.10, 치매예방행위는 27.04±3.35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정책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치매지식은 성별, 질환 수,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치매태도는 성별, 나이, 학력, 가족 중 치매, 치매가족 동거, 직업상태, 조기검진, 치매정보 원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치매예방행위는 치매가족 동거, 조기검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예방행위의 세부항목 순위는 '당신은 담배를 피우십니까?(역문항)'가 가장 높았고, '당신은 평상시 혈압이나 당뇨관리 등 질환관리를 하십니까?'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층의 치매정책인식을 높이고 올바른 치매지식, 긍정적 치매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매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인지활동, 사회활동, 올바른 식생활 습관, 건강관리 등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는 맞춤형 치매예방행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치매관리정책의 언론보도 경향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치매예방을 중심으로 (A Network Analysis on the Trend of Pressing Dementia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the Prevention of Dementia)

  • 최인규;서경도;김덕환;최주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치매관리정책에 대한 언론보도의 경향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치매예방실천, 인식개선, 치매관리지원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절차와 방법으로는 치매관리정책과 관련한 주제어의 인용횟수, 그리고 중심성 매개성을 중심으로 한 주제어 간 연결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활 속 치매예방 실천 지원에서 지역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설명하는 '미시적' 관점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및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은 치매관리정책 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개인적인 문제로 한정하는 정책적 용어의 사용보다는 지역사회의 '공동체'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3대 치매 고위험군 관리 및 지속적 치매조기발견 지원을 통한 '치매관리정책'와 같은 핵심어의 네트워크 구조는 향후 연구에서도 학계 간 융합연구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민들의 인식 및 정책성과, 그리고 선진국의 치매관리정책 흐름을 고려했을 때 '치매관리, 예방'을 포함한 치매관리정책 현상은 국지적 일시적인 것이 아닌 향후 치매관리정책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

"우리마을 예쁜치매쉼터"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일 개도의 지역특화사업 중심 (A Case Study on the Appealing Dementia Rest Area in Our Village for Regional Specialization Province in Gyeongsangbuk-do)

  • 하태희;형나겸;곽경필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2-19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undertook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support requirements and improvement plans for establishing an appealing dementia rest area in Gyeongsankbuk-do.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June 20, 2019, using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of 8 health professionals, and were subjected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ur analysis revealed 4 themes and encompassing 16sub-themes: 1) program operation status (hard to prepare and operate programs, difficulty adjusting the program level, various needs of program participants,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among program participants); 2) policy support needs (need for assistants staff and basic education, requirement of extensive training for the main operators, support program aid equipment, incentive payments and performance reflections); 3) project operation's improvement plan (improved the operation of doubles classes, improved of training materials for the main operators, improved program activities and workbooks, Increasing the number of dementia rest areas); 4) positive effects and changes (positive effects of specialized projects, changes in perceptions of dementia, strengthening community awareness through doubles classes, synergy effect on community health care post awareness) Conclusion: We believe the current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new model, and will positively impact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지역사회 치매관리 모형 개발 : 광명시의 경우 (Development of Dementia Care Model in a Community)

  • 배상수;김동현;우영국;오진주;민경복;이수현;이미라;이상숙;표옥정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0-71
    • /
    • 1999
  •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public awareness regarding dementia during recent years. However, dementia remains a family affair and patients do not receive adequate car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assist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by establishing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in a city. The data collected for analysis include five main categories: dementia prevalence, limitations of daily activities of patients, burden of caregivers, the services that patient's family want to utilize, the resources that handle dementia in the community.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 prevalence rate of dementia for elderly people is 13.1 per 100 persons. Alzheimer's disease amount to 38.9% of dementia patients and vascular dementia account for 36.7% of them 2)Eight out of ten patients have mild dementia. Almost all patients have normal ADL. IADL, however, shows different picture. In every items of IADL, about 60% of patients reveals some limitations. 3)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medical diagnosis is as low as 20%. Families of patients think dementia as normal aging process and medical doctors in the community do not give special concern to dementia patients. 4)Caregivers does not have proper social support. They suffer from long care time, experience large obstacles in respect of health, daily living, and social activity. 5)Health center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launched some programs-consultation, home-visiting nursing, day care center, voluntary force mobilization and so on-for dementia patients. But they do not perform expected roles and functions because of lack of skilled personnels and inadequate coordination of relevant organizations for dementia care. 6)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prefer home helper and home-visiting nurse to hospitalization. For the future, however, demand for institution-based long-term services will increase. We develope community dementia care model based on above findings as follows: 1)Health center execute community cardiovascular control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vascular dementia. 2)Refer to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preference of family, the most urgent task for dementia care in this city is to expand and organize Home and Community based Long-Term Care. 3)For th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care, care plan for a patient must be prepared. Case management team should be builded to prepare this plan and coordinate relevant resources. 4)Special long-term care unit for dementia will be needed in a near future. This unit should have multiple functions, such as day-care center, short stay facility, training center for relevant personnels, besides long-term nursing home considering effective care of dementia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facility. 5)Voluntary workers deserve their due efforts. Incentive mechanisms must be developed to activate voluntary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