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Dementia Perception and Attitude on Aging Anxiety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11.20
  • Accepted : 2020.12.29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ducing aging anxiety and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mentia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on aging anxie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9 citizens living in J city, Chungbuk.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entia awareness and attitude on aging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aging anxiet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ementia awareness, which means that the lower the dementia awareness,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However, the attitude toward dementia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about ag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dementia awareness are needed. Second, promotion for the improvement of dementia awarenes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unity network to improve the awareness of dementia.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화불안을 줄이고 효과적인 치매예방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시민 5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매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 인식이 낮을수록 노화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치매 태도는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치매 인식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치매 인식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세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김귀환(2017). 노인복지론. 경기도: 정민사.
  2. 김지혜(2018). 현대소설에 나타난 치매 표상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72: 53-80.
  3. 중앙치매센터(2020). 대한민국 치매현황.
  4.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2019).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9.
  5. 이은자, 조미경(2017). 지역주민의 치매 인식도, 치매 태도 및 우울에 대한 조사연구. 동서간호학연구지, 23(2): 180-189.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80
  6. 이선아, 김희숙(2017). 치매가족교육 프로그램이 치매 환자 주부양자의 치매 인식도, 부양 부담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6(1): 14-22.
  7.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2018). 2018 서울시민 치매인식도 조사 보고서.
  8. 김숙희(2013). 간호학과와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지각된 서비스 요구. 우석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진, 정덕유(2015).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장애,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35(3): 731-743.
  10. 데이터넷(2014). 치매환자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 애정 담긴 관심과 사랑. 2014년 10월 23일자.
  11. 오봉욱(2016). 사이버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5(1): 111-127.
  12. 김경민, 한경혜(2004). 중년기 남녀의 가족 생활사건 경험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4(3): 211-230.
  13. 서은경, 이미라(2018). 혈액투석 환자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12): 795-804.
  14. 송영희(2002). 중년의 치매에 관한 인식과 태도: 사.오십대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Boustani, M.A., Justiss, M.D., Frame, A., Austrom, M.G., Perkins, A.J., Cai, X., & Hendrie, H.C.(2011). Caregiver and noncaregiver attitudes toward dementia screening.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4): 681-686.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1.03327.x
  16. 양은미(2018).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치매예방교육요구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서순림, 최희정(2013).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5(4): 464-472.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64
  18. Lasher, K.P., & Faulkender, P.J.(1993). Measurernent of aging anxiety: Development of the anxiety about ag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37(4): 247-259. https://doi.org/10.2190/1U69-9AU2-V6LH-9Y1L
  19. Barrett, A.E., & Robbins, C.(2008). The multiple sources of women's aging anxie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0(1): 32-65. https://doi.org/10.1177/0898264307309932
  20. 김욱(2014).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6): 421-442.
  21. Harris, L.A., & Dollinger, S.M.C.(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raits and anxiety about ag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87-194. https://doi.org/10.1016/S0191-8869(02)00019-3
  22. 김순이, 이정인(2007).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4(1): 103-109.
  23. 김은하(2007). 중년 이후 여성의 노화에 대한 불안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3(2): 192-202.
  24. 최순옥, 김숙남, 신경일, 이정희(2008). 일부지역 성인의 노후불안. 한국노년학, 28(1): 19-32.
  25. 서순림, 최혜정(2013).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5(4): 464-472. https://doi.org/10.7475/kjan.2013.25.4.464
  26. 최영미, 최성희, 안옥희(2019).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 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6(3): 175-183. https://doi.org/10.5953/jmjh.2019.26.3.175
  27. 김현영(2020).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6): 563-573.
  28. 김욱(2011). 대학생의 노화불안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6: 27-56.
  29. 장휘숙(2012). 대학생과 노인의 노화불안과 특성불안 및 5요인 성격특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5(1): 1-18.
  30. 김민희(2013). 대학생의 노인 접촉 경험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노화불안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32-333.
  31. Lynch, S.M.(2000).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ging anxiety. Research on Aging, 22(5): 533-558. https://doi.org/10.1177/0164027500225004
  32. Rossi, A.(2004). The menopausal transition and aging process. In O. Brim, C. Ryff, & R. Kessler(Eds.).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at mid-life, 153-201. Chicago: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임정숙(2018). 노인의 노화불안이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와 성별차이. 노인복지연구, 73(1): 417-443.
  34. 김화선, 최은정, 양정남(2009). 노인사실인지 정도와 노화불안에 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135-165.
  35. 김신미, 김순이(2009). 노인의 노화불안과 삶의 질. 정신간호학회지, 18(2): 207-218
  36. 김정선, 강숙(2012). 베이비붐세대의 자녀돌봄 부담감, 노화불안, 노후준비 및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6(3): 440-45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3.440
  37. 김신미, 김순이(2008). 중년기 성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7(3): 281-291.
  38. 신경일(2015). 성인여성의 노화불안: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29-346.
  39. 박정훈(2018). 중년여성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569-577. https://doi.org/10.5762/KAIS.2018.19.10.569
  40. 박경아, 김정자, 오명화(2020). 노인의 노화불안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데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6): 251-258.
  41. 김욱(2010). 한국노인과 미국노인의 노화불안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47: 71-94.
  42. 장현숙, 김진욱(2016). 대학생의 노화불안과효 의식 연구: 한.일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0(1): 185-204.
  43. 남석인, 김준표, 이다지(2015).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 유무에 따른 비교와 부부간 대화만족도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70: 169-195.
  44. 서대석(2018).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0): 575-583. https://doi.org/10.5392/JKCA.2018.18.10.575
  45. 최영미, 최성희, 안옥희(2019).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성공적노화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근관절건강학회지, 26(3): 175-183. https://doi.org/10.5953/jmjh.2019.26.3.175
  46. 유용식(2013).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2): 738-747.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738
  47.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2014). 2013 서울시민 대상 치매인식도 조사.
  48. McManus, M., & Devine, P.(2011). Dementia: public knowledge and attitudes. Research Update, 77.
  49. 문정희(2014). 치매에 대한 장.노년층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정희, 안영식, 윤소정(2007). 노인과의 동거 및 노인에 대한 교육경험이 노화지식 및 노후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 345-355.
  51. 김명신(2009). 교사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화지식이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순둘, 최혜지(2012). 노후불안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 지식과 태도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0(2): 9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