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anulation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5초

IgE로 감작된 RBL-2H3 세포에서 버섯자원의 항알레르기 활성 탐색 (Study on the anti-allergy activity of mushrooms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 이승은;노형준;최재훈;김금숙;이대영;김승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2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버섯추출물 (42개)의 in vitro 항알레르기 효능탐색을 위해 랫드비만세포 (RBL-2H3 cell)에서 면역글로불린 (IgE)가 매개한 탈과립에 대한 저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anti-DNP IgE 및 DNP-HSA에 의해 알레르기반응이 유발된 랫드비만세포에서 버섯 추출물의 IL-4과 ${\beta}$-hexosaminidase 분비량에 대한 저해활성과 세포생존에 대한 영향이 분석되었다. 실험결과, IL-4 분비에 대해서는 팽이버섯 물추출물 등 5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해서는 영지버섯의 물추출물 등 8개의 버섯 추출물이 20% 이상의 비교적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증식에 대해서는 잎새버섯의 물추출물등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이 우수한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팽이버섯의 물추출물과 상황버섯의 물추출물은 ${\beta}$-hexosaminidase 및 IL-4 분비에 대해 모두 비교적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2, 10, 50 ug/ml에서 실험된 영지버섯, 편각영지버섯, 눈꽃동충하초, 상황버섯 그리고 느타리버섯의 물추출물들은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량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때, 이들 in vitro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버섯 추출물들은 추가실험을 통해 항알레르기 소재로의 활용성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a tetraploid 'etteum' variety in Platycodon grandiflorum on degranulation and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in RBL-2H3 cells)

  • 정재인;김형서;지한결;이현숙;이재용;김은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3호
    • /
    • pp.208-214
    • /
    • 2018
  • 본 연구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으뜸도라지추출물 (50, 100 및 $200{\mu}g/mL$) 처리에 따른 RBL-2H3 비만세포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관찰되지 않았고, ${\beta}$-hexosaminidase assay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재래종도라지추출물과 비교하여 ${\beta}$-hexosaminidase 억제능이 10배 뛰어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으뜸도라지추출물은 RBL-2H3 비만세포에서 탈과립 후 유리되는 대표물질인 IL-4, $TNF-{\alpha}$, $PGE_2$$LTB_4$의 생성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이러한 효과는 재래종도라지와 비교하여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으뜸도라지추출물이 알레르기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제시하며 향후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Platycodin D를 포함하는 도라지 추출물이 IgE/Ag 유도 제 1형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Including Platycodin D in IgE/Ag-Induced Type I Hypersensitivity)

  • 박세진;김종우;박상진;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5-599
    • /
    • 2012
  • 최근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피부염, 알러지성 천식, 알러지성 과민반응 등과 같은 질병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효과적인 치료제나 효율적인 치료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동물모델과 비만세포 탈과립작용에서 Platycodin D가 포함된 도라지 추출물(PG-Platycodin D)의 항알러지 효과를 연구하였다. $In$ $vivo$ 상에서 PG-Platycodin D가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알러지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 살펴보기 위한 아나필락틱 쇼크 평가에서 Platycodin D의 함량이 1%에서 5%까지 증가한 도라지 추출물일수록 $in$ $vivo$ 수준에서의 알러지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매개된 RBL-2H3 비만세포의 탈 과립현상에 대한 PG-Platycodin D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beta}$-hexosaminidase의 방출량 측정에서 Platycodin D의 함량이 1%에서 5%까지 포함된 도라지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beta}$-hexosaminidase의 방출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G-Platycodin D의 처리가 항원-항체 반응에 의해 매개된 RBL-2H3 비만세포 내의 IL-3의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Platycodin D가 포함된 도라지 추출물이 IL-3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탈 과립현상을 억제하여 알러지 작용을 제어하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괴화(槐花) 에탄올 추출물이 RBL-2H3 비만세포에서 Ca++ Ionophore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에 미치는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Flos Sophora japonica L. on Ca++ Ionophore Stimulated Murine RBL-2H3 Cells)

  • 손효;강군;심도완;김태권;강태봉;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9-354
    • /
    • 2014
  • 세포내 $Ca^{{+}{+}}$의 증가는 비만세포에서 수용체 활성을 거치지 않고 탈과립을 유도한다. 괴화는 천연 염색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항염증 작용과 $Fc{\varepsilon}RI$와 IgE 가교에 의한 항알레르기 효능도 보고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비만세포에서 $Ca^{{+}{+}}$ 유입에 의해 생산되는 알레르기 매개물에 대한 괴화 추출물의 조절 기능을 보고한다. 괴화 추출물은 A23187에 의해 유도되는 IL-4와 TNF-${\alpha}$의 생산과 탈과립을 저해하였다. 또한 괴화 추출물은 DNFB로 유도한 알레르기 피부염의 동물 모델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였다. 괴화추출물 50 mg/kg을 경구투여 또는 도말을 한 경우,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IL-4, TNF 그리고 IFN-${\gamm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괴화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혈청 내 IgE의 함량이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감소하였다. 괴화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비장과 림프절의 무게도 DNFB를 단독으로 처리한 군보다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괴화는 비만세포에서 $Fc{\varepsilon}RI$ 자극뿐만 아니라 $Ca^{{+}{+}}$의 유입에 의한 항알레르기 효능이 있다는 것을 보고한다.

교맥의 RBL-2H3 비만세포 탈과립과 cytokine 생산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Fagopyrum esculentum on degranulation and production of cytokine in RBL-2H3 cells)

  • 강경화;이승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2
    • /
    • 2012
  • Objectives : Fagopyrum esculentum(FE) has been used for removal of inflammation of internal organs and treatment of sore and ulcer by heat toxin in Korean herbal medicine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FE on allergic response, we determined whether FE inhibits allergic response. Methods : The effect of FE was analyzed by ELISA, RT-PCR and Western blot in RBL-2H3 cells. We investigated cell viability, ${\beta}$-hexosaminidase, as a marker of degranulation, cytokne, and intracellular ROS and MAPK and NF-${\kappa}B$ signaling. Results : We found that FE suppressed ${\beta}$-hexosaminidase release, the production of IL-4 and TNF-${\alpha}$ and intracellular ROS level in RBL-2H3 by the anti-DNP IgE plus DNP-HSA stimulation. F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cytokine mRNA expressions, such as IL-$1{\beta}$, IL-2, IL-3, IL-4, IL-5, IL-6, IL-13, TNF-${\alpha}$ and GM-CSF in RBL-2H3. In addition, PF suppressed the phospholyation of ERK1/2, JNK1/2, p38 and $I{\kappa}B{\alpha}$ and NF-${\kappa}B$ signal transduction pathway. Conclusions : Our results indicate that FE protects against allergic response and exert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the inhibition of degranulation and production of cytokines and ROS via the suppression MAPK and NF-${\kappa}B$ of signal transduction. Abbrevations : FE, Fagopyrum esculentum; RBL-2H3, rat basophilic leukemia cell line; ROS, reactive oxygen species;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NF{\kappa}B$, nuclear factor ${\kappa}B$;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 alpha; GM-CSF,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ERK,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JNK, c-Jun NH2-terminal kinase; p38, p38 MAP kinase; $I{\kappa}B{\alpha}$, inhibitory-kappa B alpha.

Effects of G-Rh2 on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 via AKT-Nrf2/NF-κB and MAPK-Nrf2/NF-κB pathways

  • Xu, Chang;Li, Liangchang;Wang, Chongyang;Jiang, Jingzhi;Li, Li;Zhu, Lianhua;Jin, Shan;Jin, Zhehu;Lee, Jung Joon;Li, Guanhao;Yan, Guangha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550-560
    • /
    • 2022
  • Background: The effect of ginsenoside Rh2 (G-Rh2) on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 remains unclear. Herei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Rh2 on OVA-induced asthmatic mice and on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 Methods: Asthma model was established for evaluating airway changes and ear allergy. RPMCs and RBL-2H3 were used for in vitro experiments. Calcium uptake, histamine release and degranulation were detected. ELISA and Western blot measured cytokine and protein levels, respectively. Results: G-Rh2 inhibited OVA-induced airway remodeling, the production of TNF-α, IL-4, IL-8, IL-1β and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s of asthmatic mice. G-Rh2 inhibited the activation of Syk and Lyn in lung tissue of OVA-induced asthmatic mice. G-Rh2 inhibited serum IgE production in OVA induced asthmatic mice. Furthermore, G-Rh2 reduced the ear allergy in IgE-sensitized mice. G-Rh2 decreased the ear thickness. In vitro experiments G-Rh2 significantly reduced calcium uptake and inhibited histamine release and degranulation in RPMCs. In addition, G-Rh2 reduced the production of IL-1β, TNF-α, IL-8, and IL-4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Interestingly, G-Rh2 was involved in the FcεRI pathway activation of mast cells and the transduction of the Lyn/Syk signaling pathway. G-Rh2 inhibited PI3K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By blocking the antigen-induced phosphorylation of Lyn, Syk, LAT, PLCγ2, PI3K ERK1/2 and Raf-1 expression, G-Rh2 inhibited the NF-κB, AKT-Nrf2, and p38MAPK-Nrf2 pathways. However, G-Rh2 up-regulated Keap-1 expression. Meanwhile, G-Rh2 reduced the levels of p-AKT, p38MAPK and Nrf2 in RBL-2H3 sensitized IgE cells and inhibited NF-κB signaling pathway activation by activating the AKT-Nrf2 and p38MAPK-Nrf2 pathways. Conclusion: G-Rh2 inhibits mast cell-induced allergic inflammation, which might be mediated by the AKT-Nrf2/NF-kB and p38MAPK-Nrf2/NF-κB signaling pathways.

고장초의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ic Effect of Zizania latifolia Turcz Extracts)

  • 이은정;황은영;황기;이인선;양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7-721
    • /
    • 2009
  • 고장초 메탄올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비만세포주인 RBL-2H3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후 IgE-항체, A23187 및 PMA를 이용하여 세포를 활성화시켜 분비되는 $\beta$-hexosaminidase, TNF-$\alpha$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장초 추출물이 활성화된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beta$-hexosaminidase, TNF-$\alpha$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만세포에 탈과립이 발생할 경우 나타나는 형태학적 변화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검색하기 위해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에 compound 48/80을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 고장초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탈과립이 현저히 억제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고장초 추출물은 다양한 자극으로 인한 비만세포의 탈과립 저해를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결과는 고장초의 항알레르기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고빈도 120 Hz 전침이 Cold-Restraint 스트레스 유발 흰쥐의 위점막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120 Hz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on the Gastric Mucosa in Cold-Restraint Stressed Rats)

  • 조미형;안창범;송춘호;윤현민;김철홍;장경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1권4호
    • /
    • pp.101-115
    • /
    • 2004
  • Objective : The present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120 Hz high frequency electroacupuncture (EA) on the stress-induced stomach dysfunction in relation to its effect on the level of stress hormones and gastric mucosal damages. The gastric mucosal injury was induced by cold-restraint stress and two acupoints corresponding to Zusanli and Sanyinjiao in man were used. Methods : Cold-restraint stress produced typical gastric lesions in all rats of the stressed groups, but the number of ulcers as well as the mean ulcer diameter were reduced by 120 Hz EA pre-treatment. Results : The degranulation value of gastric mast cel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ld-restrained rats than in control ones. However, with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degranulation values of gastric mast cells in EA pre-treated rats compared with cold-restrained rats. Cold-restarint stress induced an elevate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 such as cyclooxygenases-2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but these expression were down-regulated in EA pre-treated rat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while the $inhibitory-{\kappa}B{\alpha}$ and $TNF-{\alpha}$ immunorection in the surface epithelium of the stomach tended to increase, both reactions in the EA pre-treated rats showed similar pattern as observed in contro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0 Hz EA may act as a therapeutical means for gastric mucosal damages through an activation of pituitary adrenal system. It could be concluded that 120 Hz high frequency electroaucupuncture affords a good protective potential against stress-induced gastrointestinal dysfunction.

  • PDF

Anti-Allergic Effect of Oroxylin A from Oroxylum indicum Using in vivo and in vitro Experiments

  • Lee, Ae-Yeon;Kang, Saeromi;Park, Soo-Jin;Huang, Jin;Im, Dong-So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3호
    • /
    • pp.283-290
    • /
    • 2016
  • Oroxylum indicum has long been used in Asian traditional medicine to prevent and treat respiratory diseases, diabetes, diarrhea and other conditions. Oroxylin A is a flavone that is present in Oroxylum indicum and in Scutellaria baicalensis. Because the root extracts of both plants have been shown to have anti-allergic effects,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oroxylin A is likely to have beneficial effects on allergic asthma using female Balb/c mice and rat RBL-2H3 mast cells. Antigen-induced degranulation was measured in vitro by measuring b-hexosaminidase activity. A murine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model was used to test the in vivo efficacy of oroxylin A. Sensitization and challenge of ovalbumin induced allergic asthma responses, the accumulations of eosinophils and Th2 cytokine leve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lung tissues. Oroxylin A administration decreased numbers of inflammatory cells, especially eosinophils, and reduced the expression and secretion of Th2 cytokines, including IL-4 and IL-13, in lung tissues a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Histologic studies showed oroxylin A reduced inflammatory signs and mucin production in lungs.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that oroxylin A has potential use as an anti-allergic therapeutic.

Adenosine과 $N^6-cyclopentyladenosine$이 활성화된 중성호성 백혈구에서 Superoxide 생성, 탈과립과 칼슘동원에 나타내는 영향 (Effects of Adenosine and $N^6-cyclopentyladenosine$ on Superoxide Production, Degranulation and Calcium Mobilization in Activated Neutrophils)

  • 김우정;신용규;한은숙;이정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3-344
    • /
    • 1995
  • fMLP에 의하여 자극된 중성호성 백혈구에서의 superoxide 생성, myeloperoxidase 유리, 칼슘 동원과 백혈구 부착에 나타내는 adenosine과 $N^6-cyclopentyladenosine$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의 효과를 C5a와 PMA의 자극효과에 대하여 그리고 lipopolysaccharide-primed 중성호성 백혈구의 반응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adenosine의 억제작용에 있어 cAMP의 관여 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부터 fMLP에 의해 자극된 중성호성 백혈구에서의 superoxide 생성, 탈과립과 세포내 칼슘 동원과 백혈구 부착은 adenosine 수용체에 의하여 조절된다고 추정된다. Adenosine은 protein kinase C의 활성화에 따른 백혈구 반응의 자극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Nonprimed 세포에 비하여, lipopolysaccharide-primed 중성호성 백혈구에서 fMLP에 의한 superoxide 생성은 adenosine의 영향을 적게 받을 것으로 여겨진다. Adenosine 존재하에서 백혈구 반응에 나타내는 theophylline의 억제효과는 세포내 cAMP 축적에 기인할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