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ision-making skill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4초

가정과 교육과정에 담긴 사회정서학습 요소 및 시사점 (Elements and Implication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 조현섭;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34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으로서 사회정서학습(SEL)에 주목하여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사회정서학습의 의미와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역량,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성취기준에 사회정서학습의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학교 현장에서 따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도입하지 않아도 가정과수업의 명시적 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 핵심역량이 충분히 함양될 수 있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실천을 강조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사회정서학습의 역량들을 학교 밖에서의 실제적 삶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최종목표인 부모와 가정과의 연계를 중시하고 건강하고 안전하며 정의로운 커뮤니티 형성은 가정과교육의 목표와 유사성이 높으므로 가정과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Key Themes for Multi-Stage Business Analytics Adoption in Organizations

  • Amit Kumar;Bala Krishnamoorthy;Divakar B Kamat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2호
    • /
    • pp.397-419
    • /
    • 2020
  • Business analytics is a management tool for achieving significant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s. Many organizations fail to or only partially achieve their business objectives and goals from business analytics. Business analytics adoption is a multi-stage complex activity consisting of evaluation, adoption, and assimilation stages. Several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the field of business analytics, but the research on multi-stage BA adoption is fewer in numb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cant literature on the multi-stage adoption model by identifying the critical themes for evaluation, adoption, and assimilation stages of business analytics. This study uses the thematic content analysis of peer-reviewed published academic papers as a research technique to explore the key themes of business analytics adoption. This study links the critical themes with the popular theoretical foundations: Resource-Based View (RBV), Dynamic Capabilities, Diffusion of Innovations, and Technology-Organizational-Environmental (TOE) framework. The study identifies twelve major factors categorized into three key theme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main organizational factors are top management support, organization data environment, centralized analytics structure, perceived cost, employee skills, and data-based decision making culture. The major innovation characteristics are perceived benefits, complexity, and compatibilit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sets.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BA adoption stages are competition and industry pressur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multi-stage BA adoption model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assist the practicing managers in developing a stage-wise operational strategy for business analytics adoption. Future research can also attempt to validate the conceptu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중등교사들의 환경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전문성 분석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eaching Environmental Subjects)

  • Son, Yeon-A;Myeong, Soo-Jeong;Choi, Don-Hyung;Min, Byeong-Mee;Kim, Kyoung-Ran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2권2호
    • /
    • pp.43-5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환경 관련 수업 전문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서울과 경기도의 중등교사 431명을 대상으로 환경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자기평가도구로는 Hungerford 등(1994)이 개발한 '환경교육자가 갖추어야할 능력 범주 기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를 실시한 중등교사들 중에서 2명의 교사가 진행하는 환경 관련 수업을 실제 참관하여 비디오녹화 분석하였고, 수업교사들과의 면담도 실시하였다. 환경 관련 수업 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 결과, '생태학적 기초' 영역이 평균 2.80, 개념적 인식 영역이 평균 2.86, 조사와 평가 영역이 평균 2.83, 환경적 행위기능 영역이 평균 2.94, 교육적 적용 영역이 평균 2.84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수업을 분석한 결과, 환경관련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은 현대 환경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생태학적 지식을 교수학습에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측면', '환경적 의사결정을 위해 개인적 가치를 명료화하는 측면', '환경쟁점과 해결책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을 평가하는 측면', '환경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시민적 행위기능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환경관련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위한 환경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 제안 (Proposal of Big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echnique Curriculum for Non-Technical Majors in Business Management Analysis)

  • 홍필태;우종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39
    • /
    • 2020
  • 빅데이터 분석은 경영 및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분석되고 사용되고 있으며, 경영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빅데이터 분석 직무자의 직무능력은 반드시 미시적인 IT 기술 습득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Data Scientist로서 다양한 경험과 인문학적 지식과 분석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하는 국공립 교육기관 및 직무교육기관의 빅데이터 교육은 소프트웨어 공학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방법론은 비 기술기반 전공자에게는 어렵고,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의 빅데이터 플렛폼과 그와 관련된 기술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현장 직무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직무능력 요구수준이 무엇인지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특화된 본 교육과정을 경영현장에서 경영분석에 종사하는 금융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Pilot test를 실시한 결과 좀 더 개선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교육방법은 산업전반에서 효율적으로 빅데이터 직무 수행과, 비 기술기반 전공 직무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교육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학 산림교육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법(e-PBL) 적용 사례와 학습성과 (An Application and Educational Outcomes of e-PBL (e-Project-based Learning) to University Forest Education)

  • 이송희;이재은;강호덕;윤태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66-279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 산림교육 발전을 목적으로 S 대학교 산림과학과 4학년 "도시림관리학 및 실습" 전공과목에 e-PBL (e-Project-based learning) 학습법을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학사 운영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온라인 매체를 주로 활용하여 학교숲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결과물을 발표하였다. 학습자 중심의 e-PBL 학습법은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주제를 직접 선정하고 수행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능력과 의사소통능력 및 책임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학습자들의 e-PBL 학습성과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e-PBL 학습법을 통해 동기부여 및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으며(4.17점),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다(4.17점). 또한, 학습자들은 의사소통능력(4.33점), 문제해결능력(4.25점), 의사결정능력(4.21점)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응답하는 등 전반적으로 e-PBL 학습법에 대해 만족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은 팀원들과 밀접한 의사소통과 상호협력이 문제 및 전공지식에 대한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향후 산림교육에 적합한 e-PBL 학습모델을 개발이 필요하며, 효율적 수업시간의 운영과 e-PBL 학습법 지침 및 제도적 지원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산림교육의 발전을 기대한다.

초등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이론적 토대 연구 (A theoretical foundation study for the promotion of a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of children)

  • 이인재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7-40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의 통합적 방안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세우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초등교육의 핵심 목표 중의 하나인 초등학생들의 "바르고 선한 인성(character)"을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것인가?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 사회 정서적 학습(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이하 SEL로 약칭) 이론에 근거하여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고, 인성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사회 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초등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에서는 정서 지능이 무엇이며, 정서 지능과 관련된 여러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았다. 왜냐하면 본 연구가 기반으로 삼고 있는 사회 정서적 학습은 바로 정서 지능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이어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비롯되는 사회적이고 정서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조직하며 표현하는 능력으로서 사회 정서적 능력의 주요 구성 요소인 자기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대인관계 기술, 책임있는 의사결정에 대해 살펴보았고, 미국에서 SEL 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사회 정서적 학습과 정서 능력 혹은 정서 지능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SEL과 인성교육은 어떤 관계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SEL 프로그램의 활용에 있어 인성교육이 주는 시사점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SEL 프로그램을 우리의 초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인성교육의 프로그램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일반적 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이 기업의 혁신성과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es of SMEs CEO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 권민희;이상복;유연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13-126
    • /
    • 2022
  • 경영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기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의 경영에 최고경영자의 역할이 막중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경영성과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한편 컨설턴트란 기업과 조직이 당면한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유도하여 경영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로 정의된다. 컨설턴트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경영적 전문 지식,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통찰력, 리더십 등은 컨설턴트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특정 기간 동안의 계약 유무를 제외하면 최고경영자가 기업의 경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최고경영자의 컨설턴트 역량으로서 4가지 변수인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으로 구분, 해당 변수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제조 및 서비스업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고경영자의 직무역량, 커뮤니케이션 역량, 학습역량, 혁신역량은 각각 기업의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혁신성과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역량을 컨설턴트 역량과의 공통적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성과를 향상할 때 필요한 최고경영자의 역량 특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성 행태와 성 경험 (Sexual Behaviors and Sexual Experience of Adolescents in Korea)

  • 이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1-8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성 행태와 성 경험을 파악하고,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규명하여 향후 성 건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12년 제8차 청소년 온라인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중 고등학생 74,186명이며, 기술통계, $X^2-test$,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관계를 경험한 학생은 중 고등학교 청소년 중 4.3%였으며, 이중 남학생은 5.9%, 여학생은 2.6%로 남학생들의 성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성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남학생이 학교급, 아버지 학력, 사회경제적 상태, 아르바이트경험, 학교 성교육경험, 거주형태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여학생은 학교급, 학교유형(공학여부), 사회경제적 상태, 아르바이트 경험, 학교성교육경험, 거주형태가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남녀모두에서 성 경험에 승산비가 가장 컸던 변수는 아르바이트 경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른들에 의한 물리적 성폭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거절기술이나 의사소통기술과 같은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학교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남녀 청소년들이 학교 성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에 비해 성관계 경험이 유의하게 적었던 만큼 학교에서의 성교육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경험이 중 어른이나 혹은 물리적 힘에 의한 성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는 지에 대한 지표를 청소년 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거절기술이나 의사결정 기술 등 생활기술을 반영한 학교성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발(毛髮) 염색(染色)에 관(關)한 실태(實態) 조사(調査) - 창원시(昌原市) 여성(女性)을 중심(中心)으로 -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Hair Coloring - Focusing on the Women in Changwon City -)

  • 최수정;박혜원;조오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1호
    • /
    • pp.116-134
    • /
    • 2003
  • The beauty industry of today tends to gradually develope as one of the important marketing strategies along with the total fashion sector. Hair color, being one of the factors of hair style, especially builds his or her own image and even becomes the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which let others know him/herself. Therefore, women's needs and expectations of hair coloring are varied. To meet these need, it is urgent to figure out, most of all, the status of customers' awareness about hair coloring. Thus, in this study, research and analysis on hair coloring were made, focusing on the women utilizing 20 beauty shops in Changwon city. And the goal that this study set is to use as the study material for the hair coloring consulting in the beauty industry and the basic data for marketing in the industry job-sites. The conclusion by the three factors(age, job, monthly income) were as follows: 1. Dandyism was on the 1st order in the reason for coloring hair regardless of age, job, and monthly income. This seems to be speaking for the change of women's awareness of coloring hair. 2. The subject of making decision upon whether she was going to color her hair or not was herself regardless of age, job, and monthly income. Among the people belong to these three factors, brown was the color in overall preference. 3. More than half of those who belong to the three factors were not aware of the hair color, but their senses and interest in the color in vogue were high. 4. In terms of the hair coloring periodic time, many people had $2{\sim}3$months, but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ir images, considering the fact that most of the salaried people had their hair dyed within a month and the people in service job over a month. 5. The acquaintance around me had the strongest effect in collecting information from the people in those three factors and mass media was the n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my opinion, would help the customers have beautiful and healthy hair and make images of their own by making the hair designers develope professional knowledges and skills on the hair coloring and improve the quality of beauty services.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와 관련 요인 (Teacher's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on the Purpose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 임언;이수정;윤형한;정혜령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2호
    • /
    • pp.1-22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 직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상호 대비되는 입장들을 제시했을 때, 이상적인 고교직업교육의 방향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었다. 전국의 25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1253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서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하여 신직업주의와 직업주의, 인문주의라는 축을 확인하고, 직업주의적 인식 척도를 구성했다.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직업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직업주의적으로 고교 직업교육의 목적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범용성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는 세분화된 특정 분야의 구체적인 기술 습득이 중요하며,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대처 능력보다 졸업 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술 습득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보다 산업 및 기업체의 요구에 따라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 선택의 폭을 가능한 한 넓힐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보다는 졸업 후 바로 취업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직업주의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전문교과 교사가 보통교과 교사보다 더 직업주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특성 요인들(성별, 연령, 학력, 지위)을 함께 고려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성별과 교과(전문교과 vs 보통교과)가 직업주의적인 인식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지나치게 직업주의로 치우친 교육의 한계와 고교직업교육의 목적과 방향의 빈번한 변화가 가져올 위험을 고려할 때,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