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Perception and Related Factors on the Purpose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고교 직업교육 목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와 관련 요인

  • Received : 2017.04.03
  • Accepted : 2017.04.27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direction of the ideal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when suggesting mutual contrast positions on the desirable direction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1253 teachers from 25 specialization high schoo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we confirmed the axis of new vocationalism, vocationalism, and humanism on the purpose of vocational education.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bout the purpose of vocational education, they tended to recognize the purpose of high vocational education toward vocationalism. In other words, rather than acquiring transferable skills, it is important to acquire concrete skills in specific areas, and it is more important to acquire specific skills that can be utilized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coping with the changing job world. Teachers also recognize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organize the content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industries and companies than to construct education contents for student 's holistic development. There was also a tendency for teachers to recognize that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m for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rather than preparing them for as wide a career choice as possible.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male teacher to perceive the purpose of vocational education more pro vocationalism than the female teacher. In addition,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recognized more pro vocationalism than general subject teacher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and subject(professional subject vs. general subject) were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vocationalism. And suggested that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e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 when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overly vocationally oriented education and the risks of frequent changes i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 직업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상호 대비되는 입장들을 제시했을 때, 이상적인 고교직업교육의 방향을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었다. 전국의 25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1253명이 조사에 참여했다.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서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하여 신직업주의와 직업주의, 인문주의라는 축을 확인하고, 직업주의적 인식 척도를 구성했다. 직업교육의 목적에 대한 직업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직업주의적으로 고교 직업교육의 목적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범용성 있는 기술을 습득하는 것보다는 세분화된 특정 분야의 구체적인 기술 습득이 중요하며, 변화하는 직업세계에 대한 대처 능력보다 졸업 후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기술 습득이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학생의 전인적인 발달을 위해서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보다 산업 및 기업체의 요구에 따라 교육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 선택의 폭을 가능한 한 넓힐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보다는 졸업 후 바로 취업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교사들이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직업주의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전문교과 교사가 보통교과 교사보다 더 직업주의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특성 요인들(성별, 연령, 학력, 지위)을 함께 고려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성별과 교과(전문교과 vs 보통교과)가 직업주의적인 인식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지나치게 직업주의로 치우친 교육의 한계와 고교직업교육의 목적과 방향의 빈번한 변화가 가져올 위험을 고려할 때, 정책 결정 과정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