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s after heading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4초

Assessment of Critical Temperatur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arly Transplanted Temperate Rice

  • Wbonho Yang;Shingu Kang;Dae-Woo Lee;Jong-Seo Cho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171
    • /
    • 2022
  •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of 10 days from transplanting (10 DFT)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rice plants was investigated by transplanting semi-adult seedlings six times from 5 April to 15 May at 10-day interval in the field conditions of 2020 and 2021, with aims to investigate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early transplanting of temperate rice. In the two experimental years, mean temperature for 10 DFT appeared 9.1, 10.5, 11.6, 13.8, 13.9, 16.2, 16.4, 16.7, 17.1, 17.8℃ depending on the transplanting date. Mean temperature of 9.1℃ and 10.5℃ for 10 DFT appeared in the April 5 and April 15 transplants in 2020 showed negative or no effect on the increase of rice growth and acceleration of heading date when compared to those of right after transplanting treatments in the same year. Mean temperature of 11.6℃ for 10 DFT appeared in the April 5 transplant in 2021 demonstrated greater biomass from early to heading stage but the same heading date compared to April 15 transplant, indicating that 11.6℃ for 10 DFT had a positive effect on rice growth but no effect on advanced heading. Both more biomass and advanced heading stage were observed when the mean temperature for 10 DFT was 13.8℃ or higher, compared to those of right after transplanting treatm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ffective 10-DFT mean temperature for rice growth exists between 10.5 and 11.6℃, and that for rice development in terms of heading stage lies between 11.6 and 13.8℃ in natural condition. Further field and indoor studies are suggested to narrow down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early transplanting of temperate rice, which will enable to maximize the crop period in high altitude regions with low temperature.

  • PDF

출수기 차광이 벼 수량 관련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at Heading Stage on Yield Components in Rice)

  • 김기식;김승경;허범량;윤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7-133
    • /
    • 1991
  • 출수기 전후 일조조건이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벼의 생식생장기인 감수분열기부터 출수후 20일까지 3개 품종군별로 자연광 차광 50%와 75%의 3수준으로 차광처리를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도 및 광도는 차광정도가 클수록 낮아졌고 일중변화는 오후 1시>오후 4시>오전 10시 순 이었다. 2. 출수기는 대체로 2~3일 정도 지연되었으나 상풍벼와 봉광벼는 차광을 하여도 자연광과 차이가 없고 성숙일수는 대체로 전 공시품종에서 8~12일 정도 지연되었다 3. 간장 및 추출도는 품종간에 관계없이 차광 정도가 클수록 간장은 길어지고 추출도는 짧아졌으며 특히 차광 75%에서는 그 정도가 심하였다. 4. 지경퇴화는 일차지경보다 이차지경에서 차광정도가 클수록 퇴화율이 켰다 5. 영화퇴화도 지경퇴화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조생종군에서 심한 퇴화율을 보였다 6. 영화수는 차광을 했을때 수당 12~15입이 줄었으며 현미 천입중도 차광처리했을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중에서 소백벼 여명벼 등은 그 폭이 컸다. 7. 차광정도에 따라 불임율은 높았고 등숙율은 감소 경향이 있다. 8. 수량은 차광 50%에서 30~40% 감소하였으며 75% 차광에서는 50%정도 감소하였다.

  • PDF

Evaluating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variations of 'Saemimyeon' by changing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time

  • Bae, Hyun Kyung;Oh, Seong Hwan;Yi, Hwi Jong;Seo, Jong Ho;Hwang, Chung Dong;Choi, Won Yeung;Kim, Sang Yeol;Oh, Myung Kyu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00-300
    • /
    • 2017
  • 'Saemimyeon' a Tongil-type rice variety (Indica ${\times}$ Japonica), which contains high amylose contents is suitable for rice noodle production. Nowadays, the major parts of rice processing industry that includes products like rice flour and noodles are expected to partially replace wheat flour market. The volume of rice noodle market is getting bigger and can contribute to the rice surplus and farmer's inco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mote productivity and flour-making quality of 'Saemimyeon' by finding the most suitable transplanting and harvesting times. The transplanting days used were May $10^{th}$, May $17^{th}$, May $24^{th}$, May $31^{th}$, June $7^{th}$ and June $14^{th}$ and the planting distance used was 30 x 12cm. In addition, harvesting time was determined by days after heading time (40, 45, 50, 55 and 60 days). The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ield in Miryang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from 2015 to 2016.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transplanting days were from May $24^{th}$ to May $31^{th}$ which resulted to an average yield of 748~751kg/10a. Interestingly, yield was sharply decreased below 700kg/10a before May $10^{th}$ and after June $7^{th}$. The average grain filling rate before May $31^{th}$ was more than 83% but it declined to 75% after June $7^{th}$. The average temperature ranges from heading time to harvesting time was $ 21\sim25^{\circ}C$ and the estimated optimal temperature was $23.4^{\circ}C$ which is similar to May $24^{th}$ by regression equation. We found that the optimal harvest time was 45~50 days after heading time. It is hypothesized that low temperature at seed maturation time caused the lower grain filling rate therefore 'Saemimyeon' need to be transplanted before May $31^{th}$ for higher productivity. We found no statistical variation in amylose contents among experimental plots (28.2~30.4%). We conclude that the productivity of 'Saemimyeon' highly depends on temperature that is critical for grain filling stage controlled by transplanting time.

  • PDF

녹색밀 생산을 위한 수확시기 및 품종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Wheat Cultivars Used for Whole Green Wheat Grain Production)

  • 최규환;장영직;송영은;서상영;강찬호;유영진;이기권;송영주;김정곤;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57-263
    • /
    • 2016
  • 기능성 식품소재로 관심이 높아지는 녹색밀의 안정적인 생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출수 후 20일부터 3일간격으로 41일째까지의 알곡 녹색도와 수량을 조사하였고, 적중밀 등 20품종의 녹색밀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 후 20일에는 녹색이 가장 진하였으나 알곡이 주름이 많은 장타원형이었고, 35일 이후에는 대부분의 알곡이 황색으로 변하면서 비대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적색도(a값)는 출수 후 20일째부터 41일째까지 증가하였고, 32일째까지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엽록소의 함량도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녹색밀의 적정한 수확시기는 녹색 및 녹황색을 띠는 알곡이 가장 많았던 출수 후 32일~35일이 녹색밀 수확에 가장 적합한 시기로 판단된다. 2. 출수기는 조품밀, 적중밀, 조경밀, 금강밀, 백중밀, 조은밀이 가장 빨랐고, 반면에 연백밀, 은파밀, 올밀, 신미찰밀, 우리밀, 신미찰1호, 그루밀, 알찬밀, 다홍밀 등이 늦게 출수하여 품종간에 7일의 조만성을 보였다. 3. 품종에 따른 녹색도는 적중밀, 금강밀, 조경밀, 조품밀, 백중밀 등이 높았고, 녹색밀의 수량은 녹황색립의 비율이 높았던 알찬밀, 백중밀, 은파밀, 연백밀, 다홍밀, 우리밀 등이 높았다.

수도(水稻) 가리시비(加里施肥) 효율향상(効率向上)을 위(爲)한 추비방법(追肥方法) (Topdressing method of Potassium for the better efficiency in rice)

  • 오왕근;유인수;박훈;김우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99-217
    • /
    • 1975
  • For the establishment of efficient method of potassium topdressing on rice the optimum time and amount we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available data from nutriophysiological studies,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trials in fields. The followings were pointed out. 1. According to yield rice plants require more potassium around heading under water culture. 2. Potassium involves in harvest index, filled grain ratio, grain weight and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3. Potassium is lost after heading in most fields in spite of highest requirement during this period. 4. The higher $K_2O/N$ ratio in straw at harvest is, the higher the yield. 5. Relatively low efficiency of potassium fertilizer under the field condition may be due to improper application method rather than natural supply from soil and irrigation water. 6. Appropriate topdressing time appears at in effective tillering stage for the prevention of nitrogen excess and at 15 to 20 days after transplanting, ear formation stage and 5 days after heading for the prevention of soil reduction damage. Two times of topdressing for clayey soil and three times for sandy soil seems reasonable in practice together with nitrogen topdressing, 7. The reasonable ratio basal to topdressing of potassium fertlizer seems to be 2/3 and $N/K_2O$ ratio of fertilization for ear formation stage appeared also as 2/3.

  • PDF

답리작에서 쌀보리 "백동"의 종실발육특성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Grain Development Process for Baegdong in Double Cropping Paddy)

  • 박문수;이강세;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96
    • /
    • 1986
  • 답리작 맥류의 안전 재배법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고져 '79년과 '80년에 호남작물시험장 맥류 시험포에서 백동을 10월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회 파종하여 입의 발육특성을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은 출수후 33일에 5.92mm, 입폭은 42일에 3.46mm, 입후는 45일에 2.58mm에 달하여 완전히 발육되었으며 이 시기보다 입장은 11일, 입폭은 7일 입후는 5일 정도 조기수확해도 유의감소하지 않았다. 2. 생리적 성숙기는 출수후 40∼46일로서 전작상태보다 10일이상 늦었다. 이때의 입중 수분함량은 28∼31%로 낮은 편이었으며, 파종기의 조만에 따른 차이는 아주 근소하였다. 3. 실용적 성숙기는 출수후 33∼39일로서 생리적 성숙기보다 7∼8일 빨리 오고 있으므로 생리적인 성숙기보다 1주일 정도 앞당겨 수확 할 수 있다고 추찰되었다. 4. 입중이 급신장하는 시기는 만파구가 조파구보다 2∼10일 정도 늦으나 소요기간은 약 7일 이 단축되었다. 완만기와 안정기는 각 9∼10일 이 소요되어 파종기의 조만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다.

  • PDF

맥주맥(麥酒麥)의 수확시기(收穫時期)가 원맥품질(原麥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Quality of Malting Barley)

  • 장현세;박무언;정태영;손태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69-173
    • /
    • 1984
  • 맥주맥(麥酒麥)의 등숙정도(登熟程度)에 따른 중요(重要)한 품질변화(品質變化)를 조사(調査)하여 수확적기(收穫適期)을 구명(究明)하고자 삼품종(三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출수기(出穗期) 30일부터 5일 간격(間隔)으로 50일까지 수확(收穫)한 원맥(原麥)의 품질(品質)들을 분석(分析) 비교(比較) 검토(檢討) 하였다. 전분(澱粉), 천립중(千粒重), ${\beta}-glucan$ 및 점도등(粘度等)은 출수기후(出穗期後) 45일까지는 현저한 증가(增加)가 있었으나 45일 이후(以後)는 천립중(千粒重)과 전분등(澱粉等)은 증가(增加)되지 않고 ${\beta}-glucan$ 및 점도등(粘度等)은 크게 감소(減少)되었으며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Poly Phenolics 및 ${\alpha}-amylase$ activity등(等)은 수확시기(收穫時期)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나 출수기(出穗期) 45일 이후(以後)의 수확시기(收穫時期)에서는 유의성(有意性) 있는 증가(增加) 또는 감소(減少)가 없는 최소치(最少値)가 되었고 발아세(發芽勢), 발아율(發芽率)및 수감수성등(水減受性等)은 등숙초기(登熟初期)의 현저한 향상(向上)으로 출수기후(出穗期後) 40일이면 제맥(製麥)에 영향(影響)을 주지않을 정도(程度)로 양호(良好)하였으나 수감수성(水感受性) 정도(程度)는 전수확시기간(全收穫時期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차이(有意差異)가 있고 오히려 늦은 수확시기(收穫時期)에서는 품질(品質)이 불량(不良)해 지는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완전입율(完全粒率)은 늦은 수확시기(收穫時期)까지도 향상(向上)되어 수량(收量)에 다소간(多少間) 기여될것으로 생각되나 천립량(千粒量)과 전분함량(澱粉含量)이 최대(最大)가 되는 동시(同時)에 양적(量的) 제한품질(制限品質)들은 최소(最少)가 되며 완전립(完全粒)과 불완전립(不完全粒) 비율(比率)이 93:7정도(程度)가 되는 출수기후(出穗期後) 45일이 수확적기(收穫適期)로 판단(判斷)되었고 조기수확(早期收穫) 한계기(限界期)는 천립중(千粒重)이 35gr. 정도(程度)가 되는 40일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

조.만생 사초용 호밀의 파종 및 수확시기에 관한 연구 II. 파종 및 수확시기별 수량 및 사료가치 ( Studies on the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of Early and Late Maturing Varieties of Forage Rye II. Yield and nutritive value influenced by seeding and harvesting

  • 권찬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16-323
    • /
    • 1994
  • In order to reduce the problems from the presence of rye crop residues in maize establishment and yield, and also to improve the growth,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rye(Seca1e cereal L.). an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determine the variety effect of rye on the forage production system and the eft'ect of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on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ry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testing field of S.N.U., Suweon, from September 1986 to May 1989. Heading date of an early maturing rye variety, Wintermore. was earlier 10 days than that of a late maturing rye variety, Kodiak. A 15-days delay in the seeding dates of early and late maturing varieties of rye tended to delay the heading dates of the rye varieties for 3 and 4 days, respectively. Dry matter and in vitro digestible dry matter yields were markedly increased with earlier seeding date. Before 20 April, the DM and IVDDM yeilds of an early maturing rye variety, Winterrnore. were higher than those of a late maturing rye variety, Kodiak. However, no such a trend was found between the early and late maturing varieties of rye after 27 April. Less than 35% of ADF was recorded until the harvesting dates of 13 and 27 p r i l for early and late maturing rye varieties, respectively, but less than 46% of NDF was maintained until the harvesting drtte of 13 April for botg varieti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most desirable forage production from corn-rye double cropping system is to advance the seeding time of rye toward the first 10 days of September as well as harvesting time toward the first heading stage with an early maturing rye variety.

  • PDF

남부지방에 있어서 수도수량구성요소 및 수량해석I. 재배시기에 따른 주요형질 및 수량의 변이 (Analytical Studies o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in South Region of Korea I. Variation in the Rice Yield Component and Yield under the Different Transplanting Dates.)

  • 김용재;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17
    • /
    • 1984
  • 남부 다모작지대의 도작 증수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이앙시기를 5월 20일부터 7월 5일까지 15일 간격, 4시기로 하여 수량 형질 및 수량변이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수의 변이는 서광벼에서는 5월 20일 이앙구의 16.2매에 대하여 만식한 7월 5일 이앙구는 15.1매로 1.1매가 적었고 동진벼는 5월 20일 이앙구 14.8매에 대하여 7월 5일 이앙구는 13.1매로 1.7매가 적었다. 2. 지엽단축률은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었다. 3. 작기 이동에 따른 출수일수의 변이는 서광벼는 5월 20일 이앙에서 약 75 일, 6월 5일은 68일, 6월 20일은 67일 정도이었으나, 7월 5일은 71일이 소요되었다. 4. 재배시기에 따른 최대수량은 서광벼는 5월 20일, 동진벼는 6월 20일 이앙이었고 수량생산기의 적산온도와의 관계는 서광벼는 1017$\pm$24$^{\circ}C$에서, 동진벼는 952$\pm$15$^{\circ}C$에서 600kg/10a 이상의 고위수량을 보였다. 5. 단위면적당 수수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는 부의 유의 상관관계(서광벼 r=-0.6768**, 동진벼 r=-0.5182**)가 인정되었다. 6. 작기 이동에 따른 1수 영화수는 서광벼는 작기가 늦어짐에 따라 많아졌고 동진벼는 작기가 빠르거나 늦은 경우 감소경향을 보였다.

  • PDF

벼 재배시 녹비작물 혼입에 따른 지력개선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Incorpor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Soil Fertility Improvement in Paddy Field)

  • 양창휴;유진희;김택겸;이상복;김재덕;백남현;김선;최원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71-378
    • /
    • 2009
  • 본 시험은 벼 재배시 녹비작물로 녹비용 보리의 투입효과를 구명하여 호밀 대체 가능성을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호밀은 출수기, 녹비용 보리는 출수기, 출수 후 3일 및 출수 후 10일에 경운로타리 작업을 하고 담수시켜 부숙을 촉진한 다음 녹비작물 무시용구는 표준시비, 녹비작물 시용구는 토양검정시비 및 무시비 하여 동진 1호를 재배 후 토양물리화학성, 녹비작물 부숙정도,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 투입시기별 생체중은 각각 10a당 2,715, 2,352, 2,867 kg이였고 건물중에 있어서 총질소 함량은 1.31, 1.46, 1.38%이었으며 탄질률은 33.4, 28.7, 34.6이였다. 녹비작물 투입으로 작토심이 깊어졌고 토양경도와 용적밀도가 낮아졌으며 공극률이 증가하여 물리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시험 전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환원으로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아졌으며 치환성 양이온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쌀 수량은 관행($559kg\;10a^{-1}$)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토양검정진단시비구에서 3~9% 증수되었으며, 현미 외관품위 중 완전립비율은 관행(73.0%)에 비하여 녹비용 보리 투입시 73.6~78.7%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녹비용 보리를 출수 후 10일경 투입하여 벼 재배시 질소비료 절감과 지력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