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ycare center's teacher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18초

중년 여성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A Study on the Middle Age Women's Needs of Educare Services)

  • 안지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middle age women's needs of the educare services. Furthermore this study was done to serve as the basic data for guidance and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educare services. For these purpos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re from to 305 middle age women living in T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chi square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Most subjects of present study needs for the daycare center. Furthermo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ycare management, caring agent, day care cost according to the school career. 2. They wantd nere home daycare center and part time daycare cent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enviroment of daycare center according to the school career.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1)the standards of selection for teacher 2)teacher's educational level, 3)teacher's ag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they wanted 'low school career but caring experiences' daycare teacher.

  • PDF

부모들의 보육시설 이용기대와 만족도에 대한 부모-교사간의 지각차이 (Parent-teach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arental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n the use of child care service)

  • 이주연;이사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05-91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parents really want to daycare center and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daycare service they use. This study also explored how exactly daycare teachers recognize the parental needs and satisfaction on daycare service. One hundred and seventy on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 to a daycare center in Seoul, and one hundred and thirty five teachers from the same day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needs and expectation on daycare servi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daycare center (including educational facilities, teacher's role, specific programs, etc.). Teachers provided answers about their understanding on what the parents want and how much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daycare center. Results revealed that par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daycare service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facilities and teachers' role conducting. However, some parent-teach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perception on the levels and domains of parental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with daycare service. The parent-teacher differences would give very practical tips for teachers, who plan and conduct everyday daycare programs and actually interact with children in the setting for better daycare service.

  • PDF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이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369-376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보육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 감성리더십이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Sobel-test 및 Baron과 Kenny의 모형에 따라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교사-영유아 상호 작용, 원장 감성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원장 감성리더십의 상대적 설명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원장의 감성리더십 보다 상대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부분적으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어린이집 원장의 초임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인식과 선발과정에 관한 연구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and Selection Process on the Recruitment of Beginning Teacher)

  • 오새니;이상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aycare-center director's perceptons of recruitment and to understand how hire beginning teacher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directors of daycare-center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answered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rough SPSS 18.0. Furthermore, 17 of the director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given individual interviews by qualitative methods for research. Results: First, 56.8% of the directors felt difficulty to employ beginning teacher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m' and 'uncertainty of practice capability.' On the other hand, other directors of daycare-centers said that they hire them for 'high accept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of the daycare-center.' Second, the main way to recruit teachers for daycare-centers is open recruitment, and through recommendations of acquaintances or through colleges in relevant fields. Professional tal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important selection criteria for recruitment, and daycare-center directors used interviews, résumés, cover-letters, and demo classes for the hiring process. Primarily, most directors select candidates through résumés and cover-letters, and the final selection is completed by conducting interviews. Conclusion/Implic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ful to prepare beginning teachers for employment and for educating applicants.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조직충성행동과 업무만족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in Day Care Center)

  • 오경숙;조진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05-51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and working satisfaction of 162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Gyung-gi province. Three questionnaires abou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llen and Mayer(1990) developed and Son Sobin(2002) revised,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which Jo Bumsang(2004) revised, and working satisfaction which Kim Sunja(2005) developed, and the researcher revised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 Seco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loyalty was also aver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ge and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satisfaction was below average leve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working hours. La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loyalty behavior, and working satisfaction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government and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s should support for the teach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becaus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is highly related to successful organization of daycare centers.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 인식과 개선방안에 대한 포커스 집단 연구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Male Teacher's Employment)

  • 임명희;김성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23-1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에 관한 인식과 개선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현장에서 남자교사를 채용하였거나 실습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원장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포커스 집단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고 매회 2시간~2시간 30분 정도, 총 4회의 면담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남자교사 채용에 관한 인식은 (1) 다가올 어려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2) 보육현장 조직문화에서의 남자교사의 명과 암 등의 2가지 주제와 6개의 하위주제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가올 어려움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주제에서는 '행정적인 불이익', '성과 관련된 사회적 분위기', '역할 수행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하위주제를 도출하고, 보육현장에서의 남자교사의 명과 암 주제에서는 '여성중심의 조직 문화와 적응', '보육현장의 비전', '보육현장에서의 남자교사의 역할' 등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보육현장에서 남자교사의 채용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해서는 보육현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남자교사의 길의 주제가 도출되었는데, 이 주제에서는 '영유아 보육 경험 및 실습 기회 확대', '남자가 아닌 개인의 문제라는 인식으로의 전환', '남자로서의 장점 극대화', '시스템의 변화' 등의 4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무엇보다도 남자교사 채용을 위해서는 보육현장에서 교사 성불균형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운영주체 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 Daycare Center Teacher's Communications Skills on Group Cohesiveness, Empathy, and Communications Satisfaction : Centered on Difference between Daycare Centers)

  • 이상훈;류춘렬;김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7-231
    • /
    • 2021
  • 이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 공감능력과 소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198명의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소통능력, 집단응집력, 공감능력 및 소통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린이집 운영 주체에 따라 국공립, 민간, 가정 등 3개 집단으로 조사 대상의 소속을 구분하였다. 연구조사 결과, 첫째, 국공립, 민간, 가정 등 세 집단 모두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은 집단응집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어서 조직의 목표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국공립, 민간, 가정 등 모든 집단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역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소통능력이 높으면 영·유아와 학부모, 그리고 타 교직원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능력도 높을 것이다. 셋째, 조사한 세 집단 모두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소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소통능력이 높을 때 소통의 대상자인 영·유아, 학부모, 타 교직원들이 보육교사와의 소통에 만족하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보육교사의 교사권리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Analysis of Concept Mapping ab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Rights by Childcare Teachers)

  • 장경화;임선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70
    • /
    • 2022
  • Objective: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problems and demands about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in order to identify the concepts of teacher righ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concept mapping method to identify the concepts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rights and interpreted these concepts utilizing the multi-dimension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interviews from eight childcare teachers, 37 statements were derived. The result of similarities evaluated by 28 childcare teachers showed that 37 statements about teachers' rights consisted of two dimensions and four clusters (direct-indirect and indoor-outdoor of day-care center).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direct and indirec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and that change is necessary not only within daycare centers such as the principal but that change is also necessary outside daycare centers such as at government agencies in relation to daycare teachers's rights.

어린이집에서의 만5세 유아의 일과 분석 (A Qualitative Study of Five-Year-Old Children's Daily Activities at the Daycare Center)

  • 서영희;임재택;김은주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23-239
    • /
    • 2009
  • In order toidentify the daily activities of five-year-old children in a daycare center, the 23 children in "Yellow" class at "Yellow" Daycare Center were observed for seven months. Research was informed by a qualitative approach. Findings were that : children were rigidly attached to a time frame built into their daily classroom schedule, arranged by time and classroom space allotted to each unit. The meaning to the children was to be found in their "busyness;" they were very busy finalizing activities imposed by teachers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y spent most of their time moving about from one space to another within the classroom, and they played with their mostly artificial toys under rules set by the teacher.

  • PDF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 정효진;최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3
    • /
    • 2019
  •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