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 Chung, Hyo J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 Choi, Hyun Su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정효진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최현숙 (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09.15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a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Methods: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four mothers who live in Seoul, South Korea and whose first child enters in daycare center at 18 or 20 months.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applied to group interview and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method. Results: After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first, they decided to enroll their child to a daycare center after two mothers were pregnant with the second child or the others received a phone call for admission. The first impression of the teach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oice of admission when mother first visited the daycare center. mother, as well as toddlers who exhibited anxiety, experienced an adaptation proces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teacher, mothers could feel the toddler's adaptation.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the adap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daycare center type through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one-year-old toddler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program guide, the period, the content and the proceeding metho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aptation program for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at the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2013). 부모-영아 애착, 부모-교사 협력, 그리고 교사-영아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혜진(2009). 부모-교사 협력행동과 부모-교사 신뢰 관계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희선, 이은하, 박희경(2013).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초기 적응지도 실태 및 인식과 지원을 위한 멘토링 운영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79, 23- 43.
  4. 구수연(2005).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현조, 배지희(2018). 만 1세반 영아의 초기 적응 과정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의미. 유아교육연구, 38(2), 61-90. doi:10.18023/kjece.2018.38. 2.003
  6. 김나희, 황윤세(2016). 보육교사의 적응 지도방법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359-378.
  7. 김상림(2012).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207-230.
  8. 김연숙(2009).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과정에 대한 실행 연구: 20-24개월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유환, 김경숙(2012). 어머니-교사관계,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문제 간의 관련성. 어린이미디어연구, 11(1), 87-104.
  10. 김인경(2016). 원아적응일지를 통한 학부모-교사의 의사소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지혜, 이대균(2013). 어머니가 어린이집을 선택하고 신뢰를 형성해 가는 과정.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169-202.
  12. 김현경(2013). 만 1세 영아의 기질에 따른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문애현, 조안나(2018).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어린이 집에 대한 신뢰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4), 231-252. doi:10.20437/KOAECE23-4-10
  14. 박선준(2016). 어린이집 초기 적응 지원활동이 영아의 적응 과정에 미치는 영향 및 의미 탐색.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선준, 김성원(2017). 어린이집 초기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인문사회21, 8(4), 983-1010. doi:10.22143/HSS21.8.4.50
  16. 박정화, 나종혜(2017).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생애학회지, 7(1), 17-35. https://doi.org/10.30528/JOLSS.2017.7.1.002
  17. 박현주(2016).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관찰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배미연, 이순복(2014). 영아-교사관계가 영아의 교사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2), 339-360.
  19. 보건복지부(2018), 2018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20. 송진숙(200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의 적응과 관련 변인간의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167-189.
  21. 신용은, 박정희(2014).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3), 71-91.
  22. 신유림, 윤수정(2009).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행동특성 및 유아교육기관 적응의 관련성: 유아 및 교사 지각의 비교. 유아교육연구, 29(5), 5-19.
  23. 신희남, 조복희(2012). 어머니의 적응지원전략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 종단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29-55.
  24. 심선영(2016).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 개발. 대전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18(2). 95-113.
  25. 안소영(2015). 초기적응 아동중심 집단보육놀이치료가 만2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및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양숙경, 문혁준(2010).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 관계가 만 1, 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1-146.
  27. 엄일숙(2013). 영아의 성별 및 기질과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경희(2010). 유아-교사의 갈등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교사변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유소율, 허영림(2013).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프로그램 실태 연구. 교육논총, 33, 87-110.
  30. 유현숙, 고선옥(2009). 어머니의 분리불안과 양육 행동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복지연구, 7(2), 17-34.
  31. 윤정민, 이주연(2018).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영아 관계의 매개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203-225. doi:10.14698/jkcce.2018.14.01.203
  32. 이경님, 유혜선(2014).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교사-영아 관계가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165-190.
  33. 이선영(2015). 직장 어린이집과 가정 어린이집의 영아 초기 적응 프로그램 실시 현황 및 교사 인식 비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성세(2012). 영아적응 부모협력프로그램이 영아-교사 애착과 적응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이승아(2018). 환경탐색에 기초한 1세 영아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연우, 성영화(2016).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어린이집과 관련한 부모역할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613-613.
  37. 이은경(2014). 3, 5세 유아의 실행기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정희, 박은주(2012). 영아.어머니.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33(3), 63-81. doi:10.5723/KJCS.2012.33.3.63
  39. 이지애(2013).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어린이집 물리적 환경 및 교사-영아의 상호 작용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현숙(2008). 영아의 개인특성과 기관의 환경 변인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화순(2010). 보육교사의 신념과 보육교사: 영아 상호 작용 및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임명희, 강성희(2007). 만 1세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에 관한 소규모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7(4), 1-32.
  43. 임민영(2016). 영아의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정명숙, 황해익(2010).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의 이미지. 아동학회지, 31(3), 67-82.
  45. 정은숙(2010). M어린이집 만2세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지혜, 서영민(2017).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을 위한 실행 과정과 변화. 유아교육학논집, 21(6), 365-389.
  47. 정현희, 오선진(2017).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부모-교사 협력, 부모 역할 만족도, 부부관계 갈등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 연구, 22(4), 167-189. doi:10.20437/KOAECE22-4-08
  48. 정희정(2013). 어린이집 초기 적응프로그램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 및 현황.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성연, 백경숙, 옥경희, 전효정, 전연진(2009). 가족 관계. 파주: 양서원.
  50. 조형숙, 김현주, 김명하, 김명정(2017). 유아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51. 지연회(2018). 영아의 기질, 영아-교사 상호작용 및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 간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최숙경(2014). 가정 어린이집 영아의 적응에 미치는 보육환경 변인.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정선, 정가윤(2013). 12-14개월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관찰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4), 80-101.
  54. 하란영(2011).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하맹화(2013).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행정안전부(n.d.). 주민등록인구통계. http://27.101.213.4에서 2019년 7월 17일 인출
  57. 허영순, 이주리(2010). 어머니의 자기분화와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의 관계: 양육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183-194.
  58. 홍승혜(2017). 어린이집 영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 Bruner, J. S. (1973). Organization of early skilled action. Child Development, 44(1), 1-11. https://doi.org/10.2307/1127671
  60. Creswell, J. W. (2010). 질적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61. Datler, W., Ereky-Stevensa, W., Hover-Reisner, N., & Malmberg, L. E. (2012). Toddlers' transition to out-of-home day care: Settling into a new care environment. Infant Behavior & Development, 35(3), 439-451. doi:10.1016/j.infbeh.2012.02.007
  62. Hughes, M., Plewis, I., & Pinkerton, G. (1979). Children's difficulties on starting infant school.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3), 187-196. https://doi.org/10.1111/j.1469-7610.1979.tb00502.x
  63. Mahler, M. S., Pine, F., & Bergman, A. (1975). 유아의 심리적 탄생(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64. Snell, E. K., Hindman, A. H., & Belsky, J. (2015). Child effects and child care: Implications for risk and 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7(4), 1059-1076. doi:10.1017/S0954579415000681
  65. William W., & Laura, S. (1987). Parent-teach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36(2), 182-187. https://doi.org/10.1080/03634528709378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