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information literacy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7초

오픈 콘텐츠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요소 구성과 활용 (A Study on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elements Using Open Contents)

  • 홍명희;이순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1-721
    • /
    • 2018
  • 인공 지능 기술의 발달과 소프트웨어 중심 사회로의 변화로 누구나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다양한 오픈 콘텐츠 속에서 어떻게 접근, 이해, 활용하고, 또한 새로운 오픈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고 공유하는지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데이터, 도구, 장치 요소에 대한 각각 하위의 리터러시 개념인 컴퓨터 리터러시, ICT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로 계층화하고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오픈 콘텐츠는 OER(Open Educational Resource)과 Open Access 운동과 같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정의하고, 두 정의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리터러시 요소 활용 방안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3단계 전략을 마련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오픈 콘텐츠를 선정하고, 다음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교육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포스트 팬데믹 시대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적 함의와 도서관 서비스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Data Literacy for the Post-pandemic Era and the Direction of Library Service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365-38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이 가져오는 인류의 정보행동 변화를 이해하고 생애교육으로서의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적 맥락을 검토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변화된 환경을 이해하고 예견된 동향을 바탕으로 포스트 팬데믹 시대 도서관 서비스에 제안도 포함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화와 팬데믹이라는 현재 우리 사회를 강타하는 두 현상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고, 팬데믹에 대응하는 도서관 정보 서비스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팬데믹 시대 데이터 리터러시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를 재확인하고 IFLA에서 제시한 동향 20가지를 바탕으로 도서관이 처한 환경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데이터 리터러시의 구현과 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연구를 마무리했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한 인공지능 리터러시 및 인공지능 융합 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Using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s)

  • 윤혁;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53-56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포털 사이트와 RISS에서 소셜 데이터와 학술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고 TF-IDF, N-Gram, 의미 연결망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 인식 양상과 현 상황을 파악하고,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소셜 데이터에서 '인공지능 리터러시'보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수집량이 2배 이상 많아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리터러시'에 소셜 데이터에서 '인간' 키워드는 소속된 군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인문학 및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한 철학적인 관심과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부' 키워드가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소셜 데이터에서만 빈도, 중요도, 연결 중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나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정부의 정책과 관련 깊은 것이 확인되었다.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Elderly's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 최형임;송인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46-255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노인복지관을 이용 중인 노인 396명을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정보활용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후,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정보활용능력의 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 효능감을 매개하여 노년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정보탐색 유형별 인지된 정보유용성 분석: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The Associatio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eHealth Literacy with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alysi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 심민선;조희숙;정수미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7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99 adults from the consumer panel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quality assessment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in 2016. We conducted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4.0 (IBM Corp., Armonk, NY, USA) and SAS ver. 9.3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Of the respondents, 38.8% were 'high seek-high scanners,' 35.8% were 'low seek-low scanners,' 13.0% were 'high seek-low scanners,' and 12.4% were 'low seek-high scanners.' eHealth literacy wa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online information scanning (odds ratio [OR], 2.4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1-4.29), but not for online information seeking (OR, 1.75; 95% CI, 1.00-3.05). With respect to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information seeking, online seeking (OR, 4.90; 95% CI, 2.19-11.00) and eHealth literacy (OR, 2.30; 95% CI, 1.11-4.7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scanning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nline scanning (OR, 2.38; 95% CI, 1.08-5.22), but not with eHealth literacy.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lth policy for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related outcome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promoting eHealth literacy.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in the Digital Textbook for Middle School English

  • LEE, Jeongmin;MOON, Jiyoon;CHO, Boram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1호
    • /
    • pp.58-83
    • /
    • 2015
  • Digital textbooks draw attention as a new format of educational material, using the advantage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innovative learning tool requires consideration as a part of successful and effective learning. The main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when using digital textbooks as a learning tool in Middle School English. Both descriptive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data analyses method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second, self-regulation fully mediate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performance; third, self-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motivation. The research results prove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ion on the learning outcomes and mediating role of self-regu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utcomes. These results help to design and implement effective lessons when using a digital textbook in Middle school English.

병원간호사의 정보활용능력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윤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on Ethical Values among Hospital Clinical Nurses)

  • 서형은;두은영;최수진;김미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2-62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clinical nurses' ethics germane to information literacy and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and thus help nurses to develop more positive and consolidated ethical values. Methods: For this study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142 nurses who worked in a hospital an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5,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2.0. Results: Ethical valu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needs (r=.25, p=.002) in information literacy as well as in direct patient care (r=.27, p=.001), shift work (r=.20, p=.016),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r=.39, p<.001), and communication (r=.24, p=.004) in perception of patient data privacy.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ethical values and accounted for 21% of the variance. Conclusion: Ethical values education with particular emphasize on managing patient informa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nurses who are younger and have a lower education level. Findings indicate a need for education programs to guide clinical nurses to utilize appropriate information when solving ethical challenges in every day nursing practice.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Data Literacy, Organizational Culture, and Data Analytics Maturity: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 박종남;조예은
    • 정보화정책
    • /
    • 제28권1호
    • /
    • pp.43-63
    • /
    • 2021
  •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데이터 기반 성과창출의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첫 번째 분석 주제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활용도의 관계에서는 조직 구성원의 데이터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조직의 데이터 분석 성숙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두 번째 주제인 조직문화와 데이터 분석 활용도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직 구성원이 조직의 문화를 관계지향 문화와 혁신지향 문화라고 인식할수록 데이터 분석 성숙도가 높아진다고 인식하고 있다. 세 번째 분석인 데이터 리터러시와 데이터 분석 성숙도의 관계성은 관계지향 문화와 위계지향 문화에 의해서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관계지향 문화는 데이터 리터러시가 데이터 분석 성숙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승효과로 나타났으나, 위계지향 문화는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영재의 정보과학교과 수행능력과 영재성 간의 관계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Computer Science Literacy to Giftedness in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심재권;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65-373
    • /
    • 2011
  • 지식산업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영재에 대한 선발이 최근에는 기초 능력평가를 통해 진행되고 있다. 기초 능력은 창의력, 사고력과 관련된 능력에 관한 것으로 한정하고 있으며, 지식산업사회를 살아가는데 누구에게나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정보과학에 대한 내용은 배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실제 영재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 영재 61명을 대상으로 정보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재성 정도에 따라 정보과학 수행능력은 차이가 있었고, 정보과학 수행능력과 영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모든 분야의 기초가 될 것으로 고려되는 정보과학의 내용을 영재성 검사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PDF

보건학전공 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Health literacy on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 이승민;남영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8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identify of the level and effect of the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 in health science majo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5 to March 15, 2018 for student majoring in health science at a university in the C c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Results: First, the e-health 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grades (F=5.769, p=0.001), health interest (F=10.553, p<0.001) and health care time (F=3.841, p=0.023), and health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F=5.476, p=0.05), health interest (F=16.716, p<0.001), and health care time (F=28.479, p<0.001). Second, the e-health literacy were correlated with grades, health care time, economic level and health interest, and health behavior were related to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Third,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were health care time, e-health literacy, grade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health interest. Conclusion: The related knowledge and skills should be applied to basic classes in order to ensure that health science majors care can accurately utilize the information on the e-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