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kines production

검색결과 1,578건 처리시간 0.036초

보음거풍지양탕(補陰祛風止痒湯)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誘發)한 NC/Nga 생쥐의 면역(免疫) 조절작용(調節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BGG on Various Immunological Factors Related to Pathogenesis of Allergic Dermatitis in NC/Nga Mice Induced by Der-f)

  • 방찬국;최정준;엄동명;김동희
    • 혜화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7-169
    • /
    • 2007
  •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BGG on atopic dermatitis,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immune cells of lymph node, PBMC and skin of Dermatophagoides farinae-induced NC/Nga mice. The levels of immunoglobulins in serum were analyzed at the protein level and the amount of pathologic cytokines were investigated using CD3/CD28 stimulated splenocyt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BGG showed no cytotoxic effect up to $200\;{\mu}g/m{\ell}$ on mLFC in vitro. 2. BGG showed no hepatotoxicity in vivo based on the levels of ALT and AST. 3. Atopic dermatitis was improved through naked eye examination. BGG reduced the skin clinical index from 2.9 to 1.3 (p<0.01). 4. H&E and toluidine blue staining of tissue biopsies revealed that BGG inhibited th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and mast cells to skin. 5. BGG reduced the number of CD19 positive B cells in PBMCs by 16% (p<0.01), whereas cells were increased by 26% (p<0.05) in lymph nodes. 6. BGG reduced the numbers of B220+/CD23+ cells by 15% (p<0.01) and 33% in PBMCs and lymph node, respectively. 7. BGG reduced the numbers of B220+/IgE+ cells in PBMCs and lymph node by 21% and 33% (p<0.01), respectively. 8. BGG suppressed the levels of IgE (13%, p<0.001) as well as IgM (34%, p<0.001), IgG2a (40%, p<0.001) and IgG2b (26%, p<0.05). 9. BGG reduced the levels of IL-4 and IFN-$\gamma$ by 7% (p<0.05) and 13% (p<0.001) in anti-CD3 and anti-CD28-activated splenocytes, respectively. 10. BGG considerab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and IL-6 by 42% (p<0.01) and 15% in the serum,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concluded that BGG has therapeutic effects on atopic dermatitis by regulating the differentiation of B cells and isotype switching of IgE. Further investigations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BGG on atopic dermatitis are anticipated.

  • PDF

E. coli lipopolysaccharides로 유도된 사람 호중구에서 CD14, Toll-like receptors, cytoskeletal inhibitors 그리고 $NF-{\kappa}B$ inhibitor가 MMP-8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D14, Toll-like receptors, cytoskeletal inhibitors and $NF-{\kappa}B$ inhibitor on MMP-8 release from human neutrophils induced by E. coli lipopolysaccharides.)

  • 양승민;김태일;설양조;이용무;구영;정종평;한수부;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427-436
    • /
    • 2005
  • Objective: MMP-8 is a neutrophil enzyme and its level increases in some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periodontal disease. We knew that the lipopolysaccharide of E.coli(E-LPS) induced MMP-8 release from human neutrophils. E-LPS is known to induce the production and release of 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CD14, Toll-like receptor(TL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MMP-8 release by E-LPS is induced via CD14-TLR pathway and the cellular mechanism of MMP-8 release in human neutrophils. Material and methods: Human neutrophils were isolated from the peripheral blood of healthy donors and pre-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antibodies against CD14, anti-TLR2 and anti-TLR4 or several inhibitors of microtubules and microfilaments and then incubated with E-LPS. The cells were treated TPCK and E-LPS simultaneously. The MMP-8amount in the culture medium was determined using ELISA. Results: E-LPS increased MMP-8release from neutrophils and its induction was inhibited by anti-CD14 and anti-TLR4 but not by anti-TLR2 antibodies. The inhibitors of microtubule and microfilament polymeriz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E-LPS-induced MMP-8release. TPCK inhibited E-LPS-induced MMP-8 rele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MP-8 release is induced by E-LPS via the CD14-TLR4 signal pathway in human neutrophils and may be depedent on microtubule and microfilament systems and $NF-{\kappa}B$ pathway.

자궁근종과 자궁평활근 세포분열에 있어 Interferon-${\alpha}$ 및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의 효과 (The Effect of Interferon-${\alpha}$ and bFGF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Leiomyoma and Myometrial Cells)

  • 이병석;박정식;김진영;배상욱;박기현;조동제;이국;김재욱;송찬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355-359
    • /
    • 1997
  • Leiomyomas, which are the commonest pelvic tumors in women, are originated from myometrial cells. Although the exact initial pathophysiologic event of the leiomyoma is not known, recent evidences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sex steroid hormones in the process of tumor growth are mediated by local production of growth factors including epidermal growth factor (EGF),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and insulin-like growth factor-II (IGF-II). If we look at the effects of other cytokines, it was suggested that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may stimulate the proliferation of myometrial and leiomyomas cells. And it was reported that interferon-${\alpha}$ inhibit the action of bFGF.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bFGF and interferon-${\alpha}$ on the proliferation of leiomyoma and myometrial cells. bFGF stimulated the myometrial and leiomyoma cells significantly at the concentration of 1ng/ml (p<0.05) and 5ng/ml (p<0.05). However, Interferon-${\alpha}$ inhibited the cell proliferation of myometrial and leiomyoma cells significantly at the concentration of 100U/ml (p<0.05) and 1000U/ml (p<0.05). And the stimulated effects of bFGF with the various concentration on the myometrial and leiomyoma cells ware inhibited by interferon-${\alpha}$ with 100U/m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bFGF may stimulate the myometrial and leiomyoma cell proliferation and interferon-${\alpha}$ may inhibit the myometrial and leiomyoma cell proliferation through blocking the effect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 PDF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Hylotelephium erythros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rich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extracts)

  • 김상숙;박경진;이승은;이정훈;최영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42-848
    • /
    • 2017
  •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던 꿩의비름 추출물을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지니는 천연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꿩의비름의 뿌리(HER), 잎(HEL), 줄기(HEB), 지상부(HEAG)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 추출물인 HEAG에서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FRAP 활성 역시 HEAG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HEA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35.5{\pm}18.96mg/g$ gallic acid equivalent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항염 활성에서는 NO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의 생성 억제 화성이 가장 높았다. 꿩의비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의 천연물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H2O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MC3T3-E1 조골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Func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Jee)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2-88
    • /
    • 2012
  •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 ROS 생성 및 염증 매개성 cytokine인 TNF-${\alpha}$ 생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감국 에탄올 추출물 20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이 약 1.5배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collagen 합성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ineralization 측정에서는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intracellular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본 결과, 30 ${\mu}g/mL$ 농도에서 antioxidant인 trolox 20 ${\mu}M$과 유사한 ROS 생성수준을 나타내어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조골세포의 collagen 및 ALP의 합성을 억제하고 파골세포로의 분화 증강과 골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TNF-${\alpha}$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 감국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89% 수준을 나타내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 내 ROS 생성과 염증매개 cytokine인 TNF-${\alpha}$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조골세포 손상과 활성 감소를 억제하고,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물성 에스트로젠(phytoestrogen) 및 항산화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신화학물질 HS-1580 유도체(HS-1580 HS-1581 HS-1582)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ew Chemical Compounds, HS-1580 Series (HS-1580, HS-1581, HS-1582))

  • 김지영;김균하;서홍석;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81-1187
    • /
    • 2006
  • 본 연구는 염증 형성과정에 있어서, 해조류로부터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하여 그 유도체인 HS-1580 series (HS-1580, HS-1581, HS-1582)를 합성하였다. Nitiric oxide (NO) 생성에 있어 Raw 264.7 cells에서 lipopolysaccharide(LPS)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서보다 4배 이상 NO 생성이 증가하였지만, HS-1580 series를 처리하고 LPS를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되었다. HS-1580 series가 NO 생성 자체를 억제함으로서 NO 함량이 감소되었는지, inducible NOS (iNOS) 단백질 발현을 억제에 기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iNOS protein 발현이 HS-1580 series에 의해서 억제되었고 HS-1580 series가 cyclooxygenase-2 (COX-2), 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interluekin-1{\beta}\;(IL-1{\beta})$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HS-1580 series가 iNOS 단백질 발현 억제에 기인한 NO 생성억제, COX-2 발현 억제 및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IL-1{\beta}$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등골나물 뿌리 추출물의 염증반응 조절 분자 iNOS와 COX-2 발현 억제 효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Root Extract Inhibits the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s by Inhibiting iNOS and COX-2 Expression)

  • 이진호;김대현;신지원;박세진;김윤석;신유수;유지연;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37-1144
    • /
    • 2012
  • 염증반응은 유해한 물질이나 병원체에 대항하여 활성화되는 생체 방어 기전이다. 그러나 과도한 염증반응은 그 자체가 생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지질다당류와 같은 병원체를 인식한 후, NF-${\kappa}B$ 경로의 활성화를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산화질소와 같은 염증매개인자들을 분비하는 면역세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다당류로 활성화시킨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등골나물(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뿌리, 줄기 그리고 꽃 추출물들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중 등골나물 뿌리의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산화질소 합성유도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와 고리형 산소화효소-2(cyclooxygenase-2)의 발현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등골나물 뿌리의 추출물은 NF-${\kappa}B$ 경로에 있는 MAP (mitogen activated protein) 인산화효소와 단백질 인산화효소 B (protein kinase B)의 활성화를 감소시켰으며, 억제적 kappa B (inhibitory kappa B)의 분해 또한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등골나물 뿌리의 추출물이 NF-${\kappa}B$ 경로와 산화질소 합성유도효소 발현의 억제를 통하여 항염증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제시한다.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에 대한 회향 열매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Fruits of Foeniculum vulgar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acrophages)

  • 양인준;유학인;이동웅;신흥묵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81-987
    • /
    • 2014
  • 회향(Foeniculum vulgare)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과 분획물(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acetate, n-butanol)을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LPS처리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macrophage에서 시료가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는 $100{\mu}g/ml$의 농도를 처리한 후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염증성 사이토카인($IL-1{\beta}$, IL-6 및 TNF-${\alpha}$) 생성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exane, methylene chloride 및 ethylacetate 분획물은 대조군에 비해 NO, PGE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iNOS, COX-2 mRNA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Methylene chloride와 ethylacetate 분획물은 $100{\mu}g/ml$의 농도에서 $IL-1{\beta}$, IL-6 생성 및 mRNA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은 TNF-${\alpha}$ 의 생성과 mRNA발현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회향 및 회향 분획물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증 매개물질인 NO, PGE2 그리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mRNA 활성 및 분비 억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소두 추출물이 톨유사수용체 활성 및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gna angularis on Toll-like Receptor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 김미화;정시화;이승웅;김현규;박찬선;전병훈;오현미;노문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1-518
    • /
    • 2012
  • The mechanisms of Toll-like receptor (TLR) signaling have been the focus of extensive studies because TLRs are the target of therapeutic intervention on multiple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potential of Vigna angularis (azuki bean) on the TLR signaling. The effect of Vigna angularis extract (JSD) on TLR activation was investigated by assessing NF-${\kappa}B$ and AP-1 inducible secreted embryonic alkaline phosphatase (SEAP) activity. JSD significantly inhibited SEAP activity induced by poly I:C (TLR3 ligand) and poly I (TLR7 ligand)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 below 100 ${\mu}g/ml$ with no sign of cytotoxicity. Pretreatment of JSD markedly suppressed mRNA express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adhesive molecules such as TNF-${\alpha}$, IL-6, RANTES, MCP-1 and ICAM-1 induced by TLR ligands. It also diminished the phosphorylation of $I{\kappa}B$ kinase and $I{\kappa}B$, and followed by $I{\kappa}B$-mediated nuclear translocation of p50, p65, and phosphorylation of p38, JNK, and IRF signaling pathway.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Vigna angularis has inhibitory activity on TLR-3 and -7 signaling and it can be further developed as a remedy in curing TLR-related multiple diseases.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jongsi Persimmon (Diospyros kaki L.))

  • 전인화;강현주;이현서;신준호;박용균;정승일;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05-510
    • /
    • 2014
  • 본 연구는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감꼭지와 감잎은 DPPH, ABTS 및 NO 등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활성뿐만 아니라 환원력도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LPS에 의해 활성화된 설치류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NO 생성억제는 감꼭지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지만, $PGE_2$ 생성의 경우 모든 부위의 추출물에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더욱이 활성화된 RAW 264.7 세포에서 감꼭지, 감잎 및 감껍질 추출물은 농도에 의존적으로 TNF-${\alpha}$와 IL-$1{\beta}$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종시 감나무 부위별 추출물 중 감꼭지와 감잎은 항산화제뿐만 아니라 항염증에 효과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었고, 감껍질의 경우 비록 항산화 효과는 낮았지만, 우수한 항염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임을 제시해주었다. 그러므로 고종시 감나무 수용성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