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mbidium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43초

서양 심비디움 양액재배에서의 무기물 흡수 (Mineral Absorption by Cymbidium Jungfrau in the Solution Culture)

  • 송성준;부창호;유장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5-40
    • /
    • 1999
  • 양액 재배에서 서양 심비디움(Cymbidium Jungfrau)의 질소와 인 흡수 및 재분배양상을 조사하였고 양액 재배와 관행인 화분 재배간의 심비디움의 생육, 광합성, 엽록소함량,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질소$(^{15}N)$의 흡수는 자연광의 60% 광도에서 보다 자연광에서 많았고, 인$(^{32}P)$의 흡수는 이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냈다. 흡수된 질소$(^{15}N)$는 벌브에 가장 많이 존재하였고 인$(^{32}P)$은 뿌리와 벌브에 많이 있었으며 잎으로 재분배된 양은 10% 정도였다. 2년생 어미주보다는 0.5 또는 1년생 새끼 주에서 질소$(^{15}N)$와 인$(^{32}P)$의 흡수가 더 많았다. 심비디움의 인 흡수율은 보리의 경우 보다 약 350배 정도 낮았다. 심비디움의 초장, 벌브크기, 생체증가율, 광합성 능, 엽록소 함량은 바크 또는 입상 암면을 배지로 이용하는 양액 재배가 일반 관행재배보다 더 높았다. 특히 양액 재배에서 사용된 바크와 입상 암면간에 생육과 무기물함량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의 함량은 양액 재배에서 높았으나 칼슘은 관행과 차이가 없었고 무기물의 흡수는 주로 영양생장기간 동안에 이루어졌다.

  • PDF

제주한란의 자생환경 특성 및 분포에 관한 연구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ymbidium kanran Native to Jejudo, Korea)

  • 이종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0-49
    • /
    • 2004
  • This work carried ou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Cymbidium kanran habitat at Mt. Halla in Jejudo, Korea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including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features, air and soil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fluctuations of light intensity, habitat vegetation, distribution altitude, area limit, and etc. And another goal of this study consider the conservation counterplan of the cymbidium habitat. Natural distribution areas of the cymbidium were observed more abundantly on the well drained south and east-facing slopes. Soil acidity was ranged from pH 4.1 to 5.3, and electric conductivity was ranged from 176.4 to 299.9 us/cm (average 215.3 us/cm). Base-saturation percentage of the habitat soil was below 50%, bulk density 0.42g/$cm^2$, particle density 2.05g/$cm^2$, humus content 26%, total nitrogen 0.82%, available phosphate 4.2 mg/kg, exchangeable potassium 0.63 Cmol/kg, calcium 0.44 Cmol/kg and magnesium 0.67 Cmol/kg. Annual mean air temperature was $15.4^{\circ}C$, however, air temperature was ranged $11.7{\sim}18.2^{\circ}C$ in spring, $21.2{\sim}23.8^{\circ}C$ in summer, $12.8{\sim}22.0^{\circ}C$ in fall and $5.5{\sim}7.8^{\circ}C$ in winter season. Annual mean soil temperature at depth of 10cm was $13.2^{\circ}C$ And minimum value was recorded $4.7^{\circ}C$ on January, and maximum value $22.5^{\circ}C$ on August. Relative humidity was ranged 90.8~94.7% in summer, 80.8~91.5% in fall and 77.6~84.2% in winter season. Minimum value was 56.5% on December, and maximum value was 100% on July and August. Light intensities were ranged from 400 to 1,800 lux at the greater part of Cymbidium kanran sites in Jejudo. Summer regarded as an lower light intensities was recorded to be range of 500~600 lux; however, autumn and winter were shown higher light regimes ranged from 3,500 to 3,800 lux. Therefore, one must be suprised that the cymbidium grow at the light condition of 6 lux (minimum) or 10,000 lux (maximum). Tree species keeping higher frequency rate and density were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Carpinus laxiflora and Pinus densiflora. Number of trees growing in a 5${\times}$5m quardrat was 35 as an average, and proportion of evergreen versus deciduous was 5:1. Distribution altitude of the orchid habitat was ranged from 120m (low) to 840m (high) from sea level on the south facing slope of Mt. Halla, and was ranged eastern borderline of Gujwaup, Bukjejugun to western boundaries of Jungmundong, Seogwipo city. For the stable conservation of Cymbidium kanran habitat, sunlight regimes must be increased more by means of cutting trees or twigs in the site.

초산과 젖산 혼합액에 의한 수출용 심비디움 검역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 효과 (Effect of Acetic and Lactic Acid Mixtures on Control of Quarantin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Exporting Cymbidium)

  • 서윤희;박지영;조명래;전재용;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7-233
    • /
    • 2014
  • 초산(acetic acid)과 젖산(lactic acid)의 혼합액(MX)의 심비디움 배양토에 오염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초산과 혼합액은 5.0-1.0% (pH 2.6-4.2)에서 젖산은 5.0%에서만 100%가까운 살선충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낮은 농도(0.5-0.1%, pH 5.1-6.9)에서는 초산과 혼합액보다 젖산에서 살선충력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대부분의 농도에서 혼합액의 살선충율이 초산과 젖산의 평균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혼합액의 살선충력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폿트실험에서 유기산 혼합액(0.5%, 0.25%), 살선충제(fosthiazate, 표준량, 배량) 및 길항세균(Paenibacillus polymyxa GBR-1) 배양 희석액($10^7CFU/ml$) 등의 처리에 의해 심비디움 배양토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밀도가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 후 시기별 pH와 2년생 심비디움의 생육에 무처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이들 식용 유기산의 안전성과 가격을 종합하여 볼 때, 심비디움의 재배 관리 중 생육단계에 따라 이 유기산 혼합액의 지속적인 사용은 검역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실제적으로 유효한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장기간 기내 배양한 춘란(Cymbidium goeringii Lindley) 및 한란(Cymbidium kanran Makino)의 변이 비교 (Variation Analysis of Long-term in vitro Cultured Cymbidium goeringii Lindley and Cymbidium kanran Makino)

  • 류재혁;이효연;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9-149
    • /
    • 2011
  • 기내 배양된 Cymbidium속 춘란과 한란의 근경을 대상으로 장기배양에 따른 변이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춘란은 총 151개 DNA 밴드 중 40개의 다형성 밴드가 증폭되어 다형성 비율은 26.4%였으며, 한란은 총 155개 밴드 중 56개의 다형성 밴드가 증폭되어 36.1%의 다형성 비율을 나타내었다. 단순일치 계수(simple-matching coefficient)를 사용하여 유전적 유사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 춘란의 개체간의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825~1.00 사이로 평균 0.944였다. 한란의 개체간 유전적 유사도 지수는 0.812~1.00 사이로 평균 0.913이었다. 군집분석결과 춘란은 유전적 유사도 지수 0.841과 0.837에서 1개의 그룹과 유집되지 않는 2개체로 나누어졌으며 한란보다 단순하게 유집되었다. 이와 같이 생장조절제가 첨가된 기내 배지에서 장기간 배양된 Cymbidium 근경은 유전적 다형성을 나타냈으며, 유전적 유사지수도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추후 여러 가지 변이원을 이용한 자원식물개발과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옥화란(Cymbidium niveo-maginatum) Rhizome의 생장 및 유식물체 분화에 미치는 Ethylene의 영향 (The Rhizome Growth and Shoot Induction Influenced by Ethylene in Cymbidium niveo-maginatum)

  • 민병훈;정해준;이은경;황혜연;이영복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15-518
    • /
    • 1998
  • Ethylene이 옥화란 rhizome의 증식과 유식물체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Ethylene 발생량은 rhizome 치상 8일째 가장 많았고 배양기간 동안의 총 ethylene 발생량은 rhizome이 증식될 때보다 유식물체가 분화될 때 많았다. 배양 rhizome에 ethephon을 처리한 결과 ethephon은 rhizome의 증식과 유식물체의 길이생장은 억제하였으나 유식물체의 분화에는 효과적이었다. Aminoethoxyvinylglycine(AVG) 1mg/L 처리에서는 rhizome의 증식과 유식물체의 분화에는 효과적이었으나 10mg/L에서는 rhizome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유식물체의 길이생장은 촉진되었다. $\textrm{AgNO}_{3}$처리는 rhizome의 증식과 유식물체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 PDF

Prochloraz와 Tebuconazole의 Fusarium oxysporum에 의한 춘란(Cymbidium goeringii) 구경썩음병 방제효과 (Effects of Prochloraz and Tebuconazole on Control of Fusarium Bulb and Root Rot of Oriental Orchid, Cymbidium goeringii)

  • 지형진;이선미;조원대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72-78
    • /
    • 2003
  • 프로라츠, 터부코나졸, 베노밀, 만코지, 지오판, 아족시스트로빈, 후루아지남 등 8종의 농약이 Fusarium oxysporum 에 의한 춘란(Cymbidium goeringgii) 구경썩음병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들 중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이 병원균의 성장억제효과와 병 방제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들 농약은 유효성분 10ppm에서 병원균의 균사 생장 95~100% 억제하였으며, 100ppm 에서 포자발아율을 75~100% 억제하였다. 한국춘란(무명소심)과 중국춘란(녹운)에 대한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의 구경썩음병 방제효과는 거의 없거나 50% 이하로 낮았으며 발병 후 치료효과는 0~20%이하로 매우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프로라츠와 터부코나졸을 병 발생 전에 예방적으로 적용하면 춘란구경썩음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Night Interruption and Night Temperature Regulate Flower Characteristics in Cymbidium

  • Kim, Yoon-Jin;Park, Chae-Jeong;Rho, Hyung-Min;Kim, Ki-S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36-242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night interruption (NI) and night temperature on flowering and flower coloration in Cymbidium. Cymbidium 'Red Fire' and 'Yokihi' were grown under a 9 hours photoperiod (control), a 9 hours photoperiod with NI at a low light intensity (LNI) of 3-7 ${\mu}mol{\cdot}m^{-2}{\cdot}s^{-1}$, or a 9 hours photoperiod with NI at a high light intensity (HNI) of 120 ${\mu}mol{\cdot}m^{-2}{\cdot}s^{-1}$ for four hours (22:00-02:00 HR) for 16 weeks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 (Experiment 1). Thirty month-old Cymbidium 'Red Fire' plants with initiated flowering buds were placed in four different growth chamber with night temperature set points of 6, 9, 12, or $15^{\circ}C$ for 16 hours (18:00 to 09:00 HR) and a daytime temperature of $25^{\circ}C$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the numbers of visible buds and flowers increased, and time to flowering decreased in both the LNI and HNI treatmen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in both cultivars. Red color in Cymbidium 'Red Fire' increased by both LNI and HNI, as evidenced by an increased $a^*$ in plants grown under these conditions, relative to those grown under the control condition. Number of days to visible buds at 9-$15^{\circ}C$ ranged from 31-34 days, as compared to 39 days at $6^{\circ}C$ in Experiment 2. Although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days to flowering decreased when the plant was grown at $15^{\circ}C$ as compared to 6, 9, or $12^{\circ}C$, the red color ($a^*$) also decreased. The number of flowers and percent flowering increased when the night temperature was maintained higher than $9^{\circ}C$. Therefore, NI treatment and maintaining the night temperature at approximately 9-$12^{\circ}C$ during the winter season after flower spike initiation in the reproductive developmental growth stage improve flower quality and controls flowering time.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근세포 손상에서 심비디움 뿌리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Cymbidium Root Extra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Myoblasts Damage)

  • 김완중;김한성;오피츠 요크;가바야마 카즈야;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019-1024
    • /
    • 2014
  • 근위축은 근육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근육 조직의 손실 또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상태는 다양한 근육질환에 관여하는 활성산소종이 관여 한다. 우리는 심비디움 뿌리 추출물이 과산화수소에 의해 유도된 C2C12 근육세포 생존율 손실과 세포사를 억제한다는 것을 찾았다. 또한 심비디움 뿌리 추출물이 HSP70 단백질 발현증가와 SOD1 단백질 발현감소를 확인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심비디움 뿌리 추출물이 근위축에서 활성산소종을 환원하는 치료약물로서 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MCP, AVG 처리가 절화 심비디움의 수명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1-MCP and AVG on the Vase Life of Cut Cymbidium Flowers)

  • 이영란;최성열;권오근;허은주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51-255
    • /
    • 2010
  • 본 연구는 1-MCP와 AVG처리로 유통중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절화 심비디움의 제웅과 약포제거에 의한 절화수명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MCP(150 ppb) 를 4시간 동안 처리시 절화 심비디움 '할렐루야' 품종은 제웅이나 약포제거를 해도 절화수명이 무처리에 비해 최대 12까지 연장되었다. 에틸렌 발생량은1-MCP 무처리구는 처리 7일부터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1-MCP 처리구는 농도에 관계없이 처리 15일까지 발생되지 않았다. 에틸렌 발생은 설판의 화색이 변하기 시작하면 발생이 되었다. AVG 처리는 0.5나 1 mM 농도로 4시간 전처리하면 최대 9일 연장효과가 있었으나 제웅이나 약포를 제거하면 3일만 연장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Cymbidium 'Halleluiah' 품종을 이용한 절화 수명 연장 효과는 AVG보다는 1-MCP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SRAP을 이용한 국내육성 심비디움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in Cymbidium Varieties Using SRAP)

  • 박부희;김미선;이영란;박필만;이동수;예병우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99-404
    • /
    • 2011
  • Genetic diversity among 28 Cymbidium varieties was evaluated by using a sequence-related amplified polymorphism (SRAP) marker system. The SRAP marker which was based on the open reading frames (ORFs) regions was developed primarily for Brassica species, but has been applied to various crops. A total of 30 SRAP primer combinations were initially screened. Twenty-eight SRAP primer combinations showed high polymorphism among the 28 Cymbidium varieties, which were consisted of breeding varieties and their parents i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NIHHS). The amplified DNA fragments were separated by denaturing acrylamide gels and detected silver staining method. One hundred ninety six polymorphic bands (7 per primer) were generated and ranged from 0.3 to 1.0 kb in size. Polymorphic fragments were scored for calculating simple matching coefficient of genetic similarity and cluster analysis with multi-variate statistical package (MVSP) 3.1. The mean genetic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as 0.58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_1$ varieties and their parents was high. These studied SRAP markers will be useful tools for genotype identification, germplasm conservation, genetic relationships in Cymbi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