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e-based evaluation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4초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하천유수지 오염토의 현장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Using Effective Microorganism Brewing Cycle for Contaminated Soil in Water Retention Basin)

  • 신은철;정민교;김경식;강정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11호
    • /
    • pp.35-43
    • /
    • 2016
  • 이 연구는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수지 악취 제거와 유수지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의 정화효과를 확인하고, 현장 적용성 시험을 바탕으로 토양오염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 내에 침전된 유기오염물질을 분석하여 악취유발 원인과 토양오염 물질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복합발효미생물과의 혼합발효를 이용하여 악취와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유수지 오염토의 물리 화학적 구성과 토양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확인하여 악취의 원인을 규명하였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토의 혼합실험을 통해 혼합방법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은 한 종류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오염 제거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복합발효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은 자연정화처리 방법에 비해 악취농도가 2.5배 저감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토양으로부터 배출된 간극수의 수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발효미생물과 유수지 혼합토의 교반실험에서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된 구리와 납이 각각 65%와 66%로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기물인 TPH 성분은 85%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유수지 오염토의 복원은 교반과 혼합비에 대한 기초자료 축적을 통해 악취와 토양오염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장기적인 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평가 (Evaluation of Life Cycle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of Elementary School of Buildings)

  • 지창윤;홍태훈;정재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2-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8개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운영, 해체 폐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LCA 기반의 평가모델을 정의하고, 모델을 이용하여 사례 건축물을 평가하였다. 40년의 운영기간을 가정하여 평가한 결과, 내재에너지(즉,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 에너지사용량의 합), 운영에너지, 해체 폐기에너지는 평균적으로 2,279, 11,182, 228 Mcal/m2로 산출되었다. 각 단계별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04, 2,708, 60 kg-CO2/m2로 산출되었다. 평가결과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7%가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재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운영에너지는 지역에 따라 확연하게 구분되는 반면, 내재에너지는 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영단계의 에너지 사용량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구분된 단열 기준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고도 하수처리장의 전과정평가에 따른 환경성 및 경제성 평가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of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ith Life Cycle Assessment)

  • 표세희;김민정;이승철;유창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503-515
    • /
    • 2014
  • 최근 하수처리장의 질소 및 인 방류수 수질기준이 강화되고 슬러지의 해양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기존 표준활성슬러지공법의 고도처리공법으로의 증설 및 새로운 하수슬러지 처리공법에 대한 환경성, 경제성 평가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고도처리 및 슬러지 처리공법은 운영 단계뿐만 아니라 건설, 폐기를 포함한 전과정에 걸쳐 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비용을 소모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건설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전과정을 고려하여 고도처리공정 및 슬러지 처리 공법의 환경성, 경제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고도처리공법으로 Anaerobic/Anoxic/Oxic ($A_2O$), Bamard Denitrification Phosphate (Bardenpho), Virginia Initiative Plant (VIP), Modified University of Cape Town (MUCT) 공법을, 슬러지 처리공법으로는 매립, 소각, 퇴비화를 선정하였다. 각 공법에 따른 환경성, 경제성 평가를 위하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을 따라 전과정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전생애비용을 산정 비교하였다. 각 고도처리 공법에 대한 평가 결과, 환경영향 측면에서는 운영 단계에서의 생물학적 처리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경제성 측면에서는 운영 단계에서의 전력소모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친환경적인 하수처리 및 슬러지 처리공법은 $A_2O$ 공법과 퇴비화로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CAS 공법과 매립에 비해 환경영향을 52%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가장 많은 비용을 소요하는 CAS 공법과 매립 적용 시에 비해 MUCT 공법과 퇴비화가 전생애비용을 62% 절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도처리 공법으로의 증설 및 슬러지 처리에 대한 전과정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공법을 선정하기 위해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전생애비용을 산출하여 각 공법을 비교 및 평가하였으며, 전과정평가의 환경성 및 경제성에 중요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방법론을 통하여 환경부하 및 경비 절감을 고려한 고도처리공법의 개보수 공정 및 슬러지 공정 선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닷넷 기반의 소프트웨어 RAD 프로세스 - (NET Based Software Rapid Application Development(RAD) Process)

  • 노재우;조현훈;류성열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11-324
    • /
    • 2004
  •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여러 번의 반복(Iteration)을 거치며 각각의 반복은 요구사항 분석, 분석 및 설계, 구현, 그리고 테스트 및 평가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 자체로서도 하나의 개발주기를 이룬다. 이러한 반복적인 개발 방법에서는 반복마다 실행 가능한 릴리즈가 산출되고 이는 반복이 거듭될수록 향상되어 결국 최종 시스템으로 발전된다. 전통적인 프로세스와 비교했을 때 빠르고 반복적인 개발 방법이 갖는 장점은 초기에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고 변경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보다 높은 수준의 재사용이 가능하며,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프로젝트 팀원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전반적인 고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 중심의 요구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고 짧은 기간에 개발 산출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 개선의 초점을 둔 빠른 개발 프로세스와 사례연구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제안 프로세스는 NET 기반에서 마르미III, MSF/CD, XP, Agile, PSP, TSP의 공통적이고 핵심 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 PDF

CBD 기반의 웹 시스템 개발 적응을 위한 컴포넌트 기술 비교 평가 (Comparison and an evaluation of a component technology for a Web syste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CBD)

  • 나윤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59-66
    • /
    • 2002
  • 정보화 사회가 고도화될수록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복잡해지고 대규모화되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라이프사이클 단축으로 개발기간의 단축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생명주기도 짧아지고 있어 개발 및 유지보수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서 미리 구현된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개발비용과 시간을 단축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컴포넌트 기술은 현재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뿐 아니라 웹 기반 시스템의 개발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BD 기반의 웹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관련 기술을 살펴보고, 특히 중소규모의 웹 시스템 개발에 대한 적용을 위해 기존 컴포넌트 기술들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웹 시스템의 개발ㆍ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을 통해 CBD기반의 중소 규모 웹 시스템 구축에서 개발비용을 감소시키고 유지 관리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기적 하중을 받는 SCH 40 3-Inch 탄소강관엘보의 소산에너지 기반의 손상지수 평가 (Damage Index Evaluation Based on Dissipated Energy of SCH 40 3-Inch Carbon Steel Pipe Elbows Under Cyclic Loading)

  • 김성완;윤다운;전법규;김성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2-119
    • /
    • 2021
  • 지진하중으로 인한 배관계통의 파괴모드는 라체트를 동반하는 저주기 피로파괴이며 비선형 거동이 집중되고 파손이 발생하는 요소는 엘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저주기 피로에 의한 SCH 40 3인치 탄소강관엘보의 파괴기준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한계상태를 누수로 정의하고 면내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배관계통에서 지진하중에 취약한 요소인 탄소강관엘보에 대하여 모멘트-변형각의 관계를 이용한 손상지수를 나타내었으며 힘-변위의 관계를 이용하여 산정된 손상지수와 비교-분석하였다. 탄소강관엘보에 대하여 반복되는 외력에 의한 소산에너지에 기반을 둔 손상지수로서 누수가 발생한 한계상태를 정량적으로 표현하였다.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Novel Biomarkers and Potential Targeted Drugs in Cholangiocarcinoma: Bioinformatics, Virtual Screening, and Biological Evaluation

  • Wang, Jiena;Zhu, Weiwei;Tu, Junxue;Zheng, Yih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0호
    • /
    • pp.1262-1274
    • /
    • 2022
  • Cholangiocarcinoma (CCA) is a complex and refractor type of cancer with global prevalence. Several barriers remain in CCA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Therefore, exploring more biomarkers and therapeutic drugs for CCA management is necessary. CCA gene expression data was downloaded from the TCGA and GEO databases. KEGG enrichment, GO analysi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were used for hub gene identification. miRNA were predicted using Targetscan and validated according to several GEO databases. The relative RNA and miRNA expression levels and prognostic information were obtained from the GEPIA. The candidate drug was screened using pharmacophore-based virtual screening and validated by molecular modeling and through several in vitro studies. 301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were screened out. Complement and coagulation cascades-related genes (including AHSG, F2, TTR, and KNG1), and cell cycle-related genes (including CDK1, CCNB1, and KIAA0101) were considered as the hub genes in CCA progression. AHSG, F2, TTR, and KNG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 eight predicted miRNA targeting AHSG, F2, and TTR were increased in CCA patients. CDK1, CCNB1, and KIAA01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bundant in CCA patients. In addition, Molport-003-703-800, which is a compound that is derived from pharmacophores-based virtual screening, could directly bind to CDK1 and exhibited anti-tumor activity in cholangiocarcinoma cells. AHSG, F2, TTR, and KNG1 could be novel biomarkers for CCA. Molport-003-703-800 targets CDK1 and work as potential cell cycle inhibitors, thereby having potential for consideration for new chemotherapeutics for CCA.

Evidence an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vitamin D intake standards in Koreans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 Kim, Jung Hyun;Park, Hyoung Su;Pae, Munkyong;Park, Kyung Hee;Kwon, O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sup1호
    • /
    • pp.57-69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Vitamin D is produced in the skin during sun exposure and is also ingested from foods. The role of vitamin D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arious diseases. Moreover, since the majority of Koreans spend their days indoors, becoming susceptible to the risk of vitamin D deficiency. The current study aims to prepare a basis for determining dietary reference intake of vitamin D in Korea, by reviewing the evidence against various diseases and risks. MATERIALS/METHODS: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between 2014 and 2018 was prioritized based on their study design and other criteria, and evaluated using the RoB 2.0 assessment form an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Nutrition Evidence Library Conclusion Statement Evaluation Criteria. RESULTS: Of the 1,709 studies, 12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systematic analysis after screening. To set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vitamin D based on the selected articles, blood 25(OH)D levels and indicators of bone health were used collectively. Blood vitamin D levels and ultraviolet (UV) exposure time deriv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analyzed to establish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vitamin D for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The adequate intake levels of vitamin 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of 5-15 ㎍/day, and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was established at 25-100 ㎍/day.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vitamin D nutrition is lifestyle. A balanced diet comprising foods with high contents of vitamin D is important, as is vitamin D synthesis after UV exposure. The adequate intake level of vitamin D mentioned in the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 (KDRI) remained unchanged in the 2020 KDRI for the management of vitamin D nutrition in Koreans.

복합용도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리스크 기반 변화요인 측정 및 평가 프로세스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Process for Risk-based Configuration Factors in Mixed Used Development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손명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94-106
    • /
    • 2012
  • 최근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복합용도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사업초기 계획의 불확실성, 자금조달의 어려움, 사업비 증가 및 사업기간 지연 등으로 인하여 리스크 및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급격한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고 리스크 감소를 통한 주체별 편익의 최적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사업초기단계에서의 정확한 계획과 함께 사업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리스크 기반의 변화관리 프로세스가 요구된다. 또한 변화관리 프로세스는 업무프로세스와 연계하여 변화요인 대한 측정 및 평가,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건설분야에서의 변화관리에 관한 연구는 조직, 리더쉽, 사상 등의 인문/사회학적 측면에 국한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용도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체계적인 변화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리스크 기반의 변화요인을 추출할 수 있는 MECA(Metrix for Evaluation of Risk based Configuration factors Alternatives)방법론과 변화에 대한 사업비, 사업기간, 리스크를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3DAM(Three-Dimensional Area Measurement Method)과 CII(Configuration Innovation Index) 방법론을 개발하여,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변화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테에다소나무림(林)과 엘리오티소나무림(林)의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지위지수(地位指數) 곡선(曲線)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Estimation of Site Index Curves for Loblolly Pine(Pinus taeda L.) and Slash Pine(Pinus elliottii Engelm.)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285-291
    • /
    • 1999
  • 미국(美國) 남부(南部) 지역(地域)의 주요(主要) 경제(經濟) 조림수종(造林樹種)인 테에다소나무(Pinus taeda L.)와 엘리오티소나무(Pinus elliottii Engelm.)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지위지수식(地位指數式)을 개발(開發)하였으며, 지위지수(地位指數)의 값들에 대한 오차(誤差)의 크기를 규명(糾明)하기 위하여 영구적(永久的)으로 설치(設置)된 plot으로부터 측정(測定)된 data sets을 이용(利用)하였다. 분석(分析)에 이용(利用)된 자료(資料)는 3년(年)을 측정주기(測定週期)(measurement cycle)로 하여 측정(測定)하였으며, 각각(各各)의 누적(累積) 측정(測定) 주기(週期) 자료(資料)와 이들 모두를 종합(綜合)한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였다. 최종적(最終的)인 지위지수(地位指數) 예측식(豫測式)의 유도(誘導)는 모든 측정(測定) 자료(資料)를 종합(綜合)하여 Chapman-Richards의 생장함수식(生長函數式)을 사용(使用)하였으며, 이를 기초(基礎)로 하여 두 수종(樹種)의 동형(同形)(anamorphic) 지위지수(地位指數) 곡선(曲線)을 작성(作成)하였다. 임령(林令)의 변화추이(變化推移)에 따른 지위지수(地位指數)값에 대한 오차(誤差)의 크기를 규명(糾明)하기 위하여, 최종적(最終的) 측정주기(測定週期)의 누적(累積)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한 지위지수(地位指數) 예측치(豫測直)와 각각(各各)의 주기별(週期別) 누적(累積)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한 지위지수(地位指數) 예측치(豫測直) 간의 차이(差異)에 대한 절대(絶對) 평균치(平均値)를 사용(使用)하였다. 그 결과(結果), 지위지수(地位指數)의 값들은 임령(林令)이 5년(年) 이하(以下)에서 예측(豫測)되었을 경우(境遇), 두 수종(樹種) 모두 절대치(絶對値)의 평균(平均) 오차(誤差) 약(約) 5 meter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임령(林令)이 5년(年) 이하(以下)인 유령(幼令) 임분(林分)에 대한 지위지수(地位指數) 값의 예측치(豫測直)들은 많은 오차(誤差)를 내포(內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判斷)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