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security law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8초

Clustering Keywords to Define Cybersecurity: An Analysis of Malaysian and ASEAN Countries' Cyber Laws

  • Joharry, Siti Aeisha;Turiman, Syamimi;Nor, Nor Fariza Mohd
    • 아시아태평양코퍼스연구
    • /
    • 제3권2호
    • /
    • pp.17-33
    • /
    • 2022
  • While the term is nothing new, 'cybersecurity' still seems to be defined quite loosely and subjectively depending on context. This is problematic especially to legal writers for prosecuting cybercrimes that do not fit a particular clause/act. In fact, what is more difficult is the non-existent single 'cybersecurity law' in Malaysia, rather than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10-related cyber security acts. In this paper, the 10 acts are compiled into a corpus to analyse the language used in these acts via a corpus linguistics approach. A list of frequent words is firstly investigated to see whether the so-called related laws do talk about cybersecurity followed by close inspection of the concordance lines and habitually associated phrases (clusters) to explore use of these words in context. The 'compare 2 wordlist' feature is used to identif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the 10 Malaysian cybersecurity related laws against a corpus of cyber laws from other ASEAN countries. Findings revealed that ASEAN cyber laws refer mostly to three cybersecurity dominant theme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technological solutions, events, and strategies, processes, and methods, whereas Malaysian cybersecurity-related laws revolved around themes like human engagement, and referent objects (of security). Although these so-called cyber related policies and laws in Malaysia are highlighted in the National Cyber Security Agency (NACSA),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to combat cybercrimes remain uncertain.

Trends on U.S. Cyber Security Event Notifications and its Implications

  • Byun, Ye-Eun;Shin, Ick-Hyun;Kwon, Kook-Heui;Kim, Sang-Woo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49-451
    • /
    • 2015
  • When cyber attacks are discovered in nuclear facilities, licensees are required to notify regulatory organizations for quick action. This also helps regulatory organizations to strengthen regulatory capabilities for cyber security. Currently the U.S. issued the final draft rule for Cyber Security Event Notifications. Domestic regulatory activities being at an early stage for cyber security need to implement law for Cyber Security Event Notifications. Since the current laws are focused on the aspect of safety, they are in need of more specific laws for cyber security.

국내 관련 법과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의 제정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Cyber Security Act through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 김성현;이창무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9-35
    • /
    • 2018
  • 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오늘날, 사이버공격은 초국가적인 형태로 민간과 공공 구분 없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지난 2009년의 DDOS 사건을 포함하여 청와대, 언론, 금융기관 전산 시스템 마비 등 사이버 위협은 갈수록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기본법이 존재하지 않고, 국내의 여러 법률에 관련 내용이 산재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는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내용의 법 적용 및 판단 근거에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2006년 '사이버위기 예방 및 대응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었지만 폐기되었고, 이후 꾸준히 발의되었지만 기존 법률과의 중복문제 및 개인정보침해우려 등으로 번번이 통과가 무산되었다. 가장 최근 발의안은 '국가사이버안보법안'으로 2017년 1월 정부가 발의하였다. 이 법안은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기본법의 부재를 해결하고, 사이버안보위기시의 대응 능력 강화 및 안보력 함양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을 사이버안보와 관련된 국내의 기존법과 비교 분석을 통해 그 필요성을 고찰하고, 개선점을 제언함으로써 사이버안보 기본법으로서의 '국가사이버안보법안'의 올바른 제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Cyber threats: taxonomy, impact, policies, and way forward

  • Malik, Annas W.;Abid, Adnan;Farooq, Shoaib;Abid, Irfan;Nawaz, Naeem A.;Ishaq, Kashif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7호
    • /
    • pp.2425-2458
    • /
    • 2022
  • The continuous evolution and proliferation of computer technology and our increasing dependence on computer technology have created a new class of threats: "cyber threats." These threats can be defined as activities that can undermine a society's ability to maintain internal or external order while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Cyber threats can be main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namely cyber-terrorism and cyber-warfare. A variety of malware programs are often used as a primary weapon in these cyber threats.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work has been published covering different aspects of cyber threats, their countermeasures, and the policy-making for cyber laws.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research conducted in various important aspects of cyber threats and provides synthesized information regarding the fundamentals of cyber threats; discusses the countermeasures for such threats; provides relevant details of high-profile cyber-attacks; discusses the developments in global policy-making for cyber laws, and lastly presents promising future directions in this area.

주요국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Cyber Security Governance Analysis in Major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 주문호;권헌영;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59-1277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위협이 일상화되었으며, 그 범위 또한 단순한 개인의 장난과 사이버 범죄 수준을 넘어 대규모 범죄조직과 국가 주체가 개입된 사이버 테러 및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빠르게 국가차원의 대응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도 정보통신 강국에서 사이버보안 취약국의 지위로 순식간에 전락할 것이며, 우리의 발달한 정보통신망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시설이 아니라 국민 생활에 큰 위협을 가져오는 공격의 매개체가 될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은 민 관 군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분야의 위협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하며 유사 시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때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각 부처, 각 주체들의 역할과 책임, 권한이 명확하게 부여되어야 하며, 이를 관리 조율하며 소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차세대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정립을 위해 최근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을 발표하여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체계를 신속히 정비해나가고 있는 미국, 독일, 영국,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법령, 조직 및 추진 부처별 역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의 주요 사이버보안 기능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해당 분류 기준에 따라 국가 사이버보안 기능별 담당기관과 수행 전략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운항승무원 전자비행정보장치(EFB) 사용에 따른 사이버보안 법률 및 정책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ybersecurity Legislation and Policies in Response to the Use of EFB by Flight Crew)

  • 강민호;전상훈;황호원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2-81
    • /
    • 2023
  • The use of EFB (Electronic Flight Bag) has expanded, providing convenience to flight crews by minimizing paper usage within aircraft and offering the latest information, operability, and convenience related to aircraft operations. EFBs provide flight-sensitive information such as aircraft performance calculations, airport diagrams, routes, and approach procedures. For these information, EFBs connect to the cyber environment through Wi-Fi or self-contained data communication, allowing access to cloud-based systems for information updates, with administrators uploading the latest information for retrieval. However, in contrast to the evolving aviation technology, there is currently no legislation or security policy in place to maintain the security of EFBs, leaving them exposed to potential cyber threats. Therefore, improvements such as revising relevant laws to address potential cyber threats targeting EFBs and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FB management systems are necessary.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for amending laws related to EFB security in response to cyber threats and suggests methods for enhancement.

정보사회에 있어서 '안전국가' 법규의 정립방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of "Safe Country" Laws and Regul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 김현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1-163
    • /
    • 2013
  • It is no doubt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key factor of national safety. Information technology is positively useful for national security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detection, criminal investigation, disaster management, and national defense. However, it might be a threat to the security as we saw in the examples such as '3.4 DDoS attacks' and 'Nong-hyup Computer Network Failure.' Although the effect that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upon the national security is immense, the current legal system does not reflect these changes well. National security should be kept during 'prevention-response-recovery' process regardless it is in the online on offline. In addition, public administration for national security should be based on laws. However, the current legal system is lack of legislative basis on cyber and physical disaster, and the laws on the response to disaster might cause confus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legal system on national securit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based on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legal concept for 'national security'.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01-304
    • /
    • 2016
  • 사이버세계는 국가와 국민의 인프라를 구성하고 통제한다. 사이버 공격과 개인정보유출로 국민경제 피해 및 국가 안보가 위협당하고있다. 2014년 12월 사이버 해킹공격으로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자력 냉각시스템 설계도면이 유출된적이 있으며,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 KBS 방송국 해킹 등 사이버사고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고있으며, 앞서가는 첨단 기술로 무장한 해커의 공격을 막기는 어려우나 인터넷 정보화 사회에서 형식적인 요건으로 개인정보보호법을 지켜야 하는 개인정보책임자 양성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주요국의 사이버테러 대응체계와 시사점 분석 - 미국·영국·독일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ntries cyber terrorism Response System and Implications - Focusing on Analyzing the U.S., U.K. and Germany Cases -)

  • 권오국;석재왕
    • 시큐리티연구
    • /
    • 제49호
    • /
    • pp.187-214
    • /
    • 2016
  • 사이버 영역에 대한 의존성이 심화와 현대사회의 상호연계성 강화로 인해 중요한 기반 시설이나 조직에 대한 사이버 테러는 매우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최근 한국의 국가기관을 비롯한 금융전산망에 대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능화 고도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핵심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북한의 사이버공격은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함께 사회혼란을 유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영국 등 선진국들의 사이버 테러 법률 및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들 국가들의 대테러 전략은 안보환경, 제도, 문화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범정부차원의 대테러 업무 통합 협력 시스템 구축, 새로운 제도와 기관의 신설, 수사 정보활동 및 처벌 규정의 강화로 구체화된다. 한편, 우리의 경우 사이버 보안을 규율하는 일반법이 부재한 상황에서 개별 법률형태로 산재해있다. 따라서 우리는 선진국들의 사이버테러 대응 법적, 정책적 대응 동향을 검토 적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는 사이버안보법 제정과 함께 사이버테러 사전 예방 및 복구 지원 등 위기관리 강화, 국가차원의 합동대응팀 운영, 민간 단체의 지원과 협조 필요성 등이 요구된다.

  • PDF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사이버전 대비를 중심으로 (A Plan for Strengthening Cyber Security Capability towar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Preparation of Cyber Warfare)

  • 김호중;김종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3-132
    • /
    • 2018
  • 북한의 사이버 전력은 대부분 사회기반과 첨단무기체계 운용시스템이 네트워크로 구축되어 있는 한국에게는 심각한 안보적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정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격 사례를 위협 유형과 목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인 사이버 방호 및 공격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국가차원에서 총괄할 수 있는 통합적 사이버 안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국내 사이버 관련 법제정이 필요하다. 넷째, 다자간 지역 내 사이버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평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사시 완전한 전쟁수행을 위해 한국은 사이버 안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