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Cyber Security Act through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Kim, Sung-Hyun (중앙대학교 대학원 산업융합보안학과)
Lee, Chang-Moo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Security Journal / v., no.54, 2018 , pp. 9-3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uring the recent years, cyber attacks have been increasing both in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Those include the DDOS cases in 2009, the Blue House cyber attack, bank hackings etc. Cyber threa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However, there is no basic law related to cyber security at present, and regulations related to cyber security are scattered in various domestic laws. This can lead to confusion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d difficult to grasp the regulations related to cyber secur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bill on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crisis was initiated in 2006, but it has been abrogated. Since then, it has been repeatedly proposed, but it has been abrogated repeatedly due to the overlapping of existing laws and concerns about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most recent initiative was the National Cyber Security Act, which wa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January 2017. The act focuses on resolving the absence of a basic law related to cyber security, strengthening its responsiveness in the event of a cyber security crisis, and fostering security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yber Security legislation as a basic law of cyber security by examining the necessity of National Cyber Security legislation through comparative legal analysis with existing domestic laws related to cyber security and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Keywords
Cyber Security; Cyber Security Law; Cyber Attack; Cyber Terror; National Cyber Security A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오국, 석재왕 (2016). 주요국의 사이버테러 대응체계와 시사점 분석 -미국.영국.독일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9, 185-214.
2 김도승 (2017). 국가 사이버안보의 법적 과제. 미국헌법연구, 28(2), 99-130.
3 김문성 (2016). 사이버테러 국가대응체계 구축방안 : 법률체계와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17(1), 161-184.
4 김재광 (2017). 사이버 안보위협에 대한 법제적 대응방안. 법학논고, 58, 145-177.
5 박상돈, 김인중 (2012). 한국과 미국의 사이버보안 단계별 법제도 비교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2(4), 33-40.
6 박웅신 (2013). 복합적 위험사회에서 사이버 테러 규제방안에 대한 연구. 법제처 미래융합법제 연구보고서, 177.
7 신재헌, 김용현 (2016). 사이버 상의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방안. 한국경찰연구, 15(3), 75-104.
8 윤병훈, 성용은 (2016). 한국 사이버테러 방지를 위한 효과적 대응방안. 융합보안논문지, 16(2), 11-17.
9 임진대 (2017). 국가 사이버안보에 관한 법률안.국가사이버안보법안 국회정보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검토보고서. 국회 정보위원회,
10 장신 (2015). 사이버공격과 Jus in Bello. 국제법학회논총, 60(4), 199-226.
11 정영도.정기석 (2016). 북한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16(6-1), 43-50.
12 채재병 (2013). 안보환경의 변화와 사이버안보. 정치정보연구, 16(2), 171-193.
1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사이버 보안법제 선진화 방안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1-진흥-라-02, 292.
14 ITU Recommendation. (2008). Overview of Cybersecurity, ITU X-1205, 2.
15 O. Hathaway el al. (2012). The Law of Cyber-Attack. ICalifornia Law Review, Inc., 100(4), 817-885.
16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대통령훈령 제316호)
17 국가정보화 기본법(법률 제14905호)
18 군사기밀 보호법(법률 제13503호)
19 군형법(법률 제14183호)
20 개인정보 보호법(법률 제14839호)
21 정용기 (2016). 우리나라의 사이버 안보 위협현황과 대응방안. 경찰학논총, 11(4), 189-215.
22 정준현 (2015). 국가사이버안전법제의 방향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39(4), 277-317.
23 보안업무규정(대통령령 제28211호)
24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14839호)
25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14591호)
26 전기통신사업법(법률 제14839호)
27 전자금융거래법(법률 제14828호)
28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법률 제13768호)
29 전자서명법(법률 제14839호)
30 전자정부법(법률 제14914호)
31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법률 제14839호)
32 정보통신기반 보호법(법률 제14839호)
33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14839호)
34 형법(법률 제1371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