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

검색결과 4,516건 처리시간 0.024초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 사이버전 대비를 중심으로 (A Plan for Strengthening Cyber Security Capability toward North Korea: focusing on the Preparation of Cyber Warfare)

  • 김호중;김종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3-132
    • /
    • 2018
  • 북한의 사이버 전력은 대부분 사회기반과 첨단무기체계 운용시스템이 네트워크로 구축되어 있는 한국에게는 심각한 안보적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대북 사이버 안보역량 강화를 위해 한국정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대남 사이버 공격 사례를 위협 유형과 목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극적인 사이버 방호 및 공격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국가차원에서 총괄할 수 있는 통합적 사이버 안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국내 사이버 관련 법제정이 필요하다. 넷째, 다자간 지역 내 사이버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북한의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평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유사시 완전한 전쟁수행을 위해 한국은 사이버 안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 PDF

사이버무기 분류체계에 관한 시론 (A Study on the Cyber Weapons Classification System)

  • 이용석;권헌영;최정민;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905-917
    • /
    • 2018
  • 주권국가는 외국으로부터 영토에 대한 침해를 받으면 자위권을 발동하거나 안보리 승인을 받아 전쟁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전쟁은 자위권의 필요성과 비례성의 원칙하에 진행된다. 사이버공격 발생 시 공격수단과 효과 분석을 통해서 비례적 대응을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사이버무기에 대한 분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이버무기에 대한 정의와 분류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자위권 조치를 위한 필요성과 비례성에 따라 합리적이며 합법적인 대응을 가능케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무기를 "군이 작전목적에 따라 사이버공간에서 사이버기술을 사용하여 정보수집, 공격, 방호활동 등을 하는 수단"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기존의 무기체계 현황과 공개된 사이버무기 사용 사례를 바탕으로 사이버무기를 (1) 정보수집(획득)용 사이버무기, (2) 공격(제압)용 사이버무기, (3) 방호용 사이버무기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기능적 분류에 따라 비례적 대응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사이버공격에 대한 비례성 원칙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이버무기 효과에 기반 한 등급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본 연구는 비례성 원칙의 한 축을 이루는 사이버무기의 분류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사이버 공간과 물리 공간이 연계된 사이버 무기체계의 효과성 분석 프레임워크 연구 (A Study on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Cyber Weapon Systems Associated with Cyberspace and Physical Space)

  • 장지수;김국진;윤석준;박민서;안명길;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11-126
    • /
    • 2022
  • 과거 물리적 공간에서만 수행되던 작전이 사이버 공간을 포함하는 작전으로 바뀌면서 사이버 공격이 사이버 시스템을 활용한 무기체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이버와 연계한 물리적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를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국군은 물리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가 담긴 미군 JMEM을 확보해 운용하고 있다. JMEM은 재래식 무기체계에만 적용되어 사이버 무기체계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물리전의 MOE와 MOP를 기반으로 사이버 무기체계 효율성 분석을 위한 사이버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물리 작전에서 무기체계 효과 매뉴얼로 활용되고 있는 JMEM과 연계하여 사이버 공간에서의 전투 결과와 물리 작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임무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 및 시험하였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를 입증하기 위해 국내외 군사 매뉴얼과 선행연구를 통해 작전 시나리오를 분석 및 설계하고 자산을 정의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사이버 임무 효과 값의 감소가 클수록 물리적 작전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다양한 작전에서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물리적 작전의 영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전장의 지휘관이 빠른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Cyber Education Programs for Pharmacists in Korea

  • Song, Su-Eun;Lee, Suk-Hyang;Cho, Jung-Hwan;Shin, Hyun-Tae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1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 /
    • pp.321.2-322
    • /
    • 2001
  • PDF

Automated Cyber Threat Emulation Based on ATT&CK for Cyber Security Training

  • Kim, Donghwa;Kim, Yonghyun;Ahn, Myung-Kil;Lee, Heej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71-80
    • /
    • 2020
  • 사회가 초연결 사회가 되어 갈수록 우리는 더 많은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분석결과와 MITRE ATT&CK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사이버 모의 위협을 모델링하고 실제 사이버 보안 훈련 시스템에서 모의 된 사이버 위협을 생성할 수 있는 CyTEA를 개발하였다. 모의 된 사이버 위협이 실제 사이버 위협 수준의 유효성을 갖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절차적, 환경적, 결과적 유사성을 기준으로 모의 수준을 알아보고 또 실제 사이버 보안 훈련 시스템에서 모의 위협을 실행하면서 방어훈련 시 예상되는 위협의 실제 위협실행 결과와 모의 위협의 실행 결과가 동일하여 실제 사이버 위협에 준하는 훈련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137-1142
    • /
    • 2017
  • 사이버 해킹공격과 사이버테러는 국민 생활에 피해를 주고, 결국엔 국가 안보가 위협을 당하고 있다. 사이버 해킹공격으로 원자력 냉각시스템 설계도면이 유출되었으며, 청와대 홈페이지의 해킹, KBS 방송국 해킹 등 사이버사고가 발생하였다. 정보통신기반보호법,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이 사이버공격의 책임을 지우고 있으나, 새로운 기술로 무장한 해커의 공격을 막기는 어렵다. 본 논문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연구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위한 지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웹 해킹, 시스템 해킹, 네트워크 해킹의 기술과 평가를 통해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제도를 도입한다. 사이버보안 전문가 자격증 운영과 취득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가 사이버안보를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한다.

계층적 침해자원 기반의 침해사고 구성 및 유형분석 (The Composition and Analytical Classification of Cyber Incident based Hierarchical Cyber Observables)

  • 김영수;문형진;조혜선;김병익;이진해;이진우;이병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39-153
    • /
    • 2016
  • 최근 침해정보공유센터와 기업의 보안시스템으로 부터 수집되는 침해사고의 수는 악성코드의 확산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으로 인해 침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침해사고 분석가들은 대량의 침해사고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에 직면한다. 이에 대한 기존의 해결책으로 다중 연관분석을 통한 유사침해사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침해사고 분석시스템이 있으나 이는 분석가에게 분석할 침해사고의 수를 축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을 뿐 침해분석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비현실적인 침해사고의 구성을 야기하는 침해자원 기준으로 침해사고를 분류하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침해사고를 기준으로 침해자원을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유사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통하여 신규 침해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유사한 침해사고 유형에 대한 정보를 침해사고 분석가에게 제시하는 침해사고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검증을 위하여 침해사고분석 모듈을 구현하였다. 제안 모델은 의미 있는 침해사고 구성과 유형 분류의 제공을 통해 실용성을 확대한다.

공격 원점 타격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전략 (Cyber kill chain strategy for hitting attacker origin)

  • 유재원;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99-2205
    • /
    • 2017
  • 현대 ICT 기술의 발달은, 국가와 사회에 인프라를 이용하여 사이버 세계를 구성하고 있다. 사이버 세계에서는 국경이 없다. 세계 각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목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사이버 킬체인 전략이 필요하다.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거나, 공격책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공격 원점지의 파악이 중요하다. 공격 원점지에 대한 타격을 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사이버 킬체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격 원점지를 분석하는 연구를 한다. 그리고 공격 원점지 타격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을 분석한다. 공격 원점지 타격을 위한 효율적이고 맞춤형 사이버 킬체인 전략을 연구한다. 사이버 킬체인 전략은 비대칭 전력으로, 핵과 미사일의 위력을 대치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공개출처정보의 정량화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사이버위협 예측 모델 (Cyber Threats Prediction model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using Quantification of 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

  • 이종관;문미남;신규용;강성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3
    • /
    • 2020
  • 사이버공격은 최근 몇 년간 더욱 더 진화하고 있다. 이렇게 고도화, 정교화된 사이버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최선의 대책 중 하나는 사이버 공격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다. 사이버위협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와 노력이 요구되며 최근 정보획득의 핵심인 공개출처정보(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를 활용한다면 사이버위협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개출처정보를 활용하여 사이버위협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공개출처정보로부터 사이버위협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구축된 DB에서 사이버위협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를 선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DB를 구축하고, 축적된 DB 요소 중 핵심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AHP 기법으로 분석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출처정보로부터 축적된 사이버공격 DB를 활용하여 사이버위협을 정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위협 예측 모델을 제안한다.

사이버 공간의 자아에 대한 인지가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ption Toward Cyber Identity on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 김수연;황현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3-100
    • /
    • 2005
  • 본 논문은 인터넷 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이버 공간상의 자아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사이버 자아에 대한 정체성 강화가 구매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한다. 사이버 자아를 크게 개인적인 자아와 사회적인 자아로 구분하였으며 5개의 구성요소를 설정하였다. 아바타와 온라인 게임에서의 능력치를 개인적 자아 형성요소로, 커뮤니티와 메신저를 사회적 자아의 형성요소로 설정하였으며 블로그는 개인적인 자아와 사회적 자아에 동시에 속하는 요소로 설정하였다. 사이버 자아를 강화시키기 위해 인터넷 사용자 들이 아바타, 온라인 게임의 아이템, 배경 그림 등의 사이버 아이템을 구매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이버 자아의 인지와 해당 웹사이트에 대한 충성도 및 구매의도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를 구성하는 요인을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한 후 이러한 요인이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