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anidin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36초

Photoprotective Potential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Fruits against UV Irradia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s

  • Lyu, Su-Yun;Park, Won-Bo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0권2호
    • /
    • pp.201-206
    • /
    • 2012
  • Ultraviolet (UV) A penetrates deeply into the skin and induces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causing damage to fibroblasts, which leads to aging of the skin. However, the body has developed an antioxidant defence system against the harmful effects of ROS. Enzymes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play critical roles on the removal of excess ROS in living organisms.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nthocyanins (cyanidin 3-galactoside and cyanidin 3-lathyroside) from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DA) fruits were investigated by xylenol orang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antioxidant enzyme assay. As a result, generation of $H_2O_2$ and lipid peroxide induced by UVA-irradia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N) cells was reduced by treatment of anthocyanins. Also, augmented enzyme (SOD and CA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UVA-irradiated cells when treated with anthocyanin.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anthocyanins from ADA fruits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protection of fibroblast against the damaging effects of UVA irradiation. Furthermore, anthocyanin may be a good candidate for antioxidant agent developm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Mulberry (Morus spp.) Cake

  • Shin, Young-Woong;Lee, Seong-Kwon;Kwon, Yun-Ju;Rhee, Soon-Jae;Choi,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4호
    • /
    • pp.326-332
    • /
    • 2005
  • A methanol extract of mulberry cake prepared from mulberry fruits (Morus spp.) was shown to have strong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Elev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ulberry cake by a combination of Diaion HP-20, silica gel (or polyamide),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ies, preparative HPLC and TLC.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as procatechuic acid (PCA), caffeic acid (CA), cyanidin 3-O-$\beta$-D-glucopyranoside (CyG) and cyanidin $3-O-\beta­D-rutinoside$ (CyR), rutin (RT), isoquercitrin (IQT), astragalin (AG), quercetin (QT), morin (MR), di-hydroquercetin (DHQ), and 4-prenylmoracin (PM) by spectral analysis and the published data. Most of the phenolic constituents were effective scavengers of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s, and especially caffeic acid and 4-prenylmoracin showed potent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which their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well-known antioxidant, BHT (p< 0.05). Dehydroquercetin and quercetin also exhibited strong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berry cake containing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may be useful as natural antioxidants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추출용매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on extraction solvents)

  • 박혜미;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8-7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페놀성물질 및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아로니아의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50% 에탄올 추출 및 50%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용매에 따른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열수 및 50% 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당 함량은 35.56~37.68 g/100 g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50% 메탄올 추출물이 395.10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0%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각각 318.61 mg/100 g과 252.82 mg/100 g이었다. 50% 메탄올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조성은cyanidin-3-O-galactoside, cyanidin-3-O-arabinoside 및 cyanidin-3-O-glucoside순이었으며, 100 g당 각각 364.65 mg, 163.06 mg 및 35.69 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 함량은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21.38 mg/g 및 122.43 mg/g으로 열수추출물 80.14 mg/g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ORAC은 열수 추출물,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715.66{\mu}M/g$, $768.15{\mu}M/g$$780.77{\mu}M/g$로 나타나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조건의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50% 에탄올 및 50% 메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7.96~70.01% 및 8.90~69.2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FRAP는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57.14{\sim}817.87{\mu}M$이었고 50% 메탄올 추출물이 $67.32{\sim}812.78{\mu}M$로 나타나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의 농도에서 23.03~33.82%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자궁경부암세포주인 HeLa에 암세포생육 저해활성을 분석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이 $100{\sim}1,000{\mu}g/mL$ 농도에서 6.58~76.86%로 유의적으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50% 에탄올 추출방법이 아로니아의 생리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적합하였으며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부산물인 과피로부터 항산화 물질 최적 추출방법 확립 (Optimal Extract Methods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Coat of Grape Dreg)

  • 유미애;정혜경;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4-140
    • /
    • 2004
  • Anthocyanin색소의 추출은 일반적으로 산을 첨가하면 그 추출효율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어진 바가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mpbell early 포도의 부산물인 과피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최적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ethanol 용매에 산의 종류를 달리하여 추출한 후 anthocyanin, resveratrol, quercetin함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anthocyanin색소 중 peonidin-3-glucoside는 0.1% HCl을 첨가한 추출물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cyanidin-3-glucoside는 오히려 산을 첨가하지 않은 ethanol 용매에서 추출한 campbell early 과피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페놀성 화합물인 resveratrol과 quercetin의 함량은 0.1% HCl을 첨가한 campbell early 과피 추출물에서 각각 8.1 mg/100g coats로 다른 종류의 산을 처리한 것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 측정에서는 산을 첨가한 추출물 모두 15분 이내에 모든 반응이 정지되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Lecithin을 이용한 TBARS는 citric acid와 phosphoric acid, formic acid를 첨가한 경우 각각 59.3, 60.5, 56.8%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ampbell early 과피에 0.1% HCl가 첨가된 ethanol용매로 추출시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Cyanidin-3-glucoside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오디즙 가공방법 (Processing method of mulberry fruit juice improved C3G stability)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9-163
    • /
    • 2013
  • 오디의 기능성이 언론에 홍보됨에 따라 오디 소비 촉진 및 가공제품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오디즙 가공시 기능성 물질인 C3G 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기초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디의 이용확대를 위해 항산화색소 C3G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오디즙 가공방법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오디와 서당의 비율을 1 : 1로 하여 용기에 담고 식품첨가제인 구연산을 0.3% 첨가하는 것이 C3G 함량과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올리고당의 경우 구연산을 첨가하는 것이 오히려 항산화능을 떨어뜨리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자일리톨의 경우 가공방법 중 가장 낮은 C3G 함량을 나타냈으나 구연산을 첨가하면 색소함량과 항산화능을 향상시키므로 반드시 구연산을 첨가한다. 2. 보관용기(투명유리병, 갈색유리병, 알루미늄 호일, 녹색유리병, 반투명유리병)보다 구연산의 첨가가 항산화색소 C3G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오디즙 가공시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3분간 blanching 하여 색소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불활성화 시키는 방법은 항산화색소 C3G 함량을 다소 떨어뜨리므로 냉동오디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항산화능에 있어서는 보존기간동안 타 처리구에 비해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석류 과실 부위별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이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of Punica granatum fruit parts on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 박정숙;천상욱;문은우;정철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3-559
    • /
    • 2016
  • 고흥산과 캘리포나이산의 석류나무(Punica granatum L.) 과실을 과육, 종자 및 외과피로 분리하여 부위별 총 페놀성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항암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석류과실의 총 페놀성 함량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높았고, 특히 외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vitamin 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주(Calu-6)에 대한 추출물의 항암활성은 외과피>종자>과육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흥산 석류 과실 부위별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외과피>주스>종자 순으로 나타났고, 함유된 주요 안토시아닌은 Cy3,5G로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이 Cy3G,Dp3,5G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성 함량과 Calu-6 폐암세포주 활성 간이 $r^2=0.9706$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총 페놀성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간, DPPH 라디컬 소거능과 Calu-6 폐암세포주 활성 간 순으로 상관계수($r^2$)가 각각 0.8904, 0.8309로 나타나 상호 연관이 있음을 나타냈다.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 Kil, D.Y.;Ryu, S.N.;Piao, L.G.;Kong, C.S.;Han, S.J.;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2호
    • /
    • pp.1790-1798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yanidin 3-glucoside (C3G) high black rice bran 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of pigs. In Exp. I, a total of fifteen pigs (19.91${\pm}$1.80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ssay of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measurements. All pigs were allotted to 5 treatments with 3 replicates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RD) in an individual metabolic crate. Treatments included 1) CON: basal diet, 2) BRB-2: basal+brown rice bran 2%, 3) BRB-4: basal+brown rice bran 4%, 4) CRB-2: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2% and 5) CRB-4: basal+C3G high black rice bran 4%.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crude fat (CF), crude ash (CA) and crude fiber (CF)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Serum triglyceride (TG)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not affected by addition of C3G high black rice bran. However, at the end of experiment, pigs fed rice bran showed decreased tendency i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Especially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compared to pigs fed brown rice bran (p<0.03). There was numerically lower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levels of black rice bran in the diet. In terms of serum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even though pigs fed CRB-4 showed the lowest GOT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pigs. In Exp. II, sixteen finishing pigs (average initial body weight 89.96${\pm}$0.35 kg)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numerical decrease in ADG and increase in FCR while not effecting feed inta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ve weight, carcass weight, carcass rate, backfat thickness and carcass grade. However,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tended to show lower backfat thickness than pigs fed basal diet. Pigs fed C3G high black rice bran showed a tendency of decreased TBA value than pigs fed basal diet, although there was no overall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measuremen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eeding C3G high black rice bran to pigs. However, C3G high black rice bran might have an effect on lowering serum total cholesterol and decrease the TBA value in pork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se effects might be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C3G high black rice bran.

흑미의 자색종자과피 형질을 결정하는 대립유전자와 안토시아닌 생성의 상호관계 (Allelic Gene Interaction and Anthocyanin Biosynthesis of Purple Pericarp Trait for Yield Improvement in Black Rice)

  • 라만 모하마드 모미너;이경은;강상구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27-736
    • /
    • 2016
  • 쌀은 인류가 가장 많이 먹고 있는 주식이다. 최근 백색미, 적색미, 갈색미, 녹색미 그리고 흑색미 등 다양한 품종들이 소비되고 있다. 고농도의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는 흑미는 영양가뿐만 아니라 암 발생 예방 효과가 있어 세계적으로 그 소비가 증가되고 있다. 유전학적으로 흑미는 cyanidin-3-O-glucoside (C3G)의 합성경로를 조절하는 두 개의 유전자 Pb와 Pp가 관여하는 Purple Pericarp (Prp) 유전형질에 의하여 종자과피의 색이 결정된다. 1921년 Nagai가 흑미의 유전현상을 일으키는 Prp 형질을 보고한 이 후 Prp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그 기능 분석에 관한 많은 연구가 보고 되었으나 아직도 많은 부분이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안토시아닌의 함량이 높은 기능성 흑미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흑미는 일반 재배 벼에 비하여 상대적인 수확량이 매우 적어 농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흑미 종자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Prp 유전자의 유전현상의 특성과 안토시아닌 합성 경로 그리고 수확량에 관한 유전학적 관점에서 내용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