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ved glas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5초

축방향으로 압축을 받는 GFRP 원통형 판넬의 유한요소 모델링 (Finite Element Modelling of Axially Compressed GFRP Cylindrical Panels)

  • 김기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5-25
    • /
    • 1993
  • 복합재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복합재료 구조물의 설계기준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금속 셀의 좌굴에 대한 설계시에는 초기 결함의 영향과 탄성임계좌굴응력을 근거로 한 녹다운계수(Knock-down factor)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나 복합재료 쉘의 좌굴에 대한 설계시에는 초기 결함에 대한 민감도가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복합재료 쉘의 좌굴거동에 영향을 주는 설계변수는 많기 때문에, 쉘의 설계시 이 변수들로 인한 초기 결함 민감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많은 실험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실험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서는 이미 검증된 수치모델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쉘요소를 개발하는데 사용된 이론을 요약, 정리 하였으며 수치예제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쉘요소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압축을 받는 GFRP 곡선형 판넬의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각 변수들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좌굴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 모델링에 의해 고찰하였다. 방법으로서 초기 결합 및 두께의 진폭을 고려한 비선형 해석과 고유치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녹다운 계수를 산출하였다.

  • PDF

미국 아르데코 건축의 근대성과 지역주의 - 마이애미 해변을 중심으로 - (Modernity and Regionalism of American Art Deco Architecture - Focused on Miami Beach -)

  • 박경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25-134
    • /
    • 2011
  • Art Deco is a decorative and eclectic design style, popularized at the interwar period. The term Art Deco derives from the Exposition Internationale des Arts D$\acute{e}$coratils et Industriels Modernes held in Paris in 1925. The aim of the exposition was to create new modern aesthetics. This exposition introduced the modern decorative and industrial art to the world and influenced all designers of area, including architects, interior designers, industrial designers, craftsmen, fashion designers, etc. Art Deco designers applied inspirations from a variety of sources and movements such as the Cubist abstract, the Neoclassical refinement, Egyptian exotic elements, Babylonian and Aztec temples, the machine aesthetic, avant-garde movements, etc to their modern works. Art Deco style rapidly spread all over the design areas nationwide in America. In Art Deco architecture, in particular, its inception was French but its domination was American. Skyscrapers, airplanes, automobiles, ocean liners, jazz, Hollywood film, streamline, and native Indian symbols are the defining features of American Art Deco. This study began from questions on how these features are expressed and stylized to decoration elements as the modern aesthetics in American Art Deco architecture.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ornamental and eclectic factors of Art Deco style and to define a concept of the modernity and the regionalism of Art Deco architecture in America.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decoration style of Art Deco architecture in America through the analysis of ornamental and eclectic factors reflecting diverse roots. It also analyzes the wide variety of building examples of American Art Deco which represent regionalism.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Art Deco architecture in Miami, Florida. Miami is one of typical cities that has the most unique regional aspects of 1920's to 1940's in Art Deco architecture. Miami Art Deco architecture reveals the tropical and nautical references such as streamlined and curved walls, exotic animal motifs, flora and fauna motifs, and marine motifs: use of glass block, porthole window, terra-cotta, and pastel color stucco.

터널 라이닝 구조체로서 활용을 위한 곡면 FRP-콘크리트 복합부재의 역학적 거동특성 분석 연구 (Study on mechan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ved FRP-concrete composite member for utilization as a tunnel lining structure)

  • 이규필;신휴성;김승한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49-158
    • /
    • 2011
  • 최근 장기 부식 등 일반적인 건설재료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체 재료로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선형의 섬유강화 복합재료를 아치형인 터널구조물의 부재로서 활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연구에서는 FRP 복합부재의 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수치해석적 사전검토 연구를 토대로, 터널 지보구조물로서 활용성 분석을 위한 FRP와 콘크리트 합성부재에 대한 하중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역학적 거동분석을 위하여 동일 조건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하중재하 실험 및 수치해석결과, FRP와 콘크리트 합성부재는 두 부재 계면의 휨 인장에 의한 전단거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대 한국상업공간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mmercial Interior Design in 1970's)

  • 문숙현;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50-157
    • /
    • 2009
  • In the 1970's the Interior Design Associations was established and the activity of youth designers who werecalled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nterior designers" were created.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mmercial interior design in the 1970's. The design methods include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actual proof research conducted. The frames of analysis were made by the background theories about Korean interior design, and the annual case studies were analyzed and estimated according to the design types. The design types were analyzed by the geometrical simplicity research, the romantic emotional expression, the Korean identity expression, the machine technical asthetic expression and the eclectic style with western classics. In the early 1970's, the abstract, brief, and simple expression were presented most frequently by the geometrical form and the repetition of the pattern. From the mid-1970's the romantic and emotional atmosphere of the youth culture that was popular at that time were expressed as vernacular design by the rough finishing of the natural materials such as plaster, brick, and wood floorings etc. The space such as a Korean food restaurant relates to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ims to be different through the expression by the Korean traditional patterns, furniture, and materials. In the late 1970's the metals and glass were used for the expression of the machine aesthetic form but was not popular because of the rare application. The type that revived the past western traditional form was presented by using the arch, dome, and the curved and luxurious moldings.

금형의 절삭가공에서 이론 모형 기반 표면거칠기 예측 결과의 실험적 모형 전환을 위한 인공신경망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Experimental Model Transition of Surface Roughness Prediction Results based on Theoretical Models in Mold Machining)

  • 김지우;이동원;김종선;김종수
    • Design & Manufacturing
    • /
    • 제17권4호
    • /
    • pp.1-7
    • /
    • 2023
  • In the fabrication of curved multi-display glass for automotive us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mold is a critical quality factor. However, the difficulty in detecting micro-cutting signals in a micro-machining environment and the absence of a standardized model for predicting micro-cutting forces make it challenging to intuitively infer the correlation between cutting variables and actual surface roughness under machining conditions. Consequently, current practices heavily rely on machining condition optimization through the utilization of cutting models and experimental research for force prediction.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employs a surface roughness prediction formula instead of a cutting force prediction model and converts the surface roughness prediction formula into experimental data. Additionally, to account for changes in surface roughness during machining runtime, the theory of position variables has been introduced. By leverag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y, the accuracy of the surface roughness prediction formula model has improved by 98%. Through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ology, the surface roughness prediction formula model, with enhanced accuracy, is anticipated to reliably perform the derivation of optimal machining conditions and the prediction of surface roughness in various machining environments at the analytical stage.

아르누보양식의 조형적 특성연구 - 르네랄리크.에밀갈레.루이스 컴포트 티파니.빅토르오르타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 of Art Nouveau Through the works of $Ren{\acute{e}}$ Lalique, Emile Galle, Louis Comfort Tiffany, Victor Horta)

  • 김은정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1권
    • /
    • pp.5-35
    • /
    • 2007
  • 예술을 논함에 있어 '과학의 진보'와 '인간의 정서'라는 두 가지 문제의 상충은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과학의 편리성, 그 이면에 존재하는 인간본연의 감성인 '자연'은 점차 크게 자리잡아갔다. 20세기말부터 성행하던 다소 삭막하게 느껴지는 미니멀리즘을 벗어나 점점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될 수 있는 자연주의가 강조되었고, '자연'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기계와 과학에 의해 삶이 양적으로 향상되어질수록,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연'에 대한 향수가 인간에게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자연'을 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아르누보양식의 표현요소를 도입하여, '자연'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아르누보는 자연물의 유기적인 형태로부터 모티브를 찾아 이것을 양식화하여 장식미술로 적용하였다. 이는 과거의 양식에서 인용과 절충을 반복하는, 역사주의적 전통을 과감히 개혁함으로써 현대디자인의 문을 열었고, 더불어 미술을 모든 생활에 실용화하려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의미를 갖는 양식이다. 신예술을 의미하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번성했던 아르누보는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 와서 재평가되고 수용되어 다양하고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를 근본으로 하는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에 오면서 내추럴리즘이 주류를 이루고, 여성스런 로맨티시즘이 유행하면서 패션, 가구, 유리 공예, 보석 공예 등의 다양한 장르의 예술에서 모티브로 부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르누보에서 나타난 식물모티브를 적용한 다양한 분야의 아르누보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형태적 요소와 표현요소의 특성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공통된 조형미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아르누보양식에서 나타나는 섬세하고 화려한 곡선의 장식미와 형태의 부드럽고 유려한 곡선표현의 효과적인 디자인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창의적으로 분석된 조형이미지로의 아르누보 식물모티브를 디자인에 새롭게 시도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PDF

패턴전사 프린팅을 활용한 리튬이온 배터리 양극 기초소재 Li2CO3의 나노스케일 패턴화 방법 (Nanoscale Pattern Formation of Li2CO3 for Lithium-Ion Battery Anode Material by Pattern Transfer Printing)

  • 강영림;박태완;박은수;이정훈;왕제필;박운익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3-89
    • /
    • 2020
  • 지난 수십년간 인류에게 핵심적인 에너지 자원이었던 화석연료가 갈수록 고갈되고 있고, 산업발전에 따른 오염이 심해지고 있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친환경 이차전지, 수소발생 에너지 장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과 관련한 새로운 에너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리튬이온 배터리 (Lithium ion battery, LIB)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으로 인해, 대용량 배터리로 응용하기에 적합하고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차세대 에너지 장치로 여겨진다. 하지만, 친환경 전기 자동차, 드론 등 증가하는 배터리 시장을 고려할 때, 수명이 다한 이유로 어느 순간부터 많은 양의 배터리 폐기물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폐전지에서 리튬 및 각종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공정개발이 요구되는 동시에,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사회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지의 재활용 전략소재 중 하나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대표적 양극 소재 Li2CO3의 나노스케일 패턴 제조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우선, Li2CO3 분말을 진공 내 가압하여 성형하고, 고온 소결을 통하여 매우 순수한 Li2CO3 박막 증착용 3인치 스퍼터 타겟을 성공적으로 제작하였다. 해당 타겟을 스퍼터 장비에 장착하여, 나노 패턴전사 프린팅 공정을 이용하여 250 nm 선 폭을 갖는, 매우 잘 정렬된 Li2CO3 라인 패턴을 SiO2/Si 기판 위에 성공적으로 형성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패턴전사 프린팅 공정을 기반으로, 금속, 유리, 유연 고분자 기판, 그리고 굴곡진 고글의 표면에까지 Li2CO3 라인 패턴을 성공적으로 형성하였다. 해당 결과물은 향후, 배터리 소자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박막화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다양한 기판 위에서의 리튬이온 배터리 소자의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