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formative character of Art Nouveau Through the works of $Ren{\acute{e}}$ Lalique, Emile Galle, Louis Comfort Tiffany, Victor Horta

아르누보양식의 조형적 특성연구 - 르네랄리크.에밀갈레.루이스 컴포트 티파니.빅토르오르타의 작품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06.20

Abstract

When it comes to art, the two conflicting themes of 'scientific progress' and the 'nature' have often motivated the advent of the new mode of arts. By the late 20th century, uniform and simplified mode of arts, inspired by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of that time, was gradually disillusioned by the contemporaries due to the adverse effect of science on human life. In this context, naturalism pursuing for harmony of human and the nature came up as an alternative to those living in the 21st century. The pendulum has swung from minimalism to naturalism. Though the quantitative improvement of human life cannot be denied, the uprise of such problems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degraded the quality of human life, which, eventually, shifted the attention to the theme - 'revival of naturality.' Therefore, this thesis intends to represent the modem interpretation of the 'revival of naturality' by applying the major expressions of Art Nouveau that also emphasized naturalism. Art Nouveau found its motifs from organic figures of natural beings and put them to designs of decorative arts. This carries a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Art Nouveau boldly revolutionized historicism, which only repeated adoption and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modes of arts, and opened it to the modem design with new attempts to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arts. Art Nouveau, which means 'new art', prosper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even after one century, it is highly appreciated, reviving as novel and vivid forms in this contemporary art. Art Nouveau based on naturalism has revisited our contemporary period when naturalism and feminized romanticism came into fashion and its common motifs revive in different jenre of arts such as fashion, furniture, glass works, and jewelry works. This study illustrates and analyzes the works of four major artists who gave a specific attention to botanical motifs of Art Nouveau and applies decorative beauty of highly sophisticated and organic curved lines and the expressional forms of botanical figures to design. Art Nouveau proved this; the nature herself is as beautiful as she can be. Within Art Nouveau, the true humanism can be revitalized with the 'revival of naturality'. This study rediscovered the boundless potential of moder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rt Nouveau in decorative art and design.

예술을 논함에 있어 '과학의 진보'와 '인간의 정서'라는 두 가지 문제의 상충은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과학의 편리성, 그 이면에 존재하는 인간본연의 감성인 '자연'은 점차 크게 자리잡아갔다. 20세기말부터 성행하던 다소 삭막하게 느껴지는 미니멀리즘을 벗어나 점점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될 수 있는 자연주의가 강조되었고, '자연'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기계와 과학에 의해 삶이 양적으로 향상되어질수록,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자연'에 대한 향수가 인간에게 더욱 절실하게 되었다. 이에 '자연'을 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내고자 아르누보양식의 표현요소를 도입하여, '자연'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아르누보는 자연물의 유기적인 형태로부터 모티브를 찾아 이것을 양식화하여 장식미술로 적용하였다. 이는 과거의 양식에서 인용과 절충을 반복하는, 역사주의적 전통을 과감히 개혁함으로써 현대디자인의 문을 열었고, 더불어 미술을 모든 생활에 실용화하려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의미를 갖는 양식이다. 신예술을 의미하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번성했던 아르누보는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 와서 재평가되고 수용되어 다양하고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자연주의'를 근본으로 하는 아르누보 양식은 현대에 오면서 내추럴리즘이 주류를 이루고, 여성스런 로맨티시즘이 유행하면서 패션, 가구, 유리 공예, 보석 공예 등의 다양한 장르의 예술에서 모티브로 부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르누보에서 나타난 식물모티브를 적용한 다양한 분야의 아르누보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형태적 요소와 표현요소의 특성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공통된 조형미를 분석하고자하였다. 아르누보양식에서 나타나는 섬세하고 화려한 곡선의 장식미와 형태의 부드럽고 유려한 곡선표현의 효과적인 디자인적용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창의적으로 분석된 조형이미지로의 아르누보 식물모티브를 디자인에 새롭게 시도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