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form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초

성인 임파워먼트 증진 관점에서 본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분석 (Analysis o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Empowerment Enhancement)

  • 황재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45-252
    • /
    • 2018
  • 평생학습사회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의 구조적인 변화가 성인친화적인 대학의 체제 개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8년 이후로 평생학습중심대학 육성사업, 평생학습 단과대학사업 등의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사업이 2015년 양대 사업을 통합한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성인의 학습욕구를 기반으로 성인친화적 교육과정, 성인학습자 지원시스템, 다양한 학습성과의 평가, 성인학습자의 임파워먼트와 같은 네 가지 분석 틀에 의해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학의 평생교육 체제 개편은 세대간 문화적응 및 통합과정을 통해 스스로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는 임파워먼트된 성인학습자의 촉진을 지향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후기 구조주의 교육과정과 새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제 중심 내용 구성 (Poststructural Curriculum and Topic-centered Framework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 곽영순;이양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의 일환으로 제7차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1차 과학교육 개혁은 학문의 구조라는 특정 범주가 다른 범주보다 중요하고 부각되는 구조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반면에 후기 구조주의라는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은 제2차 과학교육 개혁에서는 이러한 구조주의적 사고에 제동을 걸면서, 학생들이 갖는 학습 기회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을 내놓기 시작하였다. 제7차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 8개 교과목에 대한 현장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이수 비율과 대수능 응시 비율이 가장 낮은 두 과목인 지구과학 II와 물리 II는 '학습량이 많으며, 학생의 수준에 비하여 내용이 어렵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학습량과 수준을 적정화하려는 노력에 추가하여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체능계, 인문사회계 및 자연계 진학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각 과목Ⅰ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얻어 '주제 중심 내용 구성'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갖는 학습 기회라고 볼 때, 교육과정 연구는 학습자가 가져야 할 학습기회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추구해 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방향을 제안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입을 통하여 발현 관계를 명확히 확인해야 하는 추가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하게 된다.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제 수업에서의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활용 연구 (How Teachers Us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Lessons)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3호
    • /
    • pp.485-500
    • /
    • 2011
  • 수학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할 때 교육과정 도서(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등)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하여 시행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미국의 초등 교사들이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veryday Mathematics의 교육과정 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한 Everyday Mathematics가 가지는 교육과정 도서로써의 특징 요소들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나아가 Stein & Kim(2009)의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도서를 규명하는 특징 요소들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도서의 활용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다. 수집된 자료는 미국 초등 교사의 수학수업 관찰노트와 관찰 전후에 실시한 인터뷰, 수업 시간에 사용한 모든 문서와 자료, 그리고 Everyday Mathematics의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분석 결과, Everyday Mathematics는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cognitive demand)을 필요로 하는 수학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 퍼센트),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와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참조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도서에서 제시한 문제나 활동을 변형하거나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지적 노력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들의 27퍼센트만이 같은 수준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서 실행 단계로 이동할 때 수학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수학 과제를 교사가 같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대로 지원해 주지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평가와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연구의 종합 (A Study on Alignment of Assessment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A Synthesis of Research)

  • Oh Young Youl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7-122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수하 교육 개혁 운동에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는 교육 과정, 교육 방법, 그리고 평가 사이의 상호 일관성(alignment)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최근의 수학 교육의 흐름에 비추어서 교실 환경에서의 평가와 국가 수준의 평가의 시각에서 교육 과정과 교육 방법과의 일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평가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수업과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CGI와 QUASAR에서 적용된 평가 모델은 평가가 어떻게 교육 과정 및 교육 방법과 일관성을 이루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며준다. 국가수준의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과거에 사용된 대다수의 이러한 종류의 평가들이 표준화 검사를 적용함으로써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지적차고 있다. 특히, 평가 문항과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과의 불일치성의 예들은 국가수준의 평가의 타당성 및 그 환용에 대해 받은 우려를 포함하고 있으며 표준화 검사는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학교육 개혁의 핵심 과제인 수업 관행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평가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며 이를 위해서는 평가와 교육과정 및 교육 방법과의 일관성은 그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문대학 실내건축과 교과과정개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orm-Curriculum of Interior-Architecture in a Junior College)

  • 신정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7호
    • /
    • pp.38-44
    • /
    • 1996
  • To improve and replete many problems which are discovered the present condition and cases of interior architecture education previously, 1) Adopted the sixth semester, the ninth semester of 3 -year course of study as a reform of the school system. 2) Building up Design -basic understandings of design , Design Resources -layout course, factor course and Design Communication three -steps of systematic -educational course of methodical course fro transmitting and 3) Classifying interior space designer , interior factor designer, interior decorator, special -space designer as practical parts. 4) Divided three fields : layout, construction work, factor design , related to interior design works. 5) Also, divided like (Table-2), job-analysis and formation of relating course into layout and construction work. 6) Analyzed and (Table-3) the present condition of four domestic Junior college (Seoul and kyong -ki areas) as a case study. 7) Analyzed and surveyed (Table-4) three American colleges, sixth semester and ninth semester of three year course of study and 8) Have to solidify practical computer educati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the terms desired keeping pace with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changes of opening periods. 9) As above-mentioned, reenforcing the fundamental education of lower grades and needs fractionizing special education of higher grades. Finally, needs to be prepared the environments which enable to develop the marked educational goals & contents and then be exeucted, which make one do his responsibility after setting out in the world, satisfying a periods wishies : many competent experts that can be produced.

  • PDF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 강창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7-231
    • /
    • 2012
  • 지리는 동아시아 삼국의 상호이해를 증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조건을 갖춘 도구 교과이지만, 중국의 지리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에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 과정과 최근의 교육과정인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지리교육과정은 정치적 이념과 사회적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번창${\rightarrow}$위축${\rightarrow}$진흥${\rightarrow}$발전의 과정으로 발달하였다. 둘째, 최근의 지리과정표준은 종합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내용표준 중심의 개혁적인 교육과정으로, 학생 중심 그리고 지리적 지식과 기능의 유기적 연계를 추구하는 활동 중심으로의 변화가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지리과정표준은 크게 서언, 과정목표, 내용표준, 실시건의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넷째, 초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지구와 지도, 세계지리, 중국지리, 향토지리 4영역의 기초적인 지리 지식과 기본적인 지리 기능을 강조한다. 다섯째, 고급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은 3개의 필수과목과 7개의 선택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의 장래 직업과 지역 실정을 고려한 지리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 PDF

미국의 레슨 스터디 실행 사례 연구: 교사주도의 학교 교육개혁의 대안적 모델 (A Case Study of 'Lesson Study' in an U.S. School: As an Alternative Model for Teacher-led School Reform)

  • 유솔아
    • 비교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95-128
    • /
    • 2010
  •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신장을 통한 학교 교육 개혁의 유효한 방안 중 하나로 평가되는 '레슨 스터디(Lesson Study)' 실행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레슨 스터디에 대한 이해와 향후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 실행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레슨 스터디는 교실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협력적 연구에 초점을 두어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학교 교육 개혁을 동시에 꾀하는 접근으로 1999년 TIMSS 연구이후 대학과 연계한 PDS(professional development schools)의 형식으로 많이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서부에 위치한 K-8 학교가 C대학과 협력 관계를 형성하여 레슨 스터디를 진행한 일년 반 동안의 실행 사례에 대한 연구로써 (1) 레슨 스터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진행되는지, (2) 레슨 스터디에 참여한 교사들이 다루는 주된 이슈가 무엇인지, (3) 레슨 스터디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떤 진보된 모습으로 전개되는지를 분석하고, 끝으로 (4)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 운영하기 위한 도전적인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그 결과 첫째, 레슨 스터디는 실행 과정에서 다루는 문제의 특징에 따라 연구와 사전준비 단계, 수업 계획 단계, 수업 실행과 관찰 단계, 반성과 개선의 단계, 공유의 단계로 구분될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주된 논의 주제는 교수-학습 자료, 질문이나 안내, 개인차, 교육과정, 비판적 이슈들이었으며, 주로 학습자의 이해 및 학습 관점에서 전개되었다. 셋째, 레슨 스터디를 연속적 실행에 따라 나타난 진보적 변화로 유목적적인 토론, 외부로부터의 적극적인 자원 수집, 학습자 중심의 관점 유지, 선형적 단계에서 순환적 단계로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넷째, 한국에 레슨 스터디를 효과적으로 도입·실행하기 위한 과제로 지역과 연계한 학습 공동체 구축, 참여 범위 확대를 통한 교사간 이질감 해소, 기술이 아닌 본질에 초점을 둔 도입과 실행, 수학 외 다른 교과에의 적용 또는 통합교과적 접근의 시도, 그리고 레슨 스터디에 참여하는 교사들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보상 체제 마련을 제안하였다.

지속가능한 녹색 사회를 향한 환경교육과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Dept.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ward a Sustainable Green Society)

  • 최돈형;김대희;이재영;정철;김기대;조성화;안재정;박혜경;홍현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4호
    • /
    • pp.111-128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common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5 colleges of education. The need and background of curriculum reform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t has been recognized that new national curriculum of 2009 and 2011 created need for training teachers equipped with more integrated competency. Second,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is asked for more responsible choice and action from all citizens. Third, the extremely low hiring rate resulted in the consideration of new working fields for teacher students major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Fourth, the expansion of new environmental education paradigms inclu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lled for practicing reconstruction of both contends and methods. From a series of research processes including analysis of current curriculum, DACUM, opinion survey and interest groups review, several new approaches for developing new curriculum had been identified as follow; first, content area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beyond environmental natural science. Second, new learning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need to be emphasized for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environment as a separate subject. Third, more selective majoring system need to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 government officials, researchers,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or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application of new curriculum developed by the study would be evaluated and managed by teaching conditions surrounding each of the five university members joined this developing processes. However, it need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t much time because we had experienced zero hiring rate for the last 4 years and environmental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are moving rapidly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 PDF

시엠피(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에 대한 고찰 (A Survey of 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

  • 김해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19-145
    • /
    • 2011
  • 최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2009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에 미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수학교육 개혁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The Connected Mathematics Project(이하, CMP)'에 대하여 고찰한다. 연구 내용들은 CMP를 추진하게 된 배경, 1991년에서 1996년 사이에 수행된 CMP(이하, CMP1)에서 개발된 교과서(이하 CMP1 교과서)에 대한 논란, CMP1을 수정 보완하기 위하여 2000년에서 2006년 사이에 수행된 CMP(이하, CMP2)의 교육과정이며, 문헌연구 방법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CMP2 교육과정에서는 CMP1 교과서에 대해 제기됨 논란을 일부 반영하여, 기본적인 기능 습득을 위한 절차를 도입하고 과다한 수업량과 시수를 감축할 뿐만 아니라 대수를 강조하고 자료 분석 내용들을 강화하였다.

한국의학교육의 새로운 과제: 불확실성이 큰 문제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의 강화 (New Challenges for Korean Medical Education: Enhancing Students' Abilities to Deal with Uncertain Ill-Defined Problems)

  • 최익선;윤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3호
    • /
    • pp.111-118
    • /
    • 2014
  • Over the last century, medical education in North America has evolved by identifying educational challenges within its own socio-cultural context and by appropriately responding to these challenges. A discipline-based curriculum, organ-system or integrated curriculum, problem-based curriculum,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historical examples of the educational solutions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refined to address specific educational challenges, such as students' lack of basic scientific knowledge, lack of integration between scientific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and lack of clinical practice. In contrast, Korean medical education has evolved with the influence of two forces: (1) the adoption of educational solutions developed in North America by pioneers who have identified urgent needs for medical education reform in Korea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nd (2) the revitalization of Korean medical schools' curricula through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and national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Despite this progressive evolution in Korean medical education, we contend that it faces two major challenges in order to advance to the next level. First, Korean medical education should identify its own problems in medical education and iteratively develop educational solutions within its own socio-cultural context. Secondly, to raise reflective doctors who have scientific knowledge and professional commitment to deal with different types of medical problems within a continuum from well-defined to ill-defined, medical education should develop innovative ways to provide students with a balanced spectrum of clinical problems, including uncertain, ill-defined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