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eachers Use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Mathematics Lessons

교사의 수업 계획 및 실제 수업에서의 수학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 활용 연구

  • Received : 2011.08.04
  • Accepted : 2011.09.0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se and implement a reform-oriented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 Everyday Mathematics, and to examine what features the curriculum material has. Eight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sources consist of teacher classroom observation write-ups, interviews, and the curriculum material.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iculum material suggest that 80 percent of the tasks are at the high-level in terms of cognitive demand and 26 percent of tasks are identified as transparent.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eachers appeared to adapt the curriculum material and partially take suggestions or activities out of the curriculum material in enacting them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s. The analysis of enacted tasks suggests that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were shifted from high-level to low-level; 27 percent of the high-level tasks in the curriculum material were maintained at the high-level as enacted in the mathematics classrooms. The level of cognitive demand shifted in many cases; shifts from high-level to low-level occurred. This contributes to the curriculum material not being transparent to teachers.

수학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계획한 수업을 실행할 때 교육과정 도서(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등)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하여 시행된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논문은 미국의 초등 교사들이 초등 수학 교육과정의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Everyday Mathematics의 교육과정 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또한 Everyday Mathematics가 가지는 교육과정 도서로써의 특징 요소들이 무엇인지 분석한다. 나아가 Stein & Kim(2009)의 연구에서 제안한 교육과정 도서를 규명하는 특징 요소들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도서의 활용 간의 연관성을 추정한다. 수집된 자료는 미국 초등 교사의 수학수업 관찰노트와 관찰 전후에 실시한 인터뷰, 수업 시간에 사용한 모든 문서와 자료, 그리고 Everyday Mathematics의 교사용 지도서 등이다. 분석 결과, Everyday Mathematics는 높은 수준의 인지적 노력(cognitive demand)을 필요로 하는 수학과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 퍼센트),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와 이유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를 참조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도서에서 제시한 문제나 활동을 변형하거나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가르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Everyday Mathematics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지적 노력 수준이 높은 수학 과제들의 27퍼센트만이 같은 수준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에서 실행 단계로 이동할 때 수학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교사용 지도서가 높은 인지적 노력수준의 수학 과제를 교사가 같은 수준에서 실행할 수 있도록 제대로 지원해 주지못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