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ststructural Curriculum and Topic-centered Framework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후기 구조주의 교육과정과 새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제 중심 내용 구성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diagnosed the actual statu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elective curriculum and suggested a way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 of the new science elective curriculum. The first science education reform was grounded in the structuralism where the structure of discipline was valued above everything els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cience education reform suggested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students' opportunity to learn, putting a brake on the structuralist thinking.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the majority of the science elective courses are in need for revision because the contents are overcrowded, too difficult in light of students' learning readiness, failed to draw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are overlapped and repeated among the 10th grade science, high school science I and II. In particular, Earth Science II and physics II are the most unfavorable courses among students. Thus, we recommended a fundamental change be made in the new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 optimization of the content. In this paper, we suggested 'topic-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for the science elective course I, i.e., Physics I, Chemistry I, Biology I and Earth Science I that is designed for both science track and non-science track students. Since curriculum provides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learn', a curriculum study should focus on what the 'opportunity to learn' is that students ought to be offer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recommended one way to select and organize the content of high school elective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의 일환으로 제7차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1차 과학교육 개혁은 학문의 구조라는 특정 범주가 다른 범주보다 중요하고 부각되는 구조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반면에 후기 구조주의라는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은 제2차 과학교육 개혁에서는 이러한 구조주의적 사고에 제동을 걸면서, 학생들이 갖는 학습 기회에 대한 대안적인 해석을 내놓기 시작하였다. 제7차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 8개 교과목에 대한 현장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보다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이수 비율과 대수능 응시 비율이 가장 낮은 두 과목인 지구과학 II와 물리 II는 '학습량이 많으며, 학생의 수준에 비하여 내용이 어렵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학습량과 수준을 적정화하려는 노력에 추가하여 보다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체능계, 인문사회계 및 자연계 진학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각 과목Ⅰ의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후기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얻어 '주제 중심 내용 구성'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갖는 학습 기회라고 볼 때, 교육과정 연구는 학습자가 가져야 할 학습기회가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대답을 추구해 가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과학과 고교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조직 방향을 제안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대신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된다.입을 통하여 발현 관계를 명확히 확인해야 하는 추가실험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하게 된다.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90 p
  2. 김주훈, 이미경, 2003, 과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E 2003-4, 309p
  3. 김주훈, 홍미영, 이미경, 정은영, 곽영순, 심재호, 이창훈, 최원호, 박순경, 2006,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6-7, 391 p
  4.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곽영순, 김동영, 장재현, 심재호, 최승언, 노태희, 2005a,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5-7, 327 p
  5. 이범홍, 김주훈, 이양락, 홍미영, 이미경, 이창훈, 신일용, 곽영순, 심재호, 노태희, 최승언, 김헌수, 윤석주, 2005b, 과학화 교육과정 개정(시안)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C 2005-10, 270 p
  6. 이양락, 2006,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5-50
  7. 이양락, 박재근, 이봉우, 박순경, 정영근, 2004a, 과학과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4-1-6, 630 p
  8. 이양락, 이범홍, 김주훈, 신일용, 이미경, 정은영, 곽영순, 2004b, 과학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RC 2004-4-7, 239 p
  9. 허경철, 강창동, 소경희, 강성훈, 2000, 지식 기반 사회에서 학교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I)).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00-10, 369 p
  10. Anderson, R.D., 1996, Putting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into practice: Needed research.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St. Louis, USA, 10-25
  11. Cherryholmes, C, 1988, Power and criticism: Poststruc-tural investigations in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NY, USA, 223 p
  12. McCormack, A.J., 1992, Trends and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n Cheek, D.W. et al. (ed.), Science curriculum resource handbook, Kraus International Publications, USA, 16-41
  13. Nakakiri, G, 1992, Topics in the Science Curriculum, Grade K-12, In Cheek, D.W. et al. (eds.), Science curriculum resource handbook, Kraus International Publications, USA, 72-90
  14. Trowbridge, L.W., Bybee, R.W., and Powell, S.C, 2000, Teaching secondary school science: Strategies for developing scientific literacy (7th ed.). Prentice Hall, USA, 464 p
  15. Westbroek, H., Klaassen, K., Bulte, A., and Pilot, A., 2005, Characteristics of meaningful chemistry education. In Boersma, K., Goedhart, M., Jong, O.D., and Eijkelhof, H. (eds.), Research and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USA, 67-76

Cited by

  1.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vol.34, pp.4,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4.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