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2015 개정 초등수학 교과서 2학년 곱셈 단원 분석 (A Study on the 2nd Grade Multiplication Units in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김성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53-38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plication unit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udents learn multiplication in $2^{nd}$ grade. The multiplication units is divided into two: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facts. In these two units, we mainly analyze situations involving multiplication, model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and multiplication strategies for teaching multiplication facts in relation to Subject Matter Knowledge. We called these contents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We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with regard to multiplication at the elementary mathematics. As results, we prepared an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expecially 'qualitative contents analysis'. The contents here refer to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at can be foun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ing books etc. As results of analysis, We can confirm that various multiplication situations and multiplication model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And it has been examined that various multiplication properties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strategy levels. We insi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se Multiplication Matter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basic data in these contexts.

구성주의 관점에 의한 수학 교수-학습 모델의 설정과 수업 전개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odel and Instructional Process Based on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 김선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5-92
    • /
    • 1999
  • 제7차 교육과정은 수학과 교수-학습의 중심 원리로 구성주의 이론을 들고 있다. 그리고 학습방법 면에서도 탐구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협동 학습을 통해서 정말 쉬우면서도 재미있는 활동 중심의 수업이 되도록 교과서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교과서 편찬 방향이나 교수-학습 방법도 구성적 방법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요소들이 투입된 교수-학습 방법은 관심 있는 교사들에 의해 이미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들에게 수업 과정의 단계화, 지식 구성의 위계화를 이루는 데 도움을 주고, 교수-학습 방법의 기준이 될 교수-학습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모델을 적용한 수업 사례를 들어 지식의 구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모델의 적용 과정을 이해하도록 하여야 한다.

  • PDF

초.중등학교에서 수학교육체계와 연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Computer Programming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박영미;유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6-127
    • /
    • 2008
  •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초 중등학교의 컴퓨터교육과정이 컴퓨터 활용 중심 내용으로 편성되어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르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 들어 초.중등학교에서 미래 교육이 요구하는 창의적이며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컴퓨터 교육 과정을 변화시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교과목의 내용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이지만 아직까지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체계화된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 중등학교에서 컴퓨터 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 교과 내용의 연계성을 갖추고 있는 수학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프로그래밍 관련 요소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초 중등학교에서 연속적이고 계열적 내용에 따라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과과정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 기법을 가르치기 위한 수업 모형과 학습지도안을 개발한다.

Interdisciplinary Knowledge for Teaching: A Model for Epistemic Support in Elementary Classrooms

  • Lilly, Sarah;Chiu, Jennifer L.;McElhaney, Kevin W.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37-173
    • /
    • 2021
  • Research and 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in the United States, promot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K-12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tegrating the disciplines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and computer science (STEM+C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explored how teachers provide epistemic support in interdisciplinary contexts or the factors that inform teachers' epistemic support in STEM+CS activitie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rticulate how interdisciplinary instruction complicates epistemic knowledge and resources needed for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Toward these ends, this paper builds upon existing models of teachers' instructional decision-making in individual STEM+CS disciplines to highlight specific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on classroom epistemic supports. First, we offer considerations as to how teachers can provide epistemic support for students to engage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mathematics, science,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 We then support these considerations using examples from our studies in elementary classrooms using integrated STEM+CS curriculum materials. We focus on an elementary school context, as elementary teachers necessarily integrate disciplines as part of their teaching practice when enacting NGSS-aligned curricula. Further, we argue that as STEM+CS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 the form of NGSS-aligned, project-based units become more prevalent in elementary settings, careful attention and support needs to be given to help teachers not only engage their students in disciplinary practices across STEM+CS disciplines, but also to understand why and how these disciplinary practices should be used. Implications include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professional learning experiences and curriculum materials.

초등수학에서 분수에 관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Fra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49-171
    • /
    • 2007
  • 이 연구는 초등 수학에서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분수영역에 대하여 내실 있는 분수지도에 필요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개발은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교사가 가르칠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교수학적 내용 지식의 범주로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학생과 학생 지식에 대한 이해, 교사와 교사 지식에 대한 이해, 수업 방법, 내용, 운영에 대한 이해, 평가 방법이해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분수 관련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수학 교사가 숙지해야 할 내용과 더불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각각에 해당하는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수 관련 교수학적 내용 지식은 교육 내용과 그에 적절한 교수 방법, 그리고 교육 내용과 관련된 풍부한 소재의 개발과 보급을 통하여 학생의 삶에 유의미한 도구로서의 수학을 인식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수학교육으로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서술형 평가를 통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과 기본 지식 이해에 관한 실태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Essay Test)

  • 박금란;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2호
    • /
    • pp.181-19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of mathematics for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y an essay test and provide instructional suggestions for teachers. A total of 132 students from 6 classes in 3 elementary schools were tes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rect answers and types of incorrect answer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poor understanding of basic conceptual concepts and principles throughout six content area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despite their good performance on mathematical skills. This study included implications to teaching and learning for each of the content areas.

  • PDF

창조적 지식기만사회의 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수학교육목표에 대한 교사.학생의 인식- (Students and Teachers′Perceptions on the Goals of Mathematics Education -A Foundational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Model for a Creative Knowledge-based Society-)

  • 노선숙;김민경;유현주;차인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2호
    • /
    • pp.161-177
    • /
    • 2001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students want to learn and what mathematics teachers should teach in their classrooms. 1314 students and 527 mathematics teachers were randomly selected to administe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at their is a considerable mismatch between students'learning desires and teachers'teaching practices in classrooms. What students want to learn is creative knowledge; however, what they learn in the classroom is ‘imitative’ knowled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verall educational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should emphasize (1) learning to communicate mathematically, (2) loaming to reason mathematically, (3) becoming confident in pupils'own ability, (4) learning to$.$value mathematics, and (5) becoming mathematical problem solvers.

  • PDF

컴퓨터공학의 도입을 위한 수학교육연구의 방향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Introducing Computer Technology into Mathematics Eduction)

  • 조완영;권성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79-186
    • /
    • 2000
  • Although computer technology has a great potential for improving mathematics learning practice, it rarely used in mathematics class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in mathematics computer technology. First, there has to be a research on mathematics curriculum that take computer technology into account. Second, research on teaching sequence for certain content area is needed. Because computer technology would change the order of teaching sequence. Third, how students would learn with computer technology? how do they acquire knowledge and make sense of it? Fourth, how could we assess the learning with computer technology? Most of all, because teachers play a key role to succeed in educational reform, they have to be familiar with computer technology and software to introduce it into mathematics learning and to use it properly.

  • PDF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in Computer Based Learing

  • Lee, Joong-Kwoe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5권1호
    • /
    • pp.13-24
    • /
    • 2001
  •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eaching school mathematics creates new instructional environments. The emphases on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the classrooms and in particular the use of computer-based exploration as a context of mathematics instruction have been reflected in the recommendation of the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1989). Although the power of using computer technology in the explor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has been recognized and stressed by many educators, we do not have many research studies on mathematics in computer-based explorations. Especially research has failed to clarify how computer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of mathematics. Up to now most researches on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in computer environments have only focused on classifying programming languages which program language has more random access and rich interrelationship characteristic in relation to conceptual knowledge in humans, and which computer language has more characteristic flavor of procedural knowledge. How computer-based explorations affect the knowledg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therefore, emerges as an issue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oretical framework. This situation leads to do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mputer explorations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truction.

  • PDF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Inductive Analysis Approach on Middle Grad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 한선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599-615
    • /
    • 2015
  •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 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 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