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implementation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8초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 심재호;신명경;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0-1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의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으로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다루었으며, 각 특징에 대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내적 특징인 필요성, 명료성, 복잡성을 기준으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또,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중에서, 특히 최소 6차시가 배정되어 실시될 예정인 자유탐구의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준비 및 실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과학 교사들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즉,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수업에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대체로 명료하지는 않으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특히, 자유탐구의 경우 다른 주요 내용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어려움의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변화 내용을 교실 수업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육과정 실행자 간의 인식의 간극을 줄이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유의미한 해석과 실천을 높이기 위해‘이중 실행연구’(Dual Action Research) 모형을 제안하였다.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 분석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b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 Care Teachers)

  • 유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53-171
    • /
    • 2015
  • 본 연구는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계수 방법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특히 실행 및 지원인식은 이론적 근거 및 성격과 높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3~4세 누리과정에서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역시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실행수준의 평가와 관계가 있으며 실행 및 지원의 만족도는 자료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 실행 및 지원 인식은 실행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평가 실행수준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국가 수학 교육 과정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재고 (Reconsideration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mathematics)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571-588
    • /
    • 1999
  • Our mathematical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requently compared to another countries. The frequent revisions may mean that the current curriculum is not so complete in the selected contents of each grade levels. The idea is partially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didactics of mathematics has both hypothesis-deductive and hypothesis-constructive property. Investigating the items which are used in TIMSS study and based on the relatively common curriculums of 40 more countries, the styles of them are a bit different from those of our textbook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Hence, we consider that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our mathematical curriculum may be a large scale of experiment for the improved curriculum carried by the nation. Additionally, we propose less compulsive curriculum than the current for minimizing the possible trial and errors.

  • PDF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curriculum research through topic modeling: Focused on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1997 to 2019)

  • 손태권;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01-216
    • /
    • 2020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9년까지 KCI 등재지에 게재된 493편의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논문을 LDA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는 8개의 토픽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교육과정 이행과 평가'의 비중이 가장 낮았다. 또한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 따라 토픽들은 다르게 출현했으며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중점 방향과 부합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실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 안주송;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61-7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for the emphasis on the revision, major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222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y highly agreed to the increase in class hours and the application of subject classroom, but they had a lower recognition for setting the subject groups. Second, the degree of necessity in discussion and ST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science writing, discussion and STEAM was low. Third,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y showed a high performance for mutual cooperation, student-led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open inquiry and instruction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Fourth, in the evaluation of science learning, they showed a high implementation for evaluation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o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basic concepts, but, a low implement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evaluation tools. Fifth, it seemed that their recognition for amount, level and interest of science contents and inquiry activities was appropriate and positive.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에 따른 수학과 심화 보충 과정과 특별 보충 과정의 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자료 구성 방향 - 중학교 1학년 1학기 수학과 내용을 중심으로 - (The Supplemental and Enriched Course, and Special Remedy Course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 박경미;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99-216
    • /
    • 1998
  •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he implementation of a 'Differentiated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often interpreted as meaning the same as 'tracking' or 'ability grouping' in western countries. In the 7th revised curriculum, mathematics is organized and implemented by 'Level-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To develop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and-learning materials for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ideas of 'Enriched and Supplemental Differentiated Curriculum'need to be applied, that is, to provide advanced contents for fast learners, and plain contents for slow learners. Level Based Differentiated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by ability grouping either between classes or within classes. According to these two exemplary models, the implementation models for supplemental course and enriched course are determined. The contents for supplemental course are comprised of minimal essential elements selected from the standard course at a decreased level of complexity and abstraction. The contents of enriched courses are focused on various applications of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real world. Special remedy course will be offered to extremely underachieved students,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teaching-and-learning material for special remedy course were obtained from the histo-genetic principle, progressive mathematizing principle, and constructivism.

  • PDF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연구 동향 탐색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Curriculum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장봉석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45-50
    • /
    • 2020
  • 이 연구는 교육과정 분야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키워드와 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해 2002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644편의 교육과정 논문에서 1,935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단계에서는 KrKwic와 KrTitle 프로그램을 통해 키워드를 추출한 후 1-mode network matrix를 작성하였고, UCINET 6과 NetDra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교육과정이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은 교육과정 개발, 국가 교육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실행, 이해중심 교육과정, 교사 교육, 학교 교육과정, IBDP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결 중심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과정 개발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교육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 역량, 핵심 역량,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과서, 교육과정 실행, 교사 교육, IBDP 등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중등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 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12
    • /
    • 2006
  •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과의 7차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개선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이루어졌다. 선택과목인 컴퓨터교과의 운영 현황은 1. 컴퓨터 보유 현황, 2. 컴퓨터교과목을 선택한 학교 현황, 3. 컴퓨터 과목 담당 교사의 전문성, 4. 컴퓨터교사의 업무량, 5. 컴퓨터 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6.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7. 컴퓨터 수업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통계, 2005년 9월의 국회국정감사자료를 이용하였고, 2005년도 7월에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컴퓨터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A Curriculum for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Includes A Project Completion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 Ha, Seok-Wun;Huh, Kw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9-147
    • /
    • 2016
  • In recent,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s have been done widely that intensify smart phone util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riculum that undergraduate students can improve their mobile programming abilities as well as integrate experiences of application development based on android. And also a series of practices to adv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re adde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carry out a real project to use a variety of sensors embedded in smart phone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project is composed of a series of modules for implementing a trekking App that helpful to people who enjoy spending time in outdoors through their favorite activities such as trekking, cycling, and climbing with their own smart phones. Through practical curriculum oper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is appropriate to a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combine learning and practice.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Program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in Schools

  • Kwon, Hyekyung;Chang, Kyungsuk;Kim, Yongwhan;Lee, Byeong-Cheon;Jeon, Young-Jo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4호
    • /
    • pp.63-69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could bring about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extensive reading using online/offline blended English library system called 'Reading Gate'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lthough there are a great number of studies on effects of various extensive reading on linguistic,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extensive reading programs can be implemented at large scale, e.g., whole school level. After analyzing students' reading levels in 200 schools using the same online extensive reading program called Reading Gate, results showed that while some schools were successful, others were not. Five primary and 13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as successful schools. Data 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of schools was gathered. Eighteen teachers and seven headteachers took part in the interview. After analyzing these dat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results revealed that the following five factor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blended extensive reading programs: online level-up system, teacher intervention, integration with the curriculum, school-level support, and parents' awareness of literacy. This suggests that each factor might have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xtensive reading program at large scale.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is finding are discuss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