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rriculum implementation

Search Result 4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특징 (A Study on New Programme of Study for Geography by A Revise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 조철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2-251
    • /
    • 2012
  • 이 연구는 영국 국가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변화와 그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2008년과 2011년부터 각각 시행된 중등 및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1995년과 2000년에 이어 세 번째 개정으로서 그 이전보다 편제 면에서나 내용 면에서나 획기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특히, 초등 국가교육과정은 6개의 학습영역으로 재편 되었는데, 기존의 KS1-2 지리는 역사 및 시민성과 함께 '역사적, 지리적, 사회적 이해'라는 학습영역에 통합되어, 처음으로 통합사회과의 출범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하여 현재 영국 국가교육과정에서는 지리는 KS3에서만 기초 교과로서 그 이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교육과정은 여전히 학습프로그램과 성취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학습프로그램의 구성 체제와 그 내용에 있어서는 매우 큰 변화가 있었다. 초등의 경우 학습프로그램이 '교육과정 목표-학습영역의 중요성-본질적 지식-핵심기능-범교과적 학습-학습의 폭-교육과정의 계열'로, 중등의 경우 '교육과정 목표-교과의 중요성-핵심개념-핵심프로세서-범위와 내용-교육과정 기회'로 재구조화되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지리 학습프로그램의 항목별 특징과 효과적인 지리교육과정 계획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 PDF

한국에서 역량바탕의학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제언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Korea)

  • 윤보영;최익선;김세진;박효진;주현정;이병두;이종태
    • 의학교육논단
    • /
    • 제17권3호
    • /
    • pp.110-121
    • /
    • 2015
  •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CBME) is an outcome-oriented curriculum model for medical education that organizes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methods according to defined competencies as the learning outcomes of a given curriculum. CBME emerged to address the accountability of medical education in response to growing concerns about the patient safety in North America in the 1970s, and the number of medical schools adopting CBME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0. In Korea, CBME has been under consideration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model to reform medical education since 200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1) to review the literature on CBME to identify the challenges and benefits reported in North America, (2) to summarize the process and experience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CBME a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finally (3)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Korean medical schools to be better prepared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CBME. In conclusion, one of the key factors for successful CBME implementation in Korea is how well an individual school can modify the current curriculum and rearrange the existing resources in a way that will enhance students' competencies while maximizing the strengths of the school's existing curriculum.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Suggestion on Implementation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 임재항;강순민;공영태;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1-32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1차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화학 영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및 준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많은 비율의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시의 교사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역할 또한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차 설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2차 설문 및 인터뷰에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전달되는 효율적인 방법, 교육과정 개정 참여시 교사의 역할 및 참여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융합 교과목 개발방법에 관한 연구 - 기계공학과 인간운동과학의 융합 - (A Study on the Design of Fusion Education Program - Fusion of ME and Kinesiology -)

  • 이건상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66-76
    • /
    • 2018
  •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designing a fusion curriculum, this study used the learning outcomes presented in KEC2015 to design a fusion goal dimension. The three dimensions of fusion education in the fusion curriculum framework are fusion goals, fusion approach and fusion cont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learning activitie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developed curriculum meets these three dimension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contributes relatively evenly to the fusion goal, fusion approach and fusion context dimension. In addition, it provides a procedure to develop the fusion curriculum through the concrete procedures and examples from the design to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fusion curriculum, and to confirm the result of the fusion dimension.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2009년 실행 및 부분개정을 중심으로 -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and Requests Rela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 with a Focus on the 2007 & 2009 Draft Revision)

  • 이혜은;황해익
    • 아동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7-290
    • /
    • 2010
  • This study review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2007 curriculum draft revision, as well as surveying their requests in regards to the 2009 curriculum draft revi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with 183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agreed that a theme-based-integrated curriculum was better than studying separate subjects, but most also argued that it takes considerable time reorganize and implement the integrated curriculum. Successful implementation also requires further teachers' training and their cooperation. The theme-based texts have already been in use from 2009 for first and second grades. Teachers prefer training courses which focus on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each subject and sharing ideas and tips. Such training can assist in identifying the gaps between the curriculum plans and real classroom applications. Furthermore it can present clear guidelines to help ensure that the curriculum is organized effectively and well managed. Networks of specialized personnel or programs were also found to be very good resources both in and out of school.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 김은주;이진숙;이훤;김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23
    • /
    • 2016
  •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교사연수 성과평가를 통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정착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Support Plans for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Implemen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97-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신설과목인 통합과학의 현장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부에서 실시한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통합과학 교육과정 지원 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연수를 중심으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이 개발한 연수 산출물, 연수강사로 참여한 과학교사들과의 심층면담 등을 분석하여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서 드러난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 2017년도 통합과학 선도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통합과학 교수 학습 및 평가 계획을 개발하였는데,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성취기준은 [10통과08-03]과 [10통과 09-04]였다. 이들 성취기준에 대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 재해석, 교수학습 방법, 학습소재, 평가방법, 교과역량 등의 구현 실태를 탐색하였다. 또한 2015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재구성 모델 사례를 통합 우수 사례, 학생 참여형 수업 우수 사례, 교과역량 신장 우수 사례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과학 교육과정 현장 안착을 위한 연수 지원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The Effects of National Science Leading School Programs on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ffecting PES)

  • 강훈식;이수영;김희경;이성희;곽영순;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9-293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사업을 수행한 과학선도학교 중에서 2017년 2학기 말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제출한 총 117개 과학선도 학교의 학생 11,488명과, 비교군으로 50개 일반학교 학생 1,315명의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 결과를 대상으로 학교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긍정경험 전체 점수에서는 창의융합형 과학실 모델학교 학생들의 점수가 과학중점학교와 사다리 프로젝트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과학긍정경험 하위 영역별로 각기 다른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보다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한편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교수 학습 방법 및 자료 활용과 평가의 영향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에서 항목별로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과학선도학교 여부에 관계없이 많은 교사들이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학교 밖 과학 활동, 학생 중심의 과제 연구 및 탐색 활동, 자료의 활용 측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기기의 활용, 그리고 평가 방법 중 관찰 평가와 실험보고서 평가가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the Roles of Teacher-Librarians)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9-188
    • /
    • 2008
  • 본고는 초 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 영향 및 과제를 다룬다.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연계하여,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또한 어떠한 기본 체제를 갖추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향후 과제와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사서교사의 업무 범위와 교육과정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향후 과제를 다룬다. 사서교사가 사서직원과 차별화되는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사서교사의 고유한 시간(수)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인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활동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외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기초조사 및 분석 (Fundamental Study on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 류숙희;김보현
    • 의학교육논단
    • /
    • 제10권1호
    • /
    • pp.9-17
    • /
    • 2008
  • Objectives: Medical schools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education by offering students better medical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medic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medical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schools. Methods: Based on various materials, we selected out 5 domestic medical schools and 11 foreign medical schools and collected materials relevant to medical curriculum of each medical school. Then, we divided collected materials into four domains(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assessment,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analyzed them synthetically.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concern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it is necessary that more various educational objectives are included to medical curriculum. Especial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dical curriculum reflecting social responsibility and requests of local community. Second,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constantly improved and constructed consider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traits. Third, not only students but also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al contents, and professors should be included to the objects of educational assessment. Also, various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developed. Finally, especially for domestic medic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more educational specialists in medic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