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for mathematics

검색결과 1,283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hange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Geometry Domain)

  • 김현미;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의 내용 및 성취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기초로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형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51%이고, 학년 및 영역의 변동 없이 지속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소멸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0.4%이고, 제3차의 수학 현대화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도입되었던 학습 내용들이 제4차 교육과정에서 삭제되면서 가장 많이 소멸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단계형 교육과정과 학년군의 도입으로 학습 내용이 통합되거나 중학교로 이동되면서 소멸되었다. 추가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8.6%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기르기가 도입되면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다. 도형 영역에서 추가형 성취기준이 소멸형 성취기준보다 많은 것은 학습 내용 축소라는 교육과정 개정의 큰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맞는 기하 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새로운 성취기준의 구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과 정의 방식에 관한 비판적 분석 : 몇 가지 예를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n Usage and Defining Methods of Term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Centered on Some Examples)

  • 권석일;박교식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의 용어 사용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 사이의 불일치, 용어의 이중적 사용, 용어 정의 방식의 비일관성에 관해 사례를 들어 논의하고 있다. 사례 분석의 결론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할 수 있다. 첫째,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일치시켜야 한다. 둘째,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셋째, 같은 종류의 용어를 정의할 때는 일관성 있게 정의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 개발 시스템의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 및 교육과정의 수정 보완, 그리고 더 나아가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관점을 기반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Linear Function in Constant Velocity Movement: Focus on Integrat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nd Science)

  • 신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19-44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수학과 과학의 연결성을 고려한 수학학습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에, 중 고등학교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과 수학과의 목표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외국의 통합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근간하여 수학과 과학의 통합교육 유형,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논의하였다. 문헌연구에 기반을 두고 수학과 과학에서 공통이 되는 개념, 원리,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간교과형 통합교육 방법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수학 시간에 활용할 것을 권하였다. 그 후에 수학과 과학의 간교과형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연구도구로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학생들은 등속운동을 탐구하면서 일차함수가 발생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시간과 속도_. 시간과 이동거리의 관계식과 그래프를 개발하고, 이 식과 그래프를 연결하여 기울기의 실제적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현장에 적합한 초등 수학 수업 모형 탐색 (A Search for Mathematics Teaching Models for Elementary Schools)

  • 서동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407-4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1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수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학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현장 교원들의 만족도와 활용 정도,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현행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는 약 80% 정도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용 빈도는 학기 당 또는 단원 당 1회 정도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과 중에서는 사회와 과학 수업 모형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로 수업에 활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을 들었다. 수학 수업 모형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수학의 다양한 내용 영역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수준별 차이를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 직접 교수법 등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한 수업 모형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Expression of School Mathematics Terminologies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07 Curriculum)

  • 도종훈;박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91-50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수학 용어가 해방 이후 현재까지 어떻게 변해 왔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 용어를 기준으로 교수요목기부터 현재까지 사용되었거나 사용 중인 수학 용어들을 조사하여 정리한 뒤 수학 용어 표현에 사용된 언어를 중심으로 그 변화를 분석하고, 각 교육과정 시기별 수학 용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현행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방식은 제2차 교육과정과 제3차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표준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드러난 학교 수학 용어 변화의 가장 큰 흐름은 '용어의 한자화'와 '표현의 한글화'인 것으로 보인다.

  • PDF

발도르프 수학교육 방법을 적용한 우리나라 대안학교 기하단원 교수·학습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Geometry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Waldorf Education Methods in a Korean Alternative School)

  • 송만호;김영옥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197-2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it is possible to apply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which are run under the national curriculum.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class on geometry for three weeks with ten 7th graders(four girls and six boys) from Apple Tree Waldorf alternative school in Busan, which has adopted Valdorf education courses. For the first two weeks, the class was about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and then it was evaluated. On the third week, the lesson was on plane figures, followed by a test with 9 plane figure questions that are based on general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understood 'fundamental geometrical construction'. When it comes to the test on 'plane figures', seven students got 8 out of 9 right, two students got 6 out of 9 right, and one of them had difficulty solving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no problem for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 even if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applied to Korean alternative schools. Also, the Waldorf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be a good teaching model for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hich places emphasis on 'mathematical creativity' in regard to the curriculum and contents.

제1차 교육과정기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발행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situation of publishing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 박교식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5-71
    • /
    • 2020
  • In this study, the situation of publishing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sed at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were investigated. In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were used from 1956, and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used until 1965, and high school textbooks were used until 1967. First of all, the announce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the textbook authorization were examined in the government official gazettes of 1956~1967.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typographical errors in these announcemen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o textbooks used at that period were examined, and typographical errors were corrected by cross-check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제 7차 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문제 중심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blem-Centered Learning Materials for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신인선;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69-386
    • /
    • 2003
  • Problem-center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Students devise their solutions to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with teacher and other students to share and justify their solution during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Therefore, we purposed to provid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to be able to use in teaching and loaming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First, we reviewed the 7th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to know what and how students learn and suggested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as a teaching method to perform the 7th curriculum. Next, we developed the problem-centered loaming materials for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aught students with these materials to amend errors. Finally, we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to evaluate students while they teamed mathematics in the problem-centered learning.

  • PDF

The Intended Curriculum and Cultural Traditions - A Comparative Case Study of Berlin and Hong Kong

  • Lui, Ka Wai;Leung, Frederick Koon Sh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209-228
    • /
    • 2011
  • Many studies such as Pepin (1999a; 1999b), Kaiser (2002), and Park & Leung (2006) revealed that there is a strong dependence of mathematics teaching on cultural traditions in different countries. This study was set up as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a in Berlin and Hong Kong to explore how cultural tradition influenced the intended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intended curriculum is what the (local, state or national) curriculum developers stipulate in the official documents. The German educational system is influenced by the curriculum tradition called Didaktik. Didaktik is a tradi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ince 16th century, Didaktik has been the most important tool for planning, enacting, and thinking about teaching in most of northern and central Europe (Westbury, 1998).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system in Hong Kong is influenced by both the Anglo-Saxon curriculum tradition and the Confucian heritage culture (CHC).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although many studies revealed that there is a strong dependence on cultural traditions of mathematics teaching in different countries, other factors such as social factors or the education system also played an important part in shaping the intended mathematics curriculum. So a simplistic view of dependence of the curriculum on cultural traditions is not warranted. The formation of the curriculum is a much more complicated process encompassing various factors including needs of society,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government policies at different levels.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이론과 실제 -초등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Theory and Research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focusing on the chapter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신항균;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617-636
    • /
    • 1999
  • This study was executed with the intention of guiding ‘open education’ toward a desirable school innovation. The basic two direction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essential for implementing ‘open education’ are one toward intra-subject (within a subject) and inter-subject (among subjects). This study showed an example of intra-subject curriculum reconstruction with a problem solving area inclu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curriculum, diverse strategies to enhance ability to solve problems are included at each grade level. In every elementary math textbook, those strategies are suggested in two chapters called ‘diverse problem solving’, in which problems only dealing with several strategies are introduced. Through this method, students begin to learn problem solving strategies not as something related to mathematical knowledge or contents but only as a skill or method for solving problems. Therefore, problems of ‘diverse problem solving’ chapter should not be dealt with separatedly but while students are learning the mathematical contents connected to those problems. Namely, students must have a chance to solve those problems while learn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oblem content(subject). By this reasoning, in the name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toward intra-subject, this study showed such case with two ‘diverse problem solving’ chapters of the 4th grade second semester's math textboo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