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ent cultivation statu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유전자변형작물 안전성평가를 위한 영양성분 비교연구 동향 (Current status of comparative compositional analysis for GM crop biosafety assessment)

  • 김은하;오선우;이상구;이성곤;류태훈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261-272
    • /
    • 2020
  • 전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GM)작물의 재배와 수입에 대한 승인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영양성분 비교평가는 실질적 동등성에 기반하여 GM작물의 안전성 평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영양성분 비교평가는 GM작물과 대조작물 사이의 성분함량에서 차이와 유사성을, 그리고 GM작물과 상업품종간의 성분함량의 동등성을 결정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분석항목은 일반성분, 주요 영양성분과 항영양소 등이며 일반적으로 OECD 합의문에서 작물별로 제안하고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영양성분 비교평가를 위해서는 비교군의 선정, 포장 시험, 분석방법, 데이터 통계 처리 등의 전 과정에 걸쳐 표준화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코덱스와 유럽식품안전청의 식품용 GM작물의 영양성분 비교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GM작물 영양성분 비교평가 연구 논문들에 나타난 분석항목과 대조작물, 참조군 품종, 재배연도, 재배지역, 통계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해외의 경우 대두와 옥수수, 면화 GM작물에서 여러 나라 수출을 위한 규제기관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연구가 많았다. 반면 국내의 경우는 GM작물 실험연구적 측면에서 비교평가 진행되었으며 주로 GM벼에서의 연구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GM작물의 영양성분 비교평가 연구 수행에 적용할 수 있는 참조군 선정과 포장재배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남해 강진만 수하식 및 살포식 패류양식장의 다모류군집구조 양상과 저서생태계 건강도 평가 (Patterns in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nd Benthic Health Assessment at Longline and Bottom Culture Shellfish Farms in Gangjin Bay, Namhae, Korea)

  • 김선영;윤상필;박소현;정래홍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31
    • /
    • 2024
  • 본 연구는 패류양식업이 밀집한 남해 강진만 해역에서 수하식 및 살포식 양식해역과 비양식해역을 구분하여 양식활동으로 인한 유기물 축적과 저서다모류군집 변화를 파악하고, 어장환경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건강도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남해 강진만 해역의 평균 입도, 수온, 염분농도, 총유기탄소 등의 시·공간 분포는 정점간에 큰 차이가 없었던 반면, 출현 종수, 개체밀도와 종다양도 등은 살포식 양식 해역의 정점이 다른 해역의 정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집괴분석과 주요좌표분석 결과에서도 살포식 양식해역 정점의 저서다모류군집이 나머지 정점의 군집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수하식 양식해역의 정점과 비양식해역 정점에서는 오염지시종인 Scolectoma longifolia와 Sigambra tentaculata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수심과 해수 유통 등의 물리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부 정점을 제외하면 점유율이 높지 않았다. 강진만 해역의 저서생태계 건강도는 1~2등급으로 양호한 상태였다. 그러나, 다모류군집구조의 시·공간 분포와 저서생태계 건강도지수를 고려하면 살포식 양식해역의 퇴적환경은 양식으로 인한 물리적인 교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금산전통인삼농업의 세계농업유산적 가치 (Value of Geumsan Traditional Ginseng Agricultural System as Global Agricultural Heritage)

  • 유학열;김슬아
    • 인삼문화
    • /
    • 제6권
    • /
    • pp.105-115
    • /
    • 2024
  • 산림 속 자연환경 조건에서 자생하던 야생 산삼은 수백 년 동안 인간의 간섭과 지혜가 더해지면서 지금의 재배 인삼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인삼농업은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 계승해 오고 있지만, 금산 지역 인삼농업은 역사성과 전통지식 시스템, 농업생물 다양성, 농업경관 등 세계중요농업유산 지정기준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아 2018년 국제연합 세계식량기구(FAO)로부터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으로 지정 받았다. 금산 지역 전통인삼농업은 장기간(10~15년)의 사이클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 구축된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 방식인 '순환식 이동 농법'을 계승해 오고 있으며, 경작지의 향과 바람의 순환을 중시한 재배지 선정 지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지식이 고스란히 담긴 인삼재배지 예정지관리 기법 등 전통적 지식체계를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농업유산가치로 높게 평가받은 것이다. 2023년 12월 현재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곳은 26개국 86개소인데, 금산 지역 인삼농업이 인삼 작물로서는 세계 최초이자 유일하게 지정 받았다. 이것은 대한민국이 고려인삼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확보한 매우 의미 있는 역사적 기록이라 할 수 있다.

포도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enomics and bioinformatics in grapes)

  • 허윤영;정성민;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298-311
    • /
    • 2015
  •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작물 중의 하나로서 재배과정에서 많은 병해충이나 기상재해와 같은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과실의 고품질과 더불어 병충해 저항성인 품종 또는 내재해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은 포도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고전적인 교배 육종을 이용한 신품종의 개발은 포장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요구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유용형질을 지닌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이용할 분자육종기술은 포도 육종프로램에서 전통적인 교배육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로 여겨진다. 포도의 유전체 해독을 완성함으로써 신품종육성에 활용될 유용유전자를 대량으로 발굴할 수 있고, 기능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포도의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유전체에 근거한 유전자 발굴, 분자마커 개발 등의 연구는 과실의 품질, 병해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포도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 김형진;김환묵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1-12
    • /
    • 2003
  • New breeding method by genetic engineering is expected as a key technology to solve food shortage due to the growing world population in the year 2000s. Many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were already developed and the commercial cultivation had started. The first GMO, Flavr Savr tomato, which rotted at a much slower pace than ordinary ones, was developed in US in 1994. Since then, over than 70 different agr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orn, cotton, soybean, papaya, potato, and squash made with genetically modified plants are reportedly on sale worldwide. Supporters favor the GMOs because they have greater yields, longer shelf lives and stronger resistance to disease and insects. On the other hand, opponents say that the supporters ignore a potential danger that they may damage the environment as well as human beings. To assure the safe development and use of GMOs as food and other biotech products, the possible risks on biological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should be throughly examined and regulated by developer and government. Because the biosafety problem is a global, environmental, and trade issue, a new international treaty is under development.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was adopted at the 1 st Extraordinary Conference of Parties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which was held at Mont-real, Canada, Jan. 29th, 2000. The adoption of the Protocol is seen as a breakthrough in that it is based on the" Precautionary Principle" despite scientific uncertainties surrounding potential risks that GMOs may inflict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that it has laid the ground for introduction of specific steps to handle international trading of GMOs. In this paper, the authors would like to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and human risk assessment of GMOs.t of GMOs.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8호
    • /
    • pp.411-418
    • /
    • 2017
  •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지식에 대한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SW중심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식의 깊이를 가늠하지 않고, 양적인 측면 논의에 한정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18개 지식 영역 중 '미국'은 15개 영역, '영국'은 10개 영역, '일본'은 7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은 6개 영역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4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내용을 가르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내용과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지적 정보를 이용한 제주 밭담 길이 추정 (Estimating Length of Jeju Batdam Using Cadastral Information)

  • 박종준;권윤구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37-44
    • /
    • 2019
  • The value of Jeju Batdam has been reexamined as it is listed as a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and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However, it is already exposed to threats such as reduction of agricultural population and cultivation area. Despite efforts like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o preserve traditional agriculture, there is few basic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us of Jeju Batd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ength of Jeju Batdam. We used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of Jeju area to extract the boundaries of the field lot. In the cadastral map, the farmland was selected by selecting dry fields, paddy fields and orchards. 300 sample site were selected from the extracted farmland, and the boundaries between the Internet map and the parcels were superimposed and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on the drawing. After that, field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boundary of the parcels and the existence of actual Batdam. It is estimated that the length estimated from this study is at least 23,983km and maximum 142,353km, which is at least 1,830km longer than 22,108km announced in 2007. Since Jeju Batdam is based on land parcel boundary, it is an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to utilize intellectual information. In addition, because it is subordinate to farmland, new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reflecting the change of land use and make the spatial database based on the cadastral maps.

농업기반정비사업의 재정정책변화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추진 전망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Prospects and Realities of Local Governments' Project Promotion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inancial Policy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 배승종;김대식;김수진;김성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5호
    • /
    • pp.49-55
    • /
    • 2019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about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due to the financial policy changes. A total of 14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ere surveyed on the priority, the current status of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Irrigation facilities renovation project and Small drainage improvement project had generally high priority, while Support project of cultivation basis for upland crops in paddy, Large scale land readjustment project, and Upl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had low priorit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lock grant system,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had often been conduct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The officials in charge of local governments recognized that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were reduced due to lack of financial resources and project potential sites.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most of the surveys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cities and provinces was strengthened. In addition, respondents most needed to improve the subsidy rate and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cases requiring differential support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mprovement projects and to suggest differentiated projects for each regions.

소비자대상 직접 (DTC) 비만유전자 기반 정밀영양 (PNH)의 국내 현황 (Domestic development situation of precision nutrition healthcare (PNH) system based on direct-to-consumer (DTC) obese genes)

  • 김오연;이명숙;이정희;손정민;윤미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01-616
    • /
    • 2022
  •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inclusion of personalized nutrition for healthcare (PNH), when establishing a healthcare platform to prevent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 pulmonary disease, and inflammatory diseases, enhances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global healthcare markets. Furthermore, since the government experienced COVID-19 and the population dead cross in 2020, as well as numerous health problems due to an increasing super-aged Korean society, there is an urgent need to secure, develop, and utilize PNH-related technologies. Three condition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PNH technologies. These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causality between obesity genome (genotype) and prevalence (phenotype) in Koreans, validation of clinical intervention research, and securing PNH-utilization technology (i.e., algorithm developmen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tform, direct-to-customer [DTC]-based PNH, etc.). Therefore, a national control tower is required to establish appropriate PNH infrastructure (basic and clinical research, cultivation of PNH-related experts, etc.). The post-corona era will be aggressive in sharing data knowledge and developing related technologies, and Korea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arge-scale global healthcare markets. This review provides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evidence based on a huge dataset, which is the primary prerequisite for the DTC obesity gene-based PNH technologies to be competitive in the healthcare market. Furthermore, based on comp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ly approved DTC obese genes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obesity genome-based PNH research, we intend to provide a direction to PNH planners (individuals and industries) for establishing scientific PNH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obesity.

이용자의 생성형 AI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Cultivation of Generative AI Literacy by Users)

  • 장수현;남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3-28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지능 정보 사회에서 핵심 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는 AI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이용자들 대상으로 한 AI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과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과 당위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I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의 변화 양상과 대학도서관 이용자인 학생들의 생성형 AI를 포함한 AI 리터러시의 자가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에서 AI 리터리시 교육 및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 진행 시 수강 의향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이 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AI 리터러시 교육의 대학 필수 교육과정 내 AI 리터러시 함양 기초 교육과 연계하여 진행하는 방향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