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contents planning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3초

다문화청소년 성장환경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dolescent's Growth Environment in Busan)

  • 김교정;정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72-285
    • /
    • 2008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성장과 적응을 위한 현재의 환경개선과 서비스 프로그램의 탐색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광역시 다문화청소년 5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 8명은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첫째, 설문지 분석결과로 초등학교 재학이 가장 많으며 출생별 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차이와 경제적수준에 따른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 전문가 그룹인터뷰결과, 다문화청소년 현재의 문제로는 학업수준과 대인관계로 지적되었다. 다문화청소년 당사자 욕구파악을 토대로 가족차원의 통합적인 서비스를 중심으로 그리고 동화주의의 차원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하고 그들이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논의되었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당사자참여의 서비스 기획과 전문성을 위한 인력배치와 인센티브제도 정착, 지역 조직간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가족단위의 통합지원서비스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이 제언되었다.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한 패턴언어 개발연구 -중국 하남성(河南城)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ttern Language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Henan-Sung of China-)

  • 판단단;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92-203
    • /
    • 2019
  • 1950년대부터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중국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획일화를 가져왔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최근 각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살리면서 도시재생을 진행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으로 국가적 도시재생 정책이 전환되었으나, 아직 그 구체적 적용방법들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남성의 도시의 주거형태에서 다수를 이루고 있는 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재생에 있어서 구체적 활용이 가능한 공간계획 도구인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언어를 토대로 하남성의 문화적 환경에 맞추어 변형을 시도하였다. 먼저, 기본 패턴 언어에서 23개의 아파트 주택 관련 패턴언어를 선택하였다. 다음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하남성 전통 주거문화의 7가지의 특징과 현재 아파트 거주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요구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23개 패턴언어를 정리한 중국 하남성의 주거문화 특징과 요구사항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문화적 도시재생 관점에서 노후 아파트 재생을 위한 새로운 패턴언어를 개발하였다.

문화중심도시 광주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 (A Study on the Cultural Tourism Strategy for Culture-based City, Gwangju)

  • 이무용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31
    • /
    • 2007
  • 이 논문은 문화중심도시 광주를 위한 문화관광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화두, 관점, 전략, 생성, 전환, 과제'라는 여섯 가지의 키워드를 제시하고 각각의 핵심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화두' 파트에서는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컨셉과 전략 패러다임 및 도시은화관광지도를, '관점' 파트에서는 도시문화관광지도의 생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분석틀로서 관광의 문화정치학을 제시할 것이다. '전략' 파트에서는 문화중심도시 광주의 관광비전으로서 창조관광을 제시하고, 대안적인 문화관광 콘텐츠 기획 광주 문화관광 7대 핵심유형, 창조관광 광주 5대 전략 등의 세부 전략을 제시할 것이다. '생성' 파트에서는 대안적 문화관광의 장소만들기를 위한 광주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 방법론을, '전환' 파트에서는 창조적 문화관광 주체 만들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 '과제' 파트에서는 광주 창조관광 전략의 핵심 프로젝트로서, 4CT프로젝트를 제시하면서 결론을 맺고자 한다.

  • PDF

드라마 생산자로서의 제작사 기획 프로듀서 연구 (A Study on Role of Production Company Executive Producer as Drama Producer)

  • 김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86-308
    • /
    • 2021
  • 오랫동안 누구나 안방에서 즐길 수 있었던 드라마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한류 영향으로 가장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로 탈바꿈했다. 이 연구는 1991년 외주제작 정책의 시행으로 드라마 생산과정에 등장한 TV 기획 프로듀서의 등장 배경과 역할과 정체성, 노동 경험에 대해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해 '가까운 거리'에서 살펴본 연구이다. 2000년대 중반 한류 열풍으로 급격하게 늘어난 드라마 제작 편수를 배경으로 드라마 제작과정에서 자신들의 영역을 확장하며 새로운 드라마 생산 주체로 등장한 기획 프로듀서들은 '창작자는 아니지만 드라마 생산자'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작가와 감독을 선별하고 드라마 기획을 주도하면서 드라마를 제작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OTT의 등장과 인터넷 다시 보기 등 'TV 없는 드라마'가 일상화되어 전통적인 드라마 보기 방식이 무너지고 드라마 소비자의 정서적 취향이 까다로워지고 있는 환경에서, 작가와 감독 못지않은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드라마 제작을 주도하고 있는 TV 기획 프로듀서들은 탄탄한 기획력을 기반으로 자금력을 확보해 드라마 생산자들 사이의 새로운 권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뮤지엄 개념 사용현황 분석과 미래 발전방향 (Development Direction and Analysis on Current Usage of the Museum Concept in Korea)

  • 오정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44-654
    • /
    • 2013
  • 본 글의 목적은 국내에서 뮤지엄이 문화시설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되어 관련 제도와 사업이 운영되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이러한 경향이 일제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추진된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의 설립 때부터 생겨났음을 분석하는 데 있다. 나아가, 국내 뮤지엄의 발전을 위해 시설 개념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그 방안 중 하나로 콘텐츠 개념을 활용하여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일 먼저, 뮤지엄 개념과 발전과정을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 국내에서 뮤지엄이 시설 개념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국내 뮤지엄 정책 입안자와 실행자의 업무계획서를 통해 살펴보고, 이러한 경향이 일제의 식민지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된 제실박물관의 설립과정에서 생겨났음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등장하고 있는 새로운 뮤지엄의 특징이 콘텐츠의 속성과 유사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콘텐츠 개념을 활용한 뮤지엄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지역 농업유산의 특성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Heritage in GIAHS sites)

  • 정명철;문효연;윤순덕;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171-182
    • /
    • 2016
  • Since FAO introduce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GIAHS) in 2002, 36 sites of 15 countries so far have been listed on GIAH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s of Korea and to prepare the methods for them to be selected as GIAHS. We have analyzed the proposals of the 36 GIAHS listed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which worked for being selected.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first, agricultural heritage was classified into 13 types and 42 components in light of GIAHS criteria. Then central themes were set to analyze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proposals. They were, the type of GIAHS Site, significant agricultural landscape, the agriculture-forestry-fisheries-livestock linkage systems, the multi-layered, inter-cropping, circulation cultivation systems, the soil and water management systems, the conservation of agrobiological 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the history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the cultural diversity and so on. Most GIAHS are located in mountains, grasslands, rivers and coasts, desert than in plains, through which GIAHS assure us that it is the heritage of human challenge to overcome the harsh geographic environment and maintain a livelihood. In these sites the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are carried on, such as mountain clearings, terraced rice paddies, and burn fields, and the unique irrigation systems and agricultural landscapes are well maintained, and the eco-friendly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utilizing abundant forest resources and agriculture are well handed down. The origin or home of crop growing, a variety of genetic crop storage, the world's largest crop producer and preserving cultural diversity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the selection.

'실크로드피아(Silkroadpia)'의 활용과 문화유산의 창출 - 백제부흥운동의 경로복원을 중심으로 (Creating Cultural Heritage though 'Silkroadpia' - Reconstructing the Routes of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 조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343-35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고고역사 공간정보 공유 플랫폼인 '실크로드피아(Silkroadpia)'의 개발과 고대 경로 및 영역권 복원 알고리듬(MEPTA)의 제작·실행을 통해 전라북도 지역을 통과한 고대 문명교류의 경로들을 복원하고자 한 연구의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 전라북도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 및 한반도와 동아시아에서의 위상을 재조명하였고, 정부의 국토공간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 및 지역재생을 위한 적절한 문화컨텐츠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고고학, 역사학, 지리학, 공학 분야의 융합연구에 기반한 고대 경로 복원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기원후 660년 사비성 함락 이후 진행된 백제부흥운동의 길을 제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동진강하구를 백강으로, 부안 우금산성을 주류성으로 각각 상정하였으며, MEPTA를 이용하여 당시 왜군의 이동경로인 동진강입구에서 우금산성까지의 길을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백제부흥군이 우금산성에서 김제 성산성(피성)으로 본영을 옮긴 경로를 추정하고 그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로추정 알고리듬의 적용을 통하여 새롭게 확보된 고대 문명교류의 길을 활용하여 스토리텔링, 관광상품 개발, 공간 조성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음을 밝혔다.

거점 문화시설 인근 유휴공간의 재생을 위한 다목적 감성공간 적용 -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을 대상으로 - (Application of Multi-Purposed Emotional Space for Renewing Idle Spaces around Core Cultural Facilities - Focused on the National Asian Culture Complex -)

  • 김슬기;한승훈
    • KIEAE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103-11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suggests the multi-purposed emotional space that is one of the alternatives to reuse idle spaces in the city. Because human who is living in modern society begins pursue new contents and leisurely life all the time and live toward the period of high emotion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architectural industry also need to change its planning and design to satisfy contemporary man and to adjust rapid social mobility. Method: For this study, the buildings where are located near Asia Cultural Complex (ACC) and leaved as idle spaces now that is used for important facilities are used to apply the multi-purposed emotional Space. Essential methodology and terminology were examined to estimate and construct the multi-purposed emotional space. Result: The multi-purposed emotional space provides that people aggressively request subjects to satisfy their emotional attractiveness as well as comforts and pleasures beyond the functional basic requirements in space. On the other words, it can be regarded as limited context to physical space responsive to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for the surrounding, and may maximize user experiences. Since emotions tend to be abstract and subjective while architectural space has pretty physical properties, this study attempts to integrate contrastive properties between emotional and architectural spaces to make a real object.

전시 기획을 위한 관람객 행태와 만족도 간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atisfaction and Behavior of Visitors for Exhibition Plan)

  • 목선아;백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511-519
    • /
    • 2015
  • 본 논문은 전시장에서 관람객의 만족도와 관람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시장에서의 관람객의 특성을 인구통계학적, 사회적, 심리적, 문화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관람객의 특성이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요인 별 보편적인 관람객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으며 향후 전시 기획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로 활용하여 전시 기획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장기 모니터링과 훼손상태 변화 (Long Term Monitoring of Deterioration Condition for the Rock-carved Buddha Triad in Seosan, Korea)

  • 전유근;이재만;이미혜;박성미;이선명;이명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9-446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보호각의 해체 및 보존처리 이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훼손상태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초음파속도 측정결과, 구성암석의 표면물성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디지털 이미지 분석결과, 백색변색이 보존처리 이후 4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재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에는 거의 없었던 생물이 보호각 해체이후 마애여래삼존상의 좌측면을 중심으로 증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불상표면에 생물이 서식하는 현상은 지형조건에 따라 일조량 및 함수율이 상대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