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f the Education Practice for Creativit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정옥분;김경은;박연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53
    • /
    • 2005
  • 본 연구는 중$\cdot$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성 교육에 대해 청소년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실태조사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이해도와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을 중심으로 청소년과 교사 각각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청소년과 교사간에도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인식 관련 하위변인들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cdot$고등학생 305명과 현직 중$\cdot$고등학교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cdot$고등학교 창의성 교육실태와 요구도 조사 질문지' '창의성 교수방법 실천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1-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과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 창의성 교육 실태, 창의성 자료 실태, 창의성 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에서 다소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창의성 교육을 더 필요로 하고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중학생들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보다 창의성 교육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교사들이 여자 교사들에 비해 창의성 교육을 더욱 필요로 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 많고 이해도도 높고. 근무년수가 긴 교사일수록 창의성 교육을 더 필요로 하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청소년들에 비해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에 있어서는 청소년들이 교사들보다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청소년들과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접근을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Creativity as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 정옥분;임정하;정순화;김경은;박연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ity and education practice of creativity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nts were 425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round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ed creativity as creative thinking or creative product rather tha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environment. Undergraduate students placed originality as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of creativity. Scientists were ranked as the most creative people, followed by executives, and then artists. Interestingly contemporary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zed and evaluated creativity as positive. (2) Most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zed the needs and importance of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These aspects of education hav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s female students viewed creativity-fostered education more important. (3)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ed creative persons to be imaginative, independent, and confident. The most important part of developing undergraduate students' creativity was to make more creative environm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benefit of creative environmen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creativity-enhancing programs and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more generally.

창의적 문제해결과 문제변형을 위한 사고 (Think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 김용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4호
    • /
    • pp.399-404
    • /
    • 2004
  • Mathematical creativity is a main topic which is studied within mathematics education. Also it is important in learning school mathematics. It can be important for mathematics teachers to view mathematical creativity as an disposition toward mathematical activity that can be fostered broadly in the general classroom environment. In this article, it is discussed that creativity-enriched mathematics instruction which includes creative problem-solving and problem-posing tasks and activities can be guided more creative approaches to school mathematics via routine problems.

  • PDF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탐구학습에 관한 소고 (Inquiry-Oriented Instruction to Foster Mathematical Creativity)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6권2호
    • /
    • pp.65-74
    • /
    • 2002
  • In this paper, inquir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was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 to foste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it is argued that inquiry learning assist students to explore the mathematical problem actively and thus participate in mathematical activities like mathematicians. Through inquiry activities, the students learn mathematical ideas and develop new and creative mathematical ideas. Although creativity is often viewed as being associated with exceptional ability, for mathematics teacher who want to develop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t is productive to view mathematical creativity as a mathematical ability that can be fostered in general school education. And also, both teacher and student have to think that they can develop mathematical ideas by themselves. That is very important to foster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mathematics class.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undamental course for Overcoming Blocks to Creativity in Design Education

  • In, Chi-Ho;Gwon, Eun-Gy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4호
    • /
    • pp.81-87
    • /
    • 2009
  • In the midst of a continued discourse and development concerning design education and its impact on innovation and creativity, I believe that design education still holds the key to enhancing design methodology while increasing creativity by having students take on several creative roles in an interactive and enjoyable studio course. Clearly, there exist impediments that block the creative process in our standard track in design education; however, a course entitled "The Creative Workshop" can overcome such obstacles. Through this course, a student can learn the essential skills of a designer: inventive thinking, a sense of aesthetics, and a spirit of collaboration. In addressing each of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this course has devised role-plays in the way of projects. Simply put, students will be required to demonstrate and, therefore, express their unique creativity that may have otherwise gone muted. Such creative expression can take form in a low stakes, open forum that heralds the invaluable attribute in design such as creative freedom. As a result, the true spirit of creativity is fostered rather than mere aesthetics and styling. Moreover, through role plays, the focus shifts its center from design, allowing each student to explore the uncharted areas of one's own creativity which may come naturally to some extend while disconcerting to others. It may prove particularly uncomfortable for Korean students whose ideas about education have been directly connected to the strict and regimented school system that stresses adherence to standardization such as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is course, therefore, is aimed stretch the scope and scale of students' creativity as they learn to collaborate on role plays, utilizing diverse skills from various disciplines.

예 만들기 활동에 의한 창의적 사고 촉진 방안 연구 (Fostering Mathematical Creativity by Exemplification)

  • 박진형;김동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 만들기 활동이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한지 이론적으로 타진하고, 가능하다면 어떤 과제를 설계하여 촉진할 수 있으며, 실제 예 만들기 활동에 의해 창의적 사고는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결과, 학생들이 다양한 예를 생성하고, 각자 생성한 예를 검토, 수정하고 개선하면서 좀 더 일반적인 예를 모색하며, 정당화하는 장면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예 만들기 과정에서 수학적 창의성의 요인들인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의 힘 북돋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연구 - 창의적 사고를 통한 중학교 기술$\cdot$가정 교과의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 학습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owering Youth Program')

  • 정옥분;김경은;박연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직접 경험하고 있는 생활을 다루고 있는 기술·가정과목의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을 선정하여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개인적 문제나 사회적, 대인관계적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청소년의 힘 북돋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힘 북돋우기 프로그램'은 교과내용에 적절한 창의적 교수-학습방법을 도입한 '교과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의 기술·가정과목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창의성을 신장시키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12차시의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매차시마다 다양한 활동유형과 매체를 사용하였다.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3개 중학교 1학년 학생 262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은 129명, 통제집단은 133명이었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무작위적으로 선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기술·가정의 '나와 가족의 이해' 단원의 수업시간 동안 '청소년의 힘 북돋우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기술·가정과 수업을 그대로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공변량분석,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힘 북돋우기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교과목에 대한 이해도와 창의성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들의 자신에 대한 인식 및 이해와 또래관계와 가족에 대한 이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술 변화에 따른 문화 콘텐츠 관련학과 교육과정 개발 (The Curriculum Design for Department of Culture and Contents according to Technology Change)

  • 전성신;이원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99-304
    • /
    • 2013
  • 문화 콘텐츠는 우리 일상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는 디자이너 또는 일반인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문화 콘텐츠 중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광고 등과 같은 영상 콘텐츠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영상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스마트 폰과 스마트 패드 사용자들 또한 많다. 손쉽게 영상 콘텐츠를 서핑 감상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기기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이에, 더욱 감동을 주는 영상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효율적인 교육과정 또한 계속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교육에서도 창의성 증진 교육의 필요성에 관해서는 많은 사람이 인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의 문화 콘텐츠 관련학과 커리큘럼이 감성을 자극하고, 창조적이며 새로운 기술을 보여주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인재양성의 방법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미디어 기기가 나오더라도, 거기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근원적인 방법을 연구하여 관련학과의 커리큘럼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