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teaching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 로봇을 활용한 창의적 RSPM 공학 교육 및 NCS 직무 교육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reative RSPM(Robot Based Software Programming Method) Engineering Education And NCS Training Effectiveness Analysis Using Smart Robot)

  • 이병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8호
    • /
    • pp.136-144
    • /
    • 2016
  •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해 다양한 교구와 학습 방법이 개발 및 활용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학교육에서 요구되고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을 학습하기 위하여 스마트 로봇을 활용하고자 한다. 스마트 로봇을 사용한 창의적 공학교육으로 그 NCS 직무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교육 향상을 위하여 RSPM(Robot Based Software Programming Method) 공학교육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학교육에서 좀 더 창의적이고 소프트웨어 코딩 능력향상을 위해 스마트 로봇인 EV3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공학교육에 미치는 정도, 흥미, 프로그램 능력 향상과 영향에 대하여 설문 및 분석을 통하여 창의적인 RSPM 공학교육과정을 통하여 EV3 시스템을 교구로 활용하여 성공적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코딩 능력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RSPM 공학교육은 스마트 로봇 NCS 직무로써 미래 유망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분야의 직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갖춘 기초 스마트로봇 직무학습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헌신적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창의성에 대한 중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about the Creativity as an Essential Quality of Highly Professional and Committed Teachers)

  • 윤마병;서재복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3-312
    • /
    • 2014
  •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possess a certain degree of creativity must learn about this new approach as part of their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n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education-training college in question by analys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by collecting sufficient data to develop a positive feedback model for selecting, cultivating, and appointing pre-service teachers who fulfil the requirements of said college of education. Such teachers will display the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to fulfil their teaching duties in the best possible manner and will consistently produce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ir chosen subject matter and integrate these into their daily teaching. These teachers will complete all their tasks in a creative way, including student guidance, administrative duties, and academic lessons. The factors that distinguished creative teachers from others included originality and fluency. Our test group comprised 216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137 fully qualified teacher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quired in order to qualify as a 'creative and committed teacher' was very low. We provided data to the college of education to increase creativity when selecting teachers and curricula based on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creativity provided b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 (Development of 'Energy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ctivities in middle school)

  • 김경아;최준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1-17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의 H 중학교 2학년 남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 개발은 준비, 개발, 개선 단계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각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준비 단계는 수업 자료의 개발을 위해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 및 관련 문헌을 연구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발 단계는 목표 설정, 학습지도안 설계, 수업 자료 제작, 평가 자료 개발의 구성 단계에 따라 수업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선 단계에서는 (1) 전문가에 의한 타당도 검증, (2) 학생들에 의한 예비 시험과 현장 시험을 실행하여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다. 개발한 '에너지 교육' 수업 자료를 H중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에너지 교육'을 하는 것에 대해 65% 이상의 학생이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중등예비교사의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의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Lesson Plan and Teaching Demonstration for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6-474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중등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역량 강화와 학업도전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94명이 한 학기 동안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지은림, 주언희(2012)가 개발한 창의적 인재 역량측정도구와 배상훈 외(2015)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학업도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역량에서는 '고차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 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가 유의미하였다. 학업도전에서는 '고차원 학습'과 '학습전략'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 융합수업을 일반화하여 수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수업설계, 지도안 작성, 실천연구와 반복적인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며 수정 보완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게임·애니메이션·영상 기획 프로젝트 수업을 위한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for Pre-production of Game·Animation·Visual Images)

  • 이현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67-474
    • /
    • 2019
  •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핵심 요소인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은 그 수요의 확대에 따라 관련 인력 양성이 갈수록 전문화되고 있다.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 분야의 교육은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태도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시 되는 창의 융합 참여형 인재양성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게임 애니메이션 영상 분야 창의융합 참여형 인재 양성을 위한 프리프러덕션 중심의 PBSL(Project based Self Learning) 수업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의 전개는 창의융합 인재의 구성요소와 프로젝트 수업의 특성, 그리고 관련 직무 역량에 대해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PBSL수업모형의 핵심요소는 창의성, 융합적 태도, 자율성으로 분류 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태도 그리고, 학생들의 자율성이 실현될 수 있는 프로젝트 형의 'Project Based Self Learning' 수업모형을 개발한다. PBSL을 적용한 D대학교 <콘텐츠워크?> 수업에 대해 사례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율성 측면이 창의성과 융합적 태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이는, 학생 스스로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자율성과 동기부여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만족도가 낮게 분석된 융합적 측면에 대한 추후 보완이 필요하다.

과학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A Perceptions about the Creative Writ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44-15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science. It aimed at analyzing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story writing exercises, about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metho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n science education. First,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were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by 1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all of whom were non-science majors taking a course on earth science as a liberal arts elective. Afterward,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m to discover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both as students and as teachers-to-b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expressed a positive opinion about creative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tool, stating that they would apply it in their future teaching by telling stories they wrote or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compositions. Pre-service teachers conclude a creative writing improves students' studying, lead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ddition, it linked with daily life and other school subjects. Creative story writing, when used at colleges of education, has didactic value as an empirical exercise for pre-service teachers who are not majoring in science.

  • PDF

창의력 신장을 위한 변증법적 방법의 수학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 한길준;정승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42
    • /
    • 2002
  • Dialectical Methods is the form in which thinking and being developed, according to Hegel. Every given definition removes itself necessarily and goes over to its contrary definition. The mutual struggle brings us to a new definition, which is richer and more concrete insofar as it embraces the original definition, but on a higher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in mathematics by dialectical method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dialectical methods to mathematics education had been made by Lakatos, Brousseau, Freudenthal. Second, the dialectical teaching methods in mathematics are developed from dialectical methods: the step of affirmation - the step of negation - the step of sublation. Third, the students who team mathematics by dialectical teaching methods are creative in its implications.

  • PDF

사사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수학영재 지도 (Teaching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Mentor-Project Studying)

  • 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63-177
    • /
    • 2006
  • 수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고 수학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사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하여 수학영재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가, 학습과정에서 벌어지는 영재 상호 간의 교류가 그들의 창의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가,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 분석을 통해 수학영재들에게 사사프로젝트 학습이 효과성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 PDF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Hypotheses generating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s on Teaching Science)

  • 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2-4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고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은 강한 의미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현행 탐구 교수 전략을 수정 보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교사가 물어보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발산적 사고력을 활용하면서 조별 토론에 의하여 잠정적 설명들을 적어도 세 가지로 응답들을 하게 한 후에, 이어서 조 별 토론하면서 보다 더 나은 하나의 설명(가설)을 선택하도록 하는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이다. 발산적인 사고로 다양한 가설들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도 조 별 협동학습 활동이 필수적이며,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협동 학습에서 조 별 토론에 의하여 얻어진 사고의 결과들을 만들어 내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창의적인 사고와 비판적인 수렴적 사고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적용한 수업 전략에는 기존 수업 전략에 비하여 아주 조그마한 차이만을 보여주나, 이와 같은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활용한 탐구 교수 전략을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대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비교반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창의력이 신장되었다.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여덟 개의 실례들을 개발하였다. 이 여덟 개의 결과들은 기존의 탐구 교수 전략에 들어 있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설명들(가설들)을 하고 있는 형태들을 갖추고 있다.

Developing the Format and Samples of Teaching Materials for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Ordinary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Teachers' Practice and Reflection-

  • Park, Jo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46-466
    • /
    • 2012
  • Scientific creativity is necessary for all ordinary students in ordinary school settings. In this study, a practical format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is suggested, and sampl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is format ar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practical use of the teaching materials in ordinary schools, the model of IS3CA(Iterative Small Scale Scientific Creative Activity) was proposed. Using this format and the proposed teaching materials, a brief in-service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Here, the aim is to improve teachers' actual professional ability to develop their own teaching materials rather than just using the pre-developed teach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researcher.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in-service program were collected from the teachers, a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by teachers was possible. Therefore, I expect that the teaching of scientific creativity by ordinary teachers is possible for ordinary students in ordinary school context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and experiences of this study, a curriculum for teaching scientific creativity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