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Hypotheses generating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s on Teaching Science  

Kang, Soon-Hee (Ewha Womans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8, no.5, 2008 , pp. 482-49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practical model to enhanc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hypotheses generating activities for students. The 2007 Science National Curricula stresses the need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for our students. The definition for the creativity in the narrow sense is the divergent thinking skills. The defini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is the strong sense of those skills. This model shows the use of the divergent thinking skills and convergent thinking skills together. The divergent thinking skills has been developed by making three alternative explanations about the causal question within a group of students by active discussion. The following procedure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most provable of the three explanations within a group of students also by active discussions. This process needs convergent thinking skills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skills. This model can be used easily by exchanging from the one explanation about the causal question in any inquiry teaching strategy to three explanations about one. Although the partial modified strategy shows a small difference from any inquiry teaching strategy, but the effect of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thinking skills for our students shows significantly better (p<.05). More detailed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the near future.
Keywords
model of enhancing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creative thinking skill; critical thinking skill; divergent thinking skill; convergent thinking skill; causal question; hypotheses generating; explana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순희 (2005). 탐구적 일반 화학 실험-우수한 과 학 교사 양성을 위한. 개정판. 서울: 자유아카데미
2 강순희, 김덕희, 김효진, 박인숙, 윤이진, 이선향, 이 윤하, 이은주, 홍혜인 (2006a). 물질 변화에서의 규칙성, 중학교 3학년 과학탐구수업 지도자료-(5). 서울: (주)서울 멀티넷
3 강순희, 박혜진, 윤현정, 이윤하, 이은주, 임정은 (2007a). 산과 염기의 반응- 고등학교 1학년 과학탐구수 업 지도자료(5). 서울: (주)서울멀티넷
4 강순희, 윤이진 (2007). 가설적 사고력을 중시한 경 험 귀추적 탐구 수업 전략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 회 제51차 동계학술대회 논문 초록집
5 교육인적자원부 (2007a). 초중등 교육 과정-교육인 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6 김성원, 강순희, 김규한, 엄안흠, 오필석, 우애자, 이 현주, 정영란, 고선영, 김경미, 김상준, 박은미, 손성연, 오선진, 이승우, 이윤하, 허은규, 허희선 (2008). 차세대 교과서 중학교 과학 1, 물질의 상태-열에너지와 분자의 운동 단원. 서울: (주)교학사
7 이경화 (2003). 통합창의성 검사지. 서울: 세종영재 교육원. 교육과학사
8 이영덕, 정범모 (1995). 간편 창의성 검사: 실시요강 및 규준. 서울: 코리안테스팅센터
9 이항로 (1991). 고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지구과학소재를 중심으로. 한국교 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Paul, R. (1990). Critical thinking; What, Why, and How. In C. A. Barnes(Ed.).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Imperative, ERIC
11 김명희, 곽현선 (2005). 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 평 가 방안 연구-영역 특수성에 기초한 다차원적 평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3(3), 101-136
12 이강섭, 황동주 (2003). 일반 창의성(도형)과 수학 창의성과의 관련 연구-TTCT; Figure A와 MCPSAT; A를 바탕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수학교육, 42(1), 1-19
13 이영덕, 정원식 (1993). 표준화 창의성 검사: 실시요 강 및 규준. 서울: 코리안테스팅센터. 교육과학사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사고력 검사 개발 연구 (II). 연구보고 RRE 2002-3
15 Mansfield, R. S., & Busse, T. V. (1981). The psychology of creativity: scientists and their work. Chicago: Nelson-Hall
16 Feldhusen, J. F., & Clinkenbeard, P. R. (1986). Creativity instructional materials: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0, 153-182   DOI
17 Thagard, p. (1996). Mind - Introduction to Cognitive Science. A Bradford Book The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England
18 김지영, 강순희 (2006). 우리나라 과학 교사들의 탐 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58-267
19 서혜애 (2003).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과 과학적 창 의성. 과학교육연구, 26, 113-148
20 교육인적자원부 (2007b). 과학과 교육 과정-교육인 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 9〕. 서울: 대한교과 서 주식회사
21 강순희, 박혜진, 윤현정, 이은주, 홍성희 (2007b). GO! 高! 화학! - 고등학교 화학I, II 탐구수업 지도자 료. 서울: (주)서울멀티넷
22 Deming, W. E. (1982). Quality, productivity, and competative position. Cambridge. MA: MIT
23 강순희, 박은미, 이윤하, 홍혜인, 박인숙, 양정은, 안 진아 (2008). 창의성 검사지와 가설을 생성하게 하는 검사지와의 관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2(1), 253-271
24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25 Watson, G., & Glaser, E. (1994).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Harcourt Brace Jovanovich, Inc
26 김창식, 권치순, 이화국, 한안진 (1992). 과학 탐구 실험 능력 평가 모형 및 평가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
2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8 이종기 (1988). 고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Roadran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30 강순희, 임정은 (2007). 대학교 탐구 화학 실험에서 창의적 사고력 신장 모델의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 회 제52차 하계학술대회 논문 초록집
31 Torrance, E. P. (2002/2004). Torrance TTCT(언어) A형 (김영채 역). 대구: 토란스 창의력 한국 FPSP/현곡 R&D(원저 2002)
3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 과정- 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3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4 Sternberg, R. J., & Davidson, J. E. (1995). The nature of insight(Ed.). A Bradford Book The MIT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London, England
35 Dale, E. (1969). Audio-visual methods in teaching (3rd ed). New York: Holt, Reinhart and Winston
36 강순희, 박인숙, 양정은, 이윤하, 홍혜인 (2006b). 가 설적 사고력이 신장되도록 개발된 경험 귀추적 실험을 활용한 탐구 교수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효과. 2006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교과교육공동연구 연구보고
37 박은미 (2006). 귀추에 근거한 가설-연역적 수업 프 로그램이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부 록 2
38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worth Publishing Company
39 이연우 (1989).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 개발-중학교 2학년 자료 분석과 해석 능력을 중 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박은미, 강순희 (2006).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가설 생성 능력의 관계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57- 371
41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 Hill: New York
42 김영채 (2004b).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43 우종옥, 이신동, 이경화, 전경원 (2003). 초등1-2학 년용 창의성 검사. 서울: 세종영재연구원. 교육과학사
44 정원식, 이영덕 (1993). 표준화 창의성 검사: 실시요 강 및 규준. 서울: 코리안테스팅센터
45 박종석, 김민정 (2003).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 분석 을 통한 과학 창의성 요소 추출. 중등교육연구, 51(2), 269-285
46 Harrington, D. M., Block, J., & Block, J. H. (1983). Predicting creativity in preadolescence from divergent thinking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609-623   DOI
47 Runco, M. A. (1999). Divergent thinking. In M. A. Runco & S. R. Pritzker(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577-582). London: Academic Press
48 김영채 (2004a).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49 김신자, 이인숙, 양영선 (2001).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