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ack control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32초

지하 교각 기초의 온도균열 제어를 위한 수화열 해석 연구 (A Study of the Thermal Analysis for the Crack Control of Underground Pier Footing)

  • 박원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91-101
    • /
    • 2006
  • 최근들어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매스콘크리트는 수화열상승으로 온도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온도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프리 쿨링, 파이프 쿨링 및 타설높이를 제한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 기초의 온도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응력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이때 기초는 $12m{\times}14m$의 면적과 3m 높이를 가지는 것을 모델로 하였다. 타설 높이를 제한하는 방법과 파이프 쿨링에 의한 해석결과를 비교 검토 하였다. 온도응력를 해석한 결과 지반위에 타설한 기초매트는 타설높이를 제한하는 방법과 파이프쿨링 방법에 의해 균열을 제어할 수 있다.

CRACK 개구변위(開口變位)에 기초한 미소피로(微小疲勞)크랙 전파법칙(法則)의 고찰(考察) (Considerations of the Small-Crack Growth Law Based on COD)

  • 김민건;지정근
    • 산업기술연구
    • /
    • 제13권
    • /
    • pp.49-57
    • /
    • 1993
  • Bending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specimenes with two different strength levels in order to investigate small crack growth rate.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Small crack growth law, $da/dn=C{\sigma}_a{^n}a$ is useful several materials, but is not the rule applicable to all cases generally. (2) When da/dn in several specimens are equal, COD near the crack tip are also nearly equal. (3) Crack tip opening displacement(CTOD) is the main factor to control the small crack growth rate, and da/dn ${\propto}$ CTOD comes into being between the two. Accordingly, $da/dn=C({\sigma}_a{^2}/{\sigma}_s){^n}a^n$ shows the small crack growth rate being reflected crack closure phenomenon.

  • PDF

보 및 1방향 슬래브의 균열제어 (Crack Control in Beams and One-Way Slabs)

  • 민창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81-390
    • /
    • 2012
  •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2003, 2007)의 균열제어방법이 어떠한 연구들에 근거를 두어 제시되었는지 그 발달과정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을 근거로 현행 구조기준의 균열제어방법에 어떠한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지 제안하였다. 제시한 새로운 균열제어식은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고 기존의 규정들과 충돌하지 않아 실무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논란의 여지를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발파에서 가이드공의 균열제어 유효성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a Guide Hole on Crack Propagation Control in Blasting)

  • 이희광;김학만;김승곤;조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4호
    • /
    • pp.299-307
    • /
    • 2010
  • 무장약 가이드공의 균열제어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무장약 가이드공을 적용한 콘크리트 블록 발파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동적파괴과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장약공과 노치형 및 원형 무장약 가이드공을 가진 해석모델을 작성하고 공간격, 암반강도, 폭발하중속도에 따른 최종균열을 분석하였다. 모든 해석모델에서 무장약 가이드공이 설치되어 있는 방향으로 탁월균열이 형성되었으며, 이것은 무장약 가이드공이 균열제어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며 실험결과와도 일치한다.

연속합성보의 균열폭 제어와 휨거동 평가 (Crack Width Control and Flexural Behavior of Continuous Composite Beams)

  • 심창수;김현호;윤광중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통권75호
    • /
    • pp.195-206
    • /
    • 2005
  • 6m-6m의 2경간 연속합성보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로코드에서 제시하고 있는 균열폭 제어 규정의 근거를 살펴보고 인장강화 효과를 고려한 균열상태에 따른 균열폭 계산식 유도과정을 제시하였다. 부모멘트 인장을 받는 바닥판의 거동을 초기균열, 안정화 균열로 나누어서 연속합성보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연성 기준을 만족하는 최소철근비는 현재 도로교설계기준보다 낮춰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균열을 일으킨 연속합성보의 휨강성 평가에서는 안정화균열 이전단계까지는 비균열단면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인장철근의 응력과 균열폭의 관계식을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돈피 추출 콜라겐 보충 식이가 중년 여성의 혈중 콜라겐, 성호르몬, 지질대사 및 피부 갈라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agen Supplementation from Pork Skin on Serum Collagen, Serum Sex Steroid Hormone, Serum Lipid and Skin Crack in Korean Middle-aged Women)

  • 한채정;강상모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12-921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if the effects of collagen supplementation from pork skin could improve the sex steroid hormone, serum lipid and skin crack in Korean middle-aged women. Middle-aged women (40-55 years) who were not diagnosed with any type of disea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irty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 = 15) or a collagen supplemented group (n = 15). The collagen supplemented group ingested collagen flour 2 g, 3 times a day for 12 weeks. We measured serum collagen, estrogen, estradiol, estriol, progestero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collagen supplement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collagen (p < 0.05)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skin crack was improve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for sex steroid hormone and lipid profile in control and collagen supplemented groups.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supplementation of 6 g collagen per day for 12 weeks can give beneficial effects on skin crack reduction and serum collagen concentration.

304 스테인리스강의 300℃에서 저주기 피로수명 증가 (Increase of Low Cycle Fatigue Life at 300℃ for Type 304 Stainless Steel)

  • 김대환;한창희;이봉상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391-396
    • /
    • 2009
  • Tensile, low cycle fatigue, and fatigue crack growth rate tests were conducted at RT and $300^{\circ}C$ for type 304 stainless steel. Tensile was tested under displacement control and low cycle fatigue was tested under strain control. Fatigue crack growth rate test was conducted under load control and crack was measured by DCPD method.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decreased at $300^{\circ}C$. Dynamic strain aging was not detected at $300^{\circ}C$. Low cycle fatigue life increased but fatigue strength decreased at $300^{\circ}C$. Fatigue crack growth rate increased at $300^{\circ}C$. Dislocation structures were mixed with cell and planar and did not change with temperature. Grain size did not change but plastic strain increased at $300^{\circ}C$. Strain induced martensite after low cycle fatigue test increased at RT but decreased at $300^{\circ}C$. It was concluded that the increase of low cycle fatigue life at $300^{\circ}C$ was due to the decrease of strain induced martensite at which crack was initiated.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를 활용한 휨항복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제어 (Crack Control of Flexure-Dominant Reinforced Concrete Beams Repaired with Strain-Hardening Cement Composite (SHCC) Materials)

  • 차준호;박완신;이영오;김선우;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09-120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변형경화형 시멘트 복합체(SHCC)로 보수된 휨항복형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제어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다루었다. 이 실험을 위하여 총 5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모든 실험체는 최종 파괴시 까지 균열제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체 계획시 보통 철근콘크리트 기준 실험체로 계획한 표준 실험체(CBN)와 섬유 혼입 조건에 따른 SHCC의 종류 및 SHCC 보수 방법(patching and layering)에 따라 각각 두 타입 씩 구분하여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SHCC로 보수된 모든 실험체는 최종파괴시 끼지 취성파괴 및 폭렬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세한 다수의 균열이 폭넓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CBN 실험체의 경우는 콘크리트 표면 박리 및 취성적 파괴양상을 나타냈다. 이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의 균열 손상 완화 및 휨성능 향상에 있어 SHCC의 우수한 모멘트 강도, 연성능력 및 최대하중 이후의 에너지소산능력 등이 원활하게 작용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일한 처짐에서의 균열폭을 비교한 결과 CBN 실험체에 비하여 SHCC로 보수된 모든 실험체가 실험체 전반에 걸쳐 미세한 균열이 다수 분포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PE섬유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에 기인하여 PVA0.75+PE0.75의 혼입조건을 갖는 SHCC가 다소 높은 내구성 및 연성능력을 나타냈다. 이처럼 보의 사용성과 관련하여 균열폭의 진전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으며, SHCC를 기존 철근콘크리트 보의 보수보강재료로 활용하였을 때 구조물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재령 철근큰크리트 라멘교의 균열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ack Control of Early-aged Reinforced Concrete Rahmen Bridge)

  • 정희효;이승렬;김우중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5-25
    • /
    • 2006
  • 초기재령 콘크리트 수화과정의 메카니즘과 초기재령 콘크리트 균열 제어기법의 개발은 주로 매시브한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와 수치해석적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와 같이 비교적 두께가 적은 부재에 대해서는 연구 내용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4개의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 슬래브에 대한 수화열을 현장 실측하여 온도이력과 강도 발현 모텔 및 건조수축 모델에 의한 응력들을 근거로 하여 초기 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제어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초기재령 철근 콘크리트 라멘교의 상부슬래브에 발생되는 균열 폭을 계산하여 균열제어를 위한 철근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였고, 설계하중 재하 시 배력철근으로만 취급되는 헌치부의 철근이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응력 검토 시에는 주철근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제안한 해석기법은 초기재령 철근콘크리트 라멘교의 온도균열제어를 위한 설계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정 응력확대계수범위 제어 시험하의 마찰교반용접된 7075-T651 알루미늄 합금 용접부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의 실험적 고찰 (LT 방향의 시험편에 대하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atigue Crack Growth Behavior in Friction Stir Welded 7075-T651 Aluminum Alloy Joints under Constant Stress Intensity Factor Range Control Testing (For LT Orientation Specimen))

  • 정의한;김선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6호
    • /
    • pp.775-78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찰교반용접재의 피로균열전파 거동의 공간적 불규칙성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최적의 조건에서 마찰교반용접된 7075-T651 알루미늄 합금 용접부의 LT-방향의 각각 5개의 피로균열전파 시험편에 대하여 일정 응력확대계수범위 제어하의 피로균열전파 실험을 수행하여 마찰교반용접부의 교반용접부재(WM)와 열영향부재(HAZ) 그리고 모재(BM)에 대한 피로균열전파 거동을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WM재의 피로균열전파율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HAZ재와 WM재 순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시험편간 피로균열전파율의 변동성은 WM시험편에서 가장 높았고, 반면 BM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